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한론 14강

상한론 14강

유도주 (지은이), 박상영 (옮긴이), 정재우 (감수)
수퍼노바(도서출판)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170원
37,830원 >
3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900원
3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한론 14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한론 14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9118939601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8-10-31

책 소개

상한ㆍ금궤의 수퍼노바 2권. <상한론>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14강으로 나누어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간명한 언어로 소개하고 있다.

목차

제1강 《상한론》에 대하여
제1절 《상한론》의 역사변천
제2절 《상한론》은 어떤 책인가
제3절 육경의 개념
제4절 육경변증 방법
제5절 육경병(六經病)의 전변(傳變)
제6절 ‘육경’에 대한 분석
제7절 팔강변증과 육경변증의 관계
1. 음양(陰陽)
2. 표리(表裏)
(1) 태양병 표리증
① 태양병 경표증(經表證)
② 태양병 이증(裏證)
(2) 양명병 표리증
① 양명병 경표증(經表證)
② 양명병 이증(裏證)
(3) 소양병 표리증
① 소양병 경표증(經表證)
② 소양병 이증(裏證)
(4) 태음병 표리증
① 태음병 경표증(經表證)
② 태음병 이증(裏證)
(5) 소음병 표리증
① 소음병 경표증(經表證)
② 소음병 이증(裏證)
(6) 궐음병 표리증
① 궐음병 경표증(經表證)
② 궐음병 이증(裏證)
3. 한열(寒熱)
(1) 태양병 한열증
① 태양병 한증
② 태양병 열증
(2) 양명병 한열증
① 양명병 이한증(裏寒證)
② 양명병 이열증(裏熱證)
(3) 소양병 한열증
① 소양병 한증
② 소양병 열증
(4) 태음병 한열증
① 태음병 한증
② 태음병 열증
(5) 소음병 한열증
① 소음병 한증
② 소음병 열증
(6) 궐음병 한열증
① 궐음병 한증
② 궐음병 열증
4. 허실(虛實)
(1) 태양병 허실
① 태양병 표허증(表虛證)
② 태양병 표실증(表實證)
(2) 양명병 허실
① 양명병 이허증(裏虛證)
② 양명병 이실증(裏實證)
(3) 소양병 허실
① 소양병 허증
② 소양병 실증
(4) 태음병 허실
① 태음병 허증
② 태음병 실증
(5) 소음병 허실
① 소음병 허증
② 소음병 실증
(6) 궐음병 허실
① 궐음병 허증
② 궐음병 실증
5. 소결(小結)
제8절 《상한론》의 치료법칙
제9절 《상한론》의 방제
제10절 《상한론》의 학습방법

제2강 《상한론》 조문 조직 배열의 의미
제1절 〈태양병상편〉 30조
제2절 〈태양병중편〉 97조
제3절 〈태양병하편〉 51조
제4절 〈양명병편〉 84조
제5절 〈소양병편〉 10조
제6절 〈태음병편〉 8조
제7절 〈소음병편〉 45조
제8절 〈궐음병편〉 56조
제9절 〈곽란병편〉 10조
제10절 〈음양역차후노복병편〉 7조

제3강 육경병(六經病) 제강증(提綱證)의 의미
제1절 태양병의 제강증
제2절 양명병의 제강증
제3절 소양병의 제강증
제4절 태음병의 제강증
제5절 소음병의 제강증
의안【01】
제6절 궐음병의 제강증

제4강 《상한론》의 기화학설(氣化學說)
제1절 태양경병
제2절 양명경병
제3절 소양경병
제4절 태음경병
제5절 소음경병
제6절 궐음경병
제7절 소결(小結)

제5강 계지탕의 가감증치
제1절 계지탕의 적응증
제2절 계지탕의 임상응용
1. 때로 발열이 있고 자한이 나는 경우
의안【02】
의안【03】
2. 심마진(蕁麻疹)
의안【04】
3. 편저(偏沮)
의안【05】
제3절 계지탕의 가감응용
1. 가미계지탕(加味桂枝湯)
(1) 계지가계탕(桂枝加桂湯)
의안【06】
(2) 계지가작약탕(桂枝加芍藥湯)
의안【07】
(3) 계지가갈근탕(桂枝加葛根湯)
의안【08】
(4) 계지가인삼탕(桂枝加人參湯)
의안【09】
(5) 계지가부자탕(桂枝加附子湯)
(6) 계지가황기탕(桂枝加黃?湯)
(7) 계지가괄루근탕(桂枝加?蔞根湯)
(8) 계지가후박행자탕(桂枝加厚朴杏子湯)
2. 감미계지탕(減味桂枝湯)
계지거작약탕(桂枝去芍藥湯)
3. 유가유감계지탕(有加有減桂枝湯)
(1) 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桂枝去桂加茯?白朮湯)
의안【10】
(2) 계지거작약가촉칠모려용골구역탕(桂枝去芍藥加蜀漆牡蠣龍骨救逆湯)
(3) 계지거작약가부자탕(桂枝去芍藥加附子湯)】
의안【11】

