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91195665853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7-04-20
책 소개
목차
제1장 개론(槪論)
제1절 《상한론傷寒論》의 성립과 발전
제2절 《상한론》은 어떠한 책인가
제3절 ‘육경(六經)’이란 무엇인가
1. 육경(六經)과 장부경락(臟腑經絡)
2. 육경(六經)과 육기(六氣)
제4절 육경병(六經病)의 전변(傳變)
제5절 육경병(六經病)의 주증(主證)·겸증(兼證)·변증(變證)·협잡증(挾雜證)
제6절 《상한론》의 치법과 방제(方劑)
제7절 《상한론》의 변증논치(辨證論治) 정신
제2장 발병의 음양(陰陽)·한열(寒熱)에 대한 강요(綱要)
제3장 태양병(太陽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태양병의 변증강요[太陽病辨證綱要]
제2절 태양병의 경증(經證)
1. 태양중풍(太陽中風)의 증(證)·치(治)
(1) 계지탕의 주증(主證)
의안【01】
의안【02】
(2) 계지탕의 가감증(加減證)
【계지가후박행인탕증(桂枝加厚朴杏仁湯證)】
의안【03】
【계지가갈근탕증(桂枝加葛根湯證)】
【계지가부자탕증(桂枝加附子湯證)】
의안【04】
【계지거작약탕증(桂枝去芍藥湯證)·계지거작약가부자탕증(桂枝去芍藥加附子湯證)】
의안【05】
【계지가작약생강각일량인삼삼량신가탕증(桂枝加芍藥生薑各一兩人參三兩新加湯證)】
의안【06】
【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증(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證)】
의안【07】
(3) 계지탕의 금기증(禁忌證)
2. 태양상한(太陽傷寒)의 증(證)·치(治)
(1) 마황탕의 주증(主證)
의안【08】
(2) 마황탕의 가감증(加減證)
【소청룡탕증(小靑龍湯證)】
【대청룡탕증(大靑龍湯證)】
의안【09】
(3) 갈근탕증(葛根湯證)
의안【10】
3. 마·계·월비합방(麻·桂·越婢合方)의 소한증(小汗證)
(1) 계지마황각반탕증(桂枝麻黃各半湯證)
(2) 계지이마황일탕증(桂枝二麻黃一湯證)
(3) 계지이월비일탕증(桂枝二越婢一湯證)
제3절 발한금기증(發汗禁忌證)
의안【11】
제4절 전경(傳經)과 부전경(不傳經)
제5절 태양부증(太陽腑證)의 증(證)·치(治)
1. 태양축수(太陽蓄水)의 증(證)·치(治)
2. 태양축혈(太陽蓄血)의 증(證)·치(治)
(1) 어혈 초기(瘀血初期)의 증(證)·치(治)
의안【12】
(2) 어혈 형성 이후의 증(證)·치(治)
의안【13】
의안【14】
(3) 어혈경증(瘀血輕證)의 증(證)·치(治)
제6절 허번(虛煩)의 증(證)·치(治)·치료금기
1. 치자시탕증(梔子豉湯證)
2. 치자시탕가감증(梔子豉湯加減證)
3. 치자시탕금기증(梔子豉湯禁忌證)
의안【15】
제7절 결흉(結胸)의 증(證)·치(治)
1. 대함흉환증(大陷胸丸證)
2. 대함흉탕증(大陷胸湯證)
3. 소함흉탕증(小陷胸湯證)
의안【16】
4. 삼물백산증(三物白散證)
5. 함흉탕(陷胸湯)의 금기와 결흉증(結胸證)의 예후
의안【17】
제8절 심하비(心下痞)의 증(證)·치(治)
1. 반하사심탕증(半夏瀉心湯證)
의안【18】
2. 생강사심탕증(生薑瀉心湯證)
의안【19】
3. 감초사심탕증(甘草瀉心湯證)
4. 대황황련사심탕증(大黃黃連瀉心湯證)
의안【20】
5. 부자사심탕증(附子瀉心湯證)
의안【21】
6. 선복대자탕증(旋覆代赭湯證)
의안【22】
의안【23】
