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89292447
· 쪽수 : 1710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만문본 <欽定滿州祭神祭天典禮> 서문 / 5
만문본 <欽定滿州祭神祭天典禮> 해제 / 7
일러두기 / 15
01. 황제의 말씀(上諭) 23
02. 직명(職名) 41
03. 장(章)의 수목(數目) 59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일권(第一卷)
04.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기 위하여 말한 것 73
05. 새로 수확한 제철 음식을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하기 위하여 말한 것 87
06.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던 옛일을 한데 모아서 기록한 것 99
07. 곤녕궁(坤寧宮)에서 설날에 예를 올리는 의주(儀注) 175
08.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설날에 예를 올리는 의주(儀注) 179
09.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183
10.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 195
11. 샹시(?angsi) 신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199
12. 샹시(?angsi) 신의 정식전(亭式殿)에서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 203
13. 신위(神位)를 청(請)하여서 당자(堂子)에 공양하는 의주(儀注) 205
14. 신위(神位)를 청(請)하여서 궁(宮)에 들이는 의주(儀注) 213
15. 곤녕궁(坤寧宮)에서 매월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219
16. 곤녕궁(坤寧宮)에서 매월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 309
17. 신위에 제사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341
18. 신위에 제사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할 때에 창(唱)하는 말 369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이권(第二卷)
19. 곤녕궁(坤寧宮)에서 평일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373
20. 곤녕궁(坤寧宮)에서 평일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 455
21. 사계절에 헌신(獻神)하는 의주(儀注) 487
22. 사계절에 헌신(獻神)할 때에 축원하는 말 501
23. 불상을 목욕시키는 의주(儀注) 509
24. 불상을 목욕시킬 때에 축원하는 말 539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삼권(第三卷)
25. 보제(報祭)하며 신위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547
26. 보제(報祭)하며 신위에 제사할 때에 축원하는 말 621
27. 당자(堂子)에서 입수대제(立樹大祭)하는 의주(儀注) 659
28. 당자(堂子)에서 입수대제(立樹大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709
29. 곤녕궁(坤寧宮)에서 대제(大祭)하는 의주(儀注) 717
30. 곤녕궁(坤寧宮)에서 대제(大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805
31. 대제(大祭)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하는 의주(儀注) 843
32. 대제(大祭)한 이튿날 하늘에 제사할 때에 창(唱)하는 말 873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사권(第四卷)
33. 구복(求福)하는 의주(儀注) 879
34. 구복(求福)할 때에 축원하는 말 917
35. 젖먹이들을 위하여 구복(求福)할 때에 축원하는 말 935
36. 병아리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할 때 축원하는 말 951
37. 새끼거위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955
38. 생선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959
39. 꿩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963
40. 무릇 신선한 제철음식을 공양하며 배등제(背燈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967
41.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마신제(馬神祭)하는 의주(儀注) 971
42. 당자(堂子)의 정식전(亭式殿)에서 마신제(馬神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985
43. 정일(正日)에 마신제(馬神祭)하는 의주(儀注) 989
44. 정일(正日)에 마신제(馬神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1061
45. 이튿날 마신제(馬神祭)하는 의주(儀注) 1091
46. 이튿날 마신제(馬神祭)할 때에 축원하는 말 1163
47. 발어(跋語) 1192
48. 주(奏) 1203
49. 주(奏)2 1208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오권(第五卷)
50.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할 때에 공양하고 쓰는 물품류의 수목(數目) 1211
황지(皇旨)로 정하신 《만주인들의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하는 칙례(則例)》 제육권(第六卷)
51. 신위에 제사하고 하늘에 제사할 때에 공양하고 쓰는 물품류의 모양을 그린 그림 1407
만주어 주석 1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