제6강 마황탕의 가감증치
제1절 마황탕의 적응증
제2절 마황탕의 임상응용
의안【12】
제3절 마황탕의 가감응용
1. 소청룡탕(小靑龍湯)
의안【13】
2. 대청룡탕(大靑龍湯)
의안【14】
의안【15】
3. 갈근탕(葛根湯)

제7강 영계제의 가감증치
제1절 수기(水氣)의 개념
제2절 수기상충(水氣上衝)의 메커니즘
1. 색진(色診)
2. 맥진(脈診)
제3절 수기상충(水氣上衝)의 증ㆍ치
1. 영계출감탕(?桂朮甘湯) 치험
의안【16】
2. 영계행감탕(?桂杏甘湯) 치험
의안【17】
3. 오령산(五?散) 치험
의안【18】
4. 영계미감탕(?桂味甘湯) 치험
5. 영계강감탕(?桂薑甘湯) 치험
의안【19】
6. 영계조감탕(?桂棗甘湯) 치험
의안【20】
7. 영계행이탕(?桂杏苡湯) 치험
의안【21】
8. 영계개감탕(?桂芥甘湯) 치험
의안【22】
9. 영계천홍탕(?桂?紅湯) 치험
의안【23】
10. 영계용모탕(?桂龍牡湯) 치험
의안【24】

제8강 백호탕류의 가감증치
제1절 백호탕(白虎湯)
의안【25】
의안【26】
제2절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參湯)
의안【27】
의안【28】
제3절 백호가계지탕(白虎加桂枝湯)
의안【29】
제4절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의안【30】
의안【31】
제5절 백호가창출탕(白虎加蒼朮湯)
의안【32】
제6절 옥녀전(玉女煎)
의안【33】
제7절 화반탕(化斑湯)

제9강 승기탕류의 가감증치
제1절 대승기탕(大承氣湯)
의안【34】
제2절 소승기탕(小承氣湯)
의안【35】
제3절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의안【36】
제4절 마자인환(麻子仁丸)
의안【37】
제5절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의안【38】
제6절 후박칠물탕(厚朴七物湯)
의안【39】
제7절 후박삼물탕(厚朴三物湯)
제8절 후박대황탕(厚朴大黃湯)
제9절 대황초석탕(大黃硝石湯)
제10절 대황모란피탕(大黃牡丹皮湯)
의안【40】
제11절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
제12절 황룡탕(黃龍湯)
제13절 증액승기탕(增液承氣湯)
의안【41】

제10강 시호탕류의 가감증치
제1절 소시호탕(小柴胡湯)의 증치
의안【42】
제2절 소시호탕(小柴胡湯)의 가감증치
1. 시호가계지탕(柴胡加桂枝湯)
의안【43】
2. 시호가작약탕(柴胡加芍藥湯)
의안【44】
3.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
(1) 간경화 초기의 치료
(2) 관절염에 간기(肝氣) 울체를 동반한 경우의 치료
(3) 간기찬(肝氣竄)의 치료
4. 시호거반하가괄루근탕(柴胡去半夏加?蔞根湯)
5. 시호가복령탕(柴胡加茯?湯)
6. 시함합방(柴陷合方)
의안【45】
7. 시호강미탕(柴胡薑味湯)
8. 대시호탕(大柴胡湯)
의안【46】
의안【47】
9. 시호가망초탕(柴胡加芒硝湯)
10.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薑湯)
의안【48】
11.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
의안【49】
12. 시호해독탕(柴胡解毒湯)
13. 삼석해독탕(三石解毒湯)
의안【50】
14. 시호인진호탕(柴胡茵陳蒿湯)
15. 시호별갑탕(柴胡鱉甲湯)
의안【51】
16. 시백탕(柴白湯)
의안【52】

제11강 이중탕류의 가감증치
제1절 이중탕(理中湯)
의안【53】
제2절 계지인삼탕(桂枝人參湯)
의안【54】
제3절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
의안【55】

제12강 사역탕류의 가감증치
제1절 사역탕(四逆湯)
의안【56】
제2절 사역가인삼탕(四逆加人參湯)
의안【57】
제3절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의안【58】
제4절 통맥사역가저담즙탕(通脈四逆加猪膽汁湯)
제5절 백통탕(白通湯)
의안【59】
의안【60】
제6절 백통가저담즙탕(白通加猪膽汁湯)
제7절 건강부자탕(乾薑附子湯)
제8절 복령사역탕(茯?四逆湯)
의안【61】
제9절 부자탕(附子湯)

제13강 한열착잡증(寒熱錯雜證) 처방 종합
제1절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의안【62】
제2절 부자사심탕(附子瀉心湯)
의안【63】
제3절 황련탕(黃連湯)
의안【64】
제4절 오매환(烏梅丸)
의안【65】
제5절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
의안【66】
제6절 건강황금황련인삼탕(乾薑黃芩黃連人參湯)
의안【67】