제9절 태양병(太陽病)의 변증(變證)과 치법(治法)
1.표리선후(表裏先後)·표본완급(標本緩急)·조정음양(調整陰陽)의 치료법칙
2. 사열(邪熱)이 폐를 압박하여 생긴 천(喘)의 증(證)·치(治)
의안【24】
3. 협열(協熱)로 인한 하리(下利)의 증(證)·치(治)
4. 오치(誤治)로 인한 허증(虛證)과 치법
(1) 심허(心虛)에 의해 생긴 계증(悸證)
의안【25】
(2) 심허(心虛)에 의해 생긴 번조증(煩躁證)
(3) 심허(心虛)에 의해 생긴 경광증(驚狂證)
(4) 심(心)의 양기가 허해 분돈증(奔豚證)이 되려 하는 경우
(5) 심(心)의 양기가 허해 분돈증(奔豚證)이 된 경우
의안【26】
(6) 심(心)의 양기가 허해 생긴 수기상충증(水氣上衝證)
의안【27】
(7) 심허(心虛)에 의해 생긴 동계(動悸)와 맥결대증(脈結代證)
의안【28】
(8) 심신쌍허증(心腎雙虛證)
(9) 위허(胃虛)에 의해 생긴 수정증(水停證)
(10) 비허(脾虛)에 의해 생긴 번계증(煩悸證)
의안【29】
(11) 비허(脾虛)에 의해 생긴 기체복창증(氣滯腹脹證)
의안【30】
(12) 중한(中寒)에 의한 토역(吐逆)의 맥(脈)·증(證)
(13) 토한 후의 내번증(內煩證)
(14) 신(腎)의 양기가 허해 생긴 수범증(水泛證)
의안【31】
(15) 신(腎)의 양기가 허해 생긴 번조증(煩躁證)
(16) 신(腎)의 음기·양기가 모두 허해 생긴 번조증(煩躁證)
(17) 음양양허(陰陽兩虛)와 음양전화증(陰陽轉化證)
(18) 증(證)에 따라 치료함[隨證施治]
의안【32】
5. 화역(火逆)으로 인한 변증(變證)
(1) 태양중풍(太陽中風)에 잘못하여 화공(火攻)을 쓴 경우
(2) 상한양울(傷寒陽鬱)에 잘못하여 화공(火攻)을 쓴 경우
(3) 표실내열(表實內熱)에 잘못하여 화공(火攻)을 쓴 경우
(4) 온병(溫病)에 잘못하여 화공(火攻)을 쓴 경우
(5) 음허(陰虛)에 잘못하여 화공(火攻)을 쓴 경우
제10절 태양병(太陽病)의 유증(類證)과 치료(治療)
1. 온병(溫病)
2. 풍온(風溫)
3. 풍한습비증(風寒濕痺證)
(1) 계지부자탕증(桂枝附子湯證)
(2) 감초부자탕증(甘草附子湯證)
제4장 양명병(陽明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양명병의 변증강요[陽明病辨證綱要]
제2절 양명병의 형성 원인
제3절 양명병의 부증(腑證)과 치법
1. 조위승기탕증(調胃承氣湯證)
2. 소승기탕증(小承氣湯證)
3. 대승기탕증(大承氣湯證)
4. 마자인환증(麻子仁丸證)
의안【33】
5. 밀전도법(蜜煎導法)
제4절 양명병에 하법이 가한 경우와 불가한 경우
제5절 양명병의 경증(經證)과 치법
제6절 양명병의 열증(熱證)과 치법
의안【34】
제7절 양명병의 한증(寒證)과 치법
의안【35】
제8절 양명병의 축혈증(蓄血證)과 치법
제9절 습열발황(濕熱發黃)의 증(證)·치(治)
의안【36】
제10절 양명병의 예후
제5장 소양병(少陽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소양병의 변증강요[少陽病辨證綱要]
제2절 소양병의 정치법(正治法)
의안【37】
의안【38】
제3절 소양병의 치료금기
제4절 소양병 병기(病機)의 변화
제5절 소양병의 권변치법(權變治法)
1. 시호계지탕증(柴胡桂枝湯證)
2. 대시호탕증(大柴胡湯證)
의안【39】
3. 시호가망초탕증(柴胡加芒硝湯證)
4. 시호계지건강탕증(柴胡桂枝乾薑湯證)
의안【40】
5. 시호가용골모려탕증(柴胡加龍骨牡蠣湯證)
의안【41】
