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내

아내

최명길 (지은이)
황금알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15,000원 -0% 0원
0원
1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8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920530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9-04-27

책 소개

황금알 시인선 192권. 최명길의 네번째 유고시집. 죽음을 예감하고 준비한 아내에 바치는 사랑의 시편들. 시인은 시집 원고의 말미에 10여 년 동안 작품들을 고치고 다듬었던 내력을 날짜별로 메모형식으로 달아놓았다.

목차

너와 나·12
눈부심으로·13
나무 해인·14
첫 포옹·16
하늘의 장난·17
사랑의 제물·18
용구새·19
멀리서 보면·20
화채봉과 산똥·22
수레와 마부·24
홍반 이슬·26
부분과 전체·27
아기집·28
첫 말문·30
당신의 마음 뜨락·32
눈 흘김·33
녹두꽃잎 무늬·34
초가을 밤 앵속이 싸르르 타는 듯한·36
마지막 편지·38
돌나물김치·40
축복·41
암나사와 수나사·42
눈물·43
영원한 어머니·44
거리·46
작은 여울·47
장 담그던 날·48
오징어배를 타던 날의 기억·50
별거·52
갈대꽃·53
비를 좋아하는 사람·54
내가 모를 일·55
이쪽과 저쪽·56
토담집·58
하얀 길·60
쇠뜨기꽃·61
어떤 새벽·62
서낭당 아래 청밀밭·64
그 나무·66
태풍 끝나고·67
당신에게 드리는 예물·68
각시붓꽃 피었던 자리·70
처가·71
장마 오기 직전의 하늘·72
물 안의 아내·73
초례청·74
저녁 강가·76
호롱불·78
사주·79
출생기·80
푸른 빛 푸른 세계·82
봄눈 내린 다음 날·84
홀로 타는 사랑·86
방울토마토·87
갑자기 문이 열리면·88
너와 함께라면·90
새아기·91
여우불·92
새벽 달항아리·93
그녀 가슴에 도는 아지랑이·94
유리보석·96
그 사람 마음이 급하게 움직이니·97
노랑만병초꽃·98
조양동 새마을 단칸방·100
산·101
두루거리상 바닥의 물고기·102
좀싸리꽃·104
홀로 손님·106
꽃융단·107
젖·108
모과 한 알·110
얼레지꽃·112
아내의 기도·114
슬픈 알몸 덩어리·116
그 아이·117
빚 물던 날·118
딸은 창조의 신·119
황홀한 몸을 알고부터·120
괭이밥·122
열쇠·123
소방울집·124
누워 백일몽·126
피·127
당신의 행복·128
금강석·130
내 가슴에 묻혀서 슬픈·132
한밤에 부르는 노래·134
백로의 춤·136
내 청춘에게 붙이는 시·138
우리 빙모님 첫 살림집·140
물고지엿·142
암소·143
오 눈물 같은·144
아가, 이렇게 된 것은·145
성 우파니샤드·146
최초의 투명한 빛·148
흑룡강변 엉겅퀴·150
보름달이 초생달 될 때까지·152
오직 하나인 당신·153
아내, 나의 신부·154
아가의 여행·156

■ 해설 | 호병탁
놀라운 눈, ‘현빈의 진리’와 ‘똥 덩어리’를 조화롭게 함께 보는·158
■ 최명길 시인의 연보·189

저자소개

최명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스무 살까지 강릉에서 살았다. 그 이후 관음선풍의 설악과 문기가 꿈틀거리는 속초가 좋아 고향 강릉 못 가고 설악 자락에 둥지를 틀었다. 강릉사범학교와 경희대학교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1975년 『현대문학』에 시 「해역에 서서」 「자연서경」 「은유의 숲」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시집으로 『화접사』(1978) 『풀피리 하나만으로』(1984) 『반만 울리는 피리』(1991) 『은자, 물을 건너다』(1995) 『콧구멍 없는 소』(2006) 『하늘 불탱』(2012) 명상시집 『바람 속의 작은 집』(1987) 디지털영상시선집 『투구 모과』 등과 유고시집 『산시 백두대간』(2015) 『잎사귀 오도송』(2016) 『히말라야 뿔무소』(2017) 『나무 아래 시인』(2018) 『아내』(2019)와 시선집 『물고기와 보름달』 등이 있다. 강원도문화상(문학 부문 1999) 홍조근정훈장(2000) 한국예술상(2012) 만해·님 시인상(2014) 등을 받았다. 2014년 5월 4일 영면. 백두대간으로 돌아가다.
펼치기

책속에서

너와 나


너와 나는 잠시 스치는 갯바람 아니다.
우리 서로 갈잎에 우는 기러기처럼 만났어도
네가 강물이라면 나는 산이다.
그보다는 내가 강물이고
너는 거기 담겨 흘러가는 꼭두서니 풀 그림자다.
우리 서로 갈잎에 우는 겨울 기러기처럼 만났어도
나는 하루종일 네 곁에 홀로여도 외롭지 않고
삶이 괴로워도
나는 네 곁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너의 눈동자에 이는 들냉이 내음
나는 산 그리메로 오늘도 홀로 네게 머문다.


눈부심으로


사람과
사람들
그 수많은 얼굴 속에서 나는 너를 만났다.
너는 눈부심으로 가득했다.
눈부심으로 너는 나에게 왔고
눈부심으로 나는 너를 향해 걸어 들어갔다.
나는 너의 내력을 잘 모른다.
너 또한 나의 전력을 잘 몰랐으리
알려고도 하지 않았으리
우리들의 조우에 그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다만 너는 그때 바로 그 자리에 한 여인으로 있었고
나는 그때 바로 그곳에 한 사내로 있었다.
그것만이 우리의 환희였다.
우리의 무상한 노래였다.
너와

우리의 눈부심으로


나무 해인


산에 들어 처음 그 나무를 만나고서
나는 그 나무를 그냥 나무로 보았다.
몇 해 지난 다음 다시 그 나무를 만나고서는
나는 그 나무를 성자라 생각했다.
산정 거친 바위벽을 안고 몸부림쳤을
그를 깨닫고 난 후였다.
세상은 나무를 그냥 두지 않았다.
나무는 육신을 비틀었다.
가지는 떨어져 나가고 흔적만 남았다.
키는 낮아 더 낮아질 수 없다는 듯
지옥처럼 붉어 몸통 전체가
울금향을 담은 그릇 같았다.
동쪽으로 난 서너 줌의 잎사귀 타래
그것만이 살아있음을 알렸다.
천지와 어울리자면 다만 그러해야 했던가
순종의 끝은 다만 그러했던가
나는 나무 앞에서 두 손을 모았다.
천지 그 법이 얼른 나를 스치고 지나갔다.
산속 모든 나무가 성자,
세상의 모든 나무들은
나무 같은 사람들은 성자다.
나무를 싹 틔워 기르는 이 땅은 해인의
도독한 무릎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