제14강 경방(經方)을 쓸 때의 핵심은 주증(主證)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1절 주증이란 무엇이며, 왜 주증을 먼저 파악해야 하는가?
제2절 주증을 파악하되 겸증에도 주의해야 한다
제3절 변증(變證)의 형성과 임상에서의 의의
제4절 협잡증 형성의 특징
제5절 주증을 파악하여 경방을 쓴 치험례
1. 소승기탕증
의안【68】
2. 오수유탕증
의안【69】
3. 작약감초탕증
의안【70】
4. 황련아교탕증
의안【71】
의안【72】
5. 시호가용골모려탕증
의안【73】
6. 저령탕증
의안【74】
제6절 소결

인명색인
서명색인
편명색인
본문 처방 요약
처방색인
역자후기

저자소개

유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랴오닝(遼寧)성 잉커우(營口)시 사람으로, 베이징중의약대학 교수이다. 16세에 정식으로 스승을 모시고 의학을 시작하였는데, 7년 동안의 배움을 마친 후 다롄(大連)에 개원하였다. 1945년에 수도로 와서 치엔량후퉁(錢粮胡同)에서 의업을 행하였다. 1950년에 위생부의 중의진수학교(中醫進修學校)에 입학하여 서의의 기초지식과 임상과정을 공부하였다. 1956년에 신설된 베이징중의학원(현 베이징중의약대학)에 전속되어 상한교연실(傷寒?硏室)의 부주임과 주임, 고전의저교연실(古典醫著?硏室)의 주임, 금궤교연실(金??硏室)의 주임, 중의기초부(中醫基礎部) 책임자, 《베이징중의약대학학보》의 주편과 명예주편, 베이징중의약대학학술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류두저우 교수는 국가교육위원회에서 첫 번째로 비준한 중의교수이자, 중국 최초의 중의석사연구생 지도교수 및 박사연구생 지도교수로, 국무원이 수여한 정부 보조금의 혜택을 받았다. 그는 중의교육사업에 근 반세기를 종사하면서 풍부한 교육경험을 가지고 많은 각 단계의 중의인재를 배양하였는데, 석사생 24명과 박사생 12명, 입실제자 수 명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교육과 임상 이외에 글 쓰는 것을 계속하여 저술이 자못 풍부하다. 집필하여 출판된 학술저작이 30여 종이고 저술되어 발표된 학술논문이 110여 편이며, 국가위생부 과제인 ‘상한론정리연구’를 주재하여 영예롭게도 국가중의약관리국(國家中醫藥管理局)의 과기진보장(科技進步奬)을 받았다. 그는 전국중경학술전업위원회(全國仲景學術專業委員會)를 설립하여 주재하였고, 일찍이 국제·국내중경학술교류대회를 여러 번 조직하여 중경학술(仲景學術)의 계승과 발전을 아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그는 중의학을 변함없이 더욱 발전시킬 포부를 가지고 일찍이 여러 번 초대에 응하여 일본에 가서 학술강연을 하였으며, 아울러 싱가포르·호주·홍콩 등을 방문하여 교류하였다. 류두저우 교수는 학자이자 교육자이면서 명의이다. 그는 위로는 기황(岐黃)의 도(道)로 거슬러 올라가고 아래로는 제가(諸家)의 학설에 이르며 중경(仲景)의 학문을 힘써 제창하고 여러 가지 장점을 널리 받아들이면서 학식과 경험이 모두 풍부해져 점차 독특한 학술사상과 의료기풍을 형성하였다. 스스로 교육사업에 투신한 이후로 그는 끊임없이 임상을 하였는데, 여러 내과·부인과·소아과 질병의 치료에 뛰어났고, 특히 각종 간병·심장병·신병(腎病)·비위병(脾胃病)·위증(?證)·비증(?證)·현훈증·불면증 등에 대한 변증론치(辨證論治)에 독창적인 견해와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나이가 팔순이 넘었을 때 그는 자신이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인 결정체인 간병을 치료하는 연구성과를 무상으로 베이징중의약대에 기부하였다.
펼치기
박상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국문학과 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오주연문장전산고》 교감에 참여하였으며, 한국한의학연구원 출시 앱 《내손안에동의보감》의 책임을 맡았다. 2017년 3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한국한의학연구원 북경사무소 소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중국의학의 기원》, 《후쿠나가 미츠지의 장자 내편》(각각 2017년·2020년 세종도서 선정 도서, 이상 2인 공역), 《상한론통속강화》, 《상한론14강》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우 (감수)    정보 더보기
1958년 경북 칠곡 출생.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였고, 원광대학교 내과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경북 칠곡에서 원재한의원을 운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특산식물》, 《보현산의 풀과나무》, 《청송 자생약초도감》(이상 공저), 《천식닷컴으로의 초대》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