제6절 열이 혈실(血室)에 들어간 경우의 증(證)·치(治)
제6장 합병(合病)·병병(幷病)
제1절 태양과 양명의 합병[太陽陽明合病]
제2절 태양과 소양의 합병[太陽少陽合病]
제3절 양명과 소양의 합병[陽明少陽合病]
제4절 삼양의 합병[三陽合病]
제5절 태양과 양명의 병병[太陽陽明幷病]
제6절 태양과 소양의 병병[太陽少陽幷病]
제7절 소양과 양명의 병병[少陽陽明幷病]
제7장 태음병(太陰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태음병의 변증강요[太陰病辨證綱要]
제2절 태음장병(太陰臟病)의 증(證)·치(治)
제3절 태음경병(太陰經病)의 증(證)·치(治)
제4절 태음경장구병(太陰經臟俱病)의 증(證)·치(治)
제8장 소음병(少陰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소음병의 변증강요[少陰病辨證綱要]
의안【42】
제2절 소음병 한증(寒證)
1.마황부자세신탕증(麻黃附子細辛湯證)과 마황부자감초탕증(麻黃附子甘草湯證)
2. 부자탕증(附子湯證)
3. 진무탕증(眞武湯證)
4. 사역탕증(四逆湯證)
5. 통맥사역탕증(通脈四逆湯證)
의안【43】
6. 백통탕증(白通湯證)과 백통가저담즙탕증(白通加猪膽汁湯證)
7. 오수유탕증(吳茱萸湯證)
의안【44】
8. 도화탕증(桃花湯證)
의안【45】
제3절 소음병 열증(熱證)
1. 황련아교탕증(黃連阿膠湯證)
의안【46】
2. 저령탕증(猪苓湯證)
의안【47】
3. 소음의 사열(邪熱)이 밖으로 태양으로 전해진 증
4. 사역산증(四逆散證)
의안【48】
제4절 소음 인통(咽痛)의 증(證)·치(治)
의안【49】
제5절 소음병의 급하증(急下證)
의안【50】
제6절 소음병의 치료금기
의안【51】
제7절 소음병의 예후
제9장 궐음병(厥陰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궐음병의 변증강요[厥陰病辨證綱要]
제2절 궐음병 한열착잡증(寒熱錯雜證)의 치료
1. 오매환증(烏梅丸證)
2. 건강황금황련인삼탕증(乾薑黃芩黃連人參湯證)
3. 마황승마탕증(麻黃升麻湯證)
의안【52】
제3절 궐음병 한증(寒證)
1. 오수유탕증(吳茱萸湯證)
2. 당귀사역탕증(當歸四逆湯證)
의안【53】
제4절 궐음병 열증(熱證)
의안【54】
제5절 궐음병의 병기변화(病機變化)
제6절 궐음병의 치료금기
제7절 궐음병의 예후
제10장 곽란병(霍亂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곽란병의 변증강요[霍亂病辨證綱要]
제2절 곽란과 상한의 감별
제3절 곽란병의 증(證)·치(治)
1. 곽란 표리한열의 증·치
2. 곽란에 구토·설사로 인한 망양(亡陽)의 증·치
3. 곽란에 구토·설사로 음양이 모두 허해진 경우의 증·치
4.곽란에 구토·설사로 양이 빠져나가고 음이 고갈된 경우의 증·치
5. 곽란병 후의 조치
제11장음양역(陰陽易)과 병이 나은 후 노복병(勞復病)의 맥(脈)·증(證)·치(治)
제1절 음양역(陰陽易)의 증·치
제2절 병이 나은 후 노복병(勞復病)의 증·치
제3절 병이 나은 후 다시 발열할 때의 증·치
제4절 병이 나은 후 허리 이하에 수기(水氣)가 있는 경우의 증·치
제5절 병이 나은 후 침을 자주 뱉는 경우의 증·치
제6절 병이 나은 후 여위고 숨결이 약한 경우의 증·치
제7절병이 나은 후 해 질 무렵에 약간 번증(煩證)이 있는 경우의 증·치
인명색인
서명색인
편명색인
처방색인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