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한론, 쉽게 읽기

상한론, 쉽게 읽기

후시수, 풍세륜 (지은이), 김말숙, 박상영 (옮긴이)
수퍼노바(도서출판)
5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8,000원 -0% 0원
0원
5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한론, 쉽게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한론, 쉽게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91189396237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22-05-23

책 소개

<상한론>을 통해 <상한론>을 해석한 주석서다. 모든 조문에 대한 주석을 다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애매한 구절이 거의 없도록 주석처리를 한 것이 큰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본문 전체를 아우르도록 책 앞머리에 이론 부분을 두었다.

목차

내용 개요 9
서문:근본 문제 해결을 위한 《상한론》 읽기 10
독서 지도:경방 변증시치 개론호희서 선생 창시 22
1. 《상한론》의 독특한 이론 체계 22
2. 육경과 팔강 27
3. 치료 원칙 38
4. 방증에 대하여 40
5. 식·수·어혈로 생긴 병에 대하여 41
6. 경방의 맥진 64
(1) 맥동(脈動) 방면에서 유래한 맥상 65
(2) 맥체(脈體) 방면에서 유래한 맥상 68
(3) 혈행(血行) 방면에서 유래한 맥상 68
(4) 복합맥(겸맥兼脈) 69
7. 변증시치의 실질에 대하여 75
상한론서(傷寒論序) 82
상한론자서(傷寒論自序) 85

第1篇 辨太陽病表陽證脈證幷治:제1조[001]~~제178조[187]
第1章 辨太陽病表陽證脈證幷治 上:제1조[001]~제30조[031] 93
·辨太陽病 表陽證 脈證幷治 上前 11條 小結 120
【의안1】 151
【의안2】 172
·辨太陽病 表陽證 脈證幷治 上後 19條 小結 176
第2章 辨太陽病表陽證 脈證幷治 中:제31조[032]~제127조[135] 179
【의안3】 238
·辨太陽病 表陽證 脈證幷治 中 小結 304
第3章 辨太陽病表陽證脈證幷治 下:제128조[136]~제178조[187] 307
【의안4】 330
·辨太陽病 表陽證 脈證幷治 下 小結 384
·太陽病證治 要點 386

第2篇 辨陽明病裏陽證脈證幷治:제179조[191]~제262조[275]
第1章 辨陽明病裏陽證脈證幷治 上:제179조[191]~제206조[218] 391
·辨陽明病 裏陽證 脈證幷治 上 28條 小結 415
第2章 辨陽明病裏陽證脈證幷治 下:제207조[219]~제262조[275] 417
·辨陽明病 裏陽證 脈證幷治 下 56條 小結 478
·陽明病證治 要點 478

第3篇 辨少陽病半表半裏陽證脈證幷治:제263조[276]~제272조[285] 481
·少陽病證治 要點 489

第4篇 辨太陰病裏陰證 脈證幷治:제273조[286]~제280조[294] 493
·太陰病證治 要點 504

第5篇 辨少陰病表陰證 脈證幷治:제281조[295]~제325조[339] 505
·少陰病 總論 小結 520
【의안5】 554
·少陰病證治 要點 559

第6篇 辨厥陰病半表半裏陰證脈證幷治:제326조[340]~제381조[396] 563
·厥陰病篇 厥證 小結 598
·厥陰病篇 下利證治 小結 613
·厥陰病證治 要點 618
附篇1 辨霍亂病脈證幷治:제382조[397]~제391조[407] 623
附篇2 辨陰陽易差後勞復病脈證幷治:제392조[408]~제398조[414] 639
색인 650

저자소개

후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 사람으로, 저명한 경방(經方) 임상가이자 교육자이다. 청년 시기에 청말(淸末)의 명의인 왕샹정(王祥徵)에게 의학을 배웠고, 1919년에 선양에서 실시한 중의고시에 참가하여 중의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1931년에는 북경에서 진료를 시작하였고, 1952년에는 북경사립중의학교를 개설하였다. 이후 1958년에 북경중의학원으로 부임하여 내과학 교수 및 부속병원 학술위원회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북경중의학원에서 후시수 교수는 특히 중경학설에 대한 연구에 있어 독특한 견해를 밝힘으로써 세인의 주목을 받았다. 1960년대에 발표한 〈상한의 육경(六經)논치와 팔강(八綱)의 관계〉라는 글은 당시에 역대 의가들이 미처 제기하지 못했던 특출한 관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후시수 교수가 생각한 중경학설은 육경과 팔강의 변증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서, 《황제내경》의 학술체계와는 다른 연원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후 교수는 방증(方證)을 중심으로 하는 변증논치의 실질을 밝히고자 하였고, 실제로 임상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후시수 교수는 일생 동안 학술발표에 매우 신중한 모습을 보였으며, 저서로는 《상한론해설(傷寒論解說)》, 《금궤요략해설(金?要略解說)》, 《경방이론여실천(經方理論與實踐)》, 《경방실천록(經方實踐錄)》 등이 있지만 지금은 쉽게 찾아볼 수 없다. 다행히도 후시수 교수의 제자들에 의해 그의 학술사상이 충실히 계승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후 교수가 남긴 학문적 업적이 오늘날에도 충분히 조명받고 있다.
펼치기
풍세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희서의 수제자로, 현대 중의학계의 대표적인 경방 임상가이자 교육자이다. 방약중(方藥中)·송효지(宋孝志)·동건화(董建華)·조소금(趙紹琴) 등 당대 명의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으며, 특히 경방대사 호희서 선생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아 경방연구에 몰두하여 호희서 선생의 경방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상한론 고유의 경방이론 체계를 재현하였다. 그는 매년 ‘국제경방논단’과 ‘호희서 학술사상연구토론회’ 등을 개최하여 경방학술교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전역의 경방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풍세륜 경방의학 전승반’을 개설하여, 경방 학술사상의 보급과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동안 100여 편의 논문을 주요 학술지에 발표하였으며, 10여 권의 경방 서적을 출판하였다.
펼치기
김말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풍세륜의 경방 제자이며, 호희서의 재전제자이다. 베이징중의약대학 중의내과학 의학박사(중의사)로, 현재 중국 서주(徐州)에서 경방중의진소(經方中醫診所)를 운영하면서 임상에 임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후시수 경방의안집》, 《상한론의 육경과 방증》, 《황황 교수의 약증과 경방》, 《劉渡舟 경방임증지남》(이상 공역), 《최신 중의 당뇨병 치료》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국문학과 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오주연문장전산고》 교감에 참여하였으며, 한국한의학연구원 출시 앱 《내손안에동의보감》의 책임을 맡았다. 2017년 3월부터 2019년 9월까지 한국한의학연구원 북경사무소 소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중국의학의 기원》, 《후쿠나가 미츠지의 장자 내편》(각각 2017년·2020년 세종도서 선정 도서, 이상 2인 공역), 《상한론통속강화》, 《상한론14강》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