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9736002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2-05-25
책 소개
목차
인지행동 코칭: 30가지 특징
코칭 특징
역자 서문
도입: 인지행동 치료에서 인지행동 코칭까지
제1부. 인지행동 이론
1. 의미 도출
2. 왜곡된 정보처리
3. 사고 수준
4. 생각, 감정, 행동, 생리현상, 상황 사이의 상호 연관성
5. 정서적 반응의 연속체
6. 특정 인지 내용을 담은 정서
7. 인지 취약성
8. 인식과 접근 가능한 사고
9. 문제 유지
10. 과학적 경험주의에 대한 강한 몰두
11. 경제성의 원칙
제2부. 인지행동 실제
12. 코칭 관계
13. 평가 및 사례개념화
14. 코칭 세션 구조화
15. 목표 설정
16. 인지 모델 교육
17. 심리적 건강의 두 가지 주요 속성
18. 행동 계획
19. 세션 외 과제 수행을 방해하는 신념
20. 변화에 대한 심리적 방해 다루기
21. 실용적인 문제 해결 모델
22. 소크라테스식 질문
23. 행동 실험
24. 깊은 신념 다루기
25. 마음챙김
26. 회복탄력성
27. 코칭 종료 및 그 이후
28. 수퍼비전
29. 코칭 세션
30. 인지행동 코칭은 모든 사람에게 맞지는 않으며, 이들을 위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참고문헌
인덱스
저자 및 역자 소개
발간사
책속에서
인지행동 코칭에는 일반적인 코칭 모델과 관련된 특징이 많다. 이 특징에는 현재에 머무르기(고객의 현재 걱정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과거 정보 수집 가능), 목표 설정, 행동 계획 수립, 목표 집중을 위한 자기 통제 전략 개선, 진행 상황 모니터링, 문제 해결 기술 학습, 변화에 대한 장애물 다루기 등이 있다.
나는 코칭과 치료 두 접근법의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치료하고자 하는 문제들은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수행 불안, 불확실성 대처, 사기꾼 증후군, 대인 관계 어려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약하거나 통제 불능으로 보이는 일에 대한 두려움, 괴롭힘, 미루기, 분노 등으로 코칭에서 다루는 어려움과 같다.
인지 이론은 ‘심리적 괴로움에 있을 때 사고는 더욱 경직되고 왜곡되며, 판단력은 지나치게 일반화되고 절대적이며, 자아와 세상에 대한 기본 신념이 고정된다’고 전제하는 정보처리 모델에 기초한다(Weisharr, 1996: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