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9333492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2-08-2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서론
1부 실재 세계를 위한 디자인
1장 디자인 스튜디오를 벗어나 자연사회적 삶의 흐름 속으로
2장 디자인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2부 디자인 존재론의 재설정
3장 우리 문화의 배경: 합리주의, 존재론적 이원론 그리고 관계성
4장 존재론적 디자인의 개요
3부 플루리버스를 향한 디자인
5장 전환을 위한 디자인
6장 자치 디자인과 관계성 및 공동성의 정치학
결론
인터뷰: 실용주의, 유토피아주의, 그리고 실재의 정치학
옮긴이 해제: 자본의 메타버스를 넘어 생태의 플루리버스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제 소망은 이 책이 한국의 독자들에게 을 위한 디자인 실천과 사회운동을 비판적으로, 동시에 건설적으로 사고하는 데 유용한 성찰이 되는 것입니다. 일례로 한국의 디자이너들은 자신들의 비판에 존재론적 디자인이나 자치 디자인, 전환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을까요? 포스트 발전(Post-growth)과 부엔 비비르(Buen Vivir), 혹은 공동성과 자치라는 라틴아메리카의 사고가 한국 사회를 분석하고 사회문화적 투쟁을 전개하는 데 영감을 제공할 수 있을까요? 무엇보다도 저는 한국의 학자들과 학생들, 활동가들이 이 책을 통해 자신들의 문제를 반추하고, 디자인과 사회에 관해 다시 상상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 <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한 번 더 질문을 던진다. 시장에 종속된 디자인이 형태와 개념, 영토와 물질을 지닌 창조적 실험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까? 특히 지구와 함께 호흡하는 삶을 기획하기 위해 투쟁하는 서발턴 공동체에 적합한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을까?--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