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포츠와 인권

스포츠와 인권

(유소년부터 장애인까지)

백형진, 김소정, 김나영, 이광준 (지은이)
예방의학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포츠와 인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포츠와 인권 (유소년부터 장애인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91189807573
· 출판일 : 2025-06-23

책 소개

스포츠 현장에서 자주 묻혀온 인권의 목소리를 꺼내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모두의 운동장’을 꿈꾸는 책이다. 유소년, 여성, 장애인, 다문화 배경을 가진 이들까지 스포츠 안에서 배제되거나 침묵을 강요받았던 존재들의 권리를 이야기한다.
『스포츠와 인권: 유소년부터 장애인까지』 책 소개

『스포츠와 인권: 유소년부터 장애인까지』는 스포츠 현장에서 자주 묻혀온 인권의 목소리를 꺼내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모두의 운동장’을 꿈꾸는 책이다. 유소년, 여성, 장애인, 다문화 배경을 가진 이들까지—스포츠 안에서 배제되거나 침묵을 강요받았던 존재들의 권리를 이야기한다.
이 책은 ‘깍두기’와 ‘왕따’라는 은밀한 폭력, 학습권 침해, 여성 차별, 장애인 소외, 지도자의 폭력적 문화, 부모의 압박, 심판의 편견까지, 스포츠 속 일상의 폭력을 인권의 언어로 정면 돌파한다. 동시에 각 장마다 실제 사례, 정책 분석, 국내외 인권 실천 모델까지 더해 실용성과 교육성을 겸비했다.
특히, IOC·FIFA·UN 등 국제기구의 스포츠 인권 선언과 유럽·북미의 선진 사례를 정리해, 한국 스포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후반부에는 학생·부모·지도자·시민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인권 운동장 만들기 가이드’와 활동 워크북까지 담겨, 교육과 현장 실천을 위한 이상적인 교재로 손색이 없다.
"운동장은 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두의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쓰인 이 책은, 운동장에서 누구도 외롭지 않게 하기 위한 사회적 선언이자, 스포츠 정의의 실천을 위한 첫걸음이다.

목차

프롤로그 – 나의 운동장은 열려 있었는가

Part 1. 스포츠와 인권, 그 이름을 부르다

제1장. 운동화 속 권리 – 스포츠에서 인권이 시작된다
1. ‘스포츠인권’이란 무엇인가 2
2. ‘깍두기’와 ‘왕따’, 은밀한 폭력의 구조 3
3. 스포츠에 깃든 자유, 평등, 존엄의 가치 4
4. 인권으로 다시 읽는 한국 스포츠사 5

제2장. 공부하는 선수, 생각하는 경기자
1. 체육특기자라는 이름의 덫 6
2. 교육받을 권리, 배우지 못한 선수들 7
3. 학습과 운동, 두 개의 삶을 사는 법 8
4. “운동선수도 세상을 배워야 합니다” 9

제3장. 안전한 스포츠, 모두의 권리
1. 부상의 순간, 잃어버린 권리 10
2. 예방, 회복, 그리고 생각의 전환 11
3. 아이들이 다치지 않고 웃을 수 있는 운동장 12
4. 쉬는 것도 훈련입니다 – 휴식권 이야기 13

Part 2. 스포츠, 차별을 넘어서는 길

제4장. 몸에 새겨진 기억 – 폭력과의 거리두기
1. 폭력은 경기력을 높이지 않는다 15
2. “시키는 대로만 해!”라는 문화의 뿌리 16
3. 반복되는 상처, 대물림의 고리 17
4. 선수의 뇌와 마음에 남는 상처 18

제5장. 장애인과 함께 달리는 운동장
1. ‘함께’ 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20
2. 정당한 편의라는 이름의 공정 21
3. 패럴림픽 너머, 일상 속 스포츠 22
4. 나와 당신 사이, 경계를 없애는 경기 23

제6장. 스포츠에도 유리천장이 있나요?
1. 여성이 뛰기엔 너무 좁은 필드 24
2. 성차별과 편견, 구조적 억압의 역사 25
3. 성평등한 스포츠를 향한 길 26
4. ‘있어도 되는 존재’가 되기까지 27

Part 3. 연대와 평화의 경기장

제7장. 정정당당함, 공정의 기술
1. 스포츠의 정의란 무엇인가 29
2. 승패보다 중요한 ‘정정당당’의 미학 30
3. 심판의 눈, 관중의 시선, 선수의 마음 31
4. 공정함을 실천하는 방식들 32

제8장. 운동부 학부모에게 전하는 편지
1. “왜 우리 아이만 쉬어야 하나요?” 33
2. 과열된 경쟁, 사라지는 아이들 34
3. 부모로서 할 수 있는 것, 해서는 안 될 것 35
4. 함께 키우는 운동문화 36

제9장. 아이들의 곁에 선 지도자
1. 코치인가, 멘토인가 37
2. 영화 속 명장면 속 지도자의 역할 38
3. 훈육과 학대의 경계 39
4. 인권 친화적 지도법과 해외 사례 40

제10장. 스포츠가 주는 마지막 선물 – 평화
1. 스포츠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까 41
2. 팀워크, 넘나듦, 포용이라는 키워드 42
3. 올림픽, 월드컵, 작은 지역 리그의 기적 43
4. 스포츠 외교, 교육, 시민 사회를 연결하다 44
5. 평화를 향한 작은 공 하나 45

Part 4. 스포츠를 바꾸는 목소리들

제11장. 선수들이 직접 말하다: 현장 목소리로 본 스포츠 인권
1. 침묵에서 말하기까지 47
2. 이야기 하나 – 유도선수 지현(가명)의 고백 48
3. 이야기 둘 – 장애인 펜싱선수 경호(가명)의 외침 49
4. 이야기 셋 – 여성 배구선수 연수(가명)의 편지 50
5. 선수들의 말, 구조를 흔들다 51

제12장. 스포츠를 바꾼 사건들: 위기를 기회로 만든 변화
1. 사건 하나 – 체조계 성폭력 고발, 그 이후 52
2. 사건 둘 – 한국 유도계의 '침묵을 깬 고발' 54
3. 사건 셋 – 쇼트트랙 국가대표의 미투와 구조의 흔들림 55
4. 사건 넷 – 국제 패럴림픽에서 촉발된 '정당한 편의' 논의 56
5. 사건 다섯 – 일본 ‘블루카드 제도’의 확산 57
6. 변화는 이어지고 있다 58

제13장. 전 세계는 지금: 스포츠 인권의 글로벌 흐름
1. 인권 없는 스포츠는 지속될 수 없다 59
2.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스포츠 인권 선언 60
3. 유럽의 스포츠 인권 제도 – 실천적 접근의 모델 61
4. 북미의 사례 – 교육 중심 구조 개편 62
5. 아시아 국가들의 실천 – 느리지만 분명한 진보 63
6. 한국의 현주소와 나아갈 길 64
7. 스포츠 인권의 미래는 어디로 향하는가 65

Part 5. 스포츠 인권의 미래를 그리다

제14장. 지속가능한 스포츠 환경 만들기
1. 환경 친화적인 스포츠 시설과 운영 67
2. 기후 변화와 스포츠의 관계 69
3. 지속가능성을 위한 국제적 노력​ 70

Part 6. 독자의 참여를 이끄는 실천 가이드

제15장. 나의 스포츠 인권 실천 다이어리
1.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스포츠 인권 활동 72
2. 개인별 목표 설정과 점검 방법 74
3. 작은 변화가 만드는 큰 영향​ 75

제16장. 함께 만드는 인권 친화적 운동장
1.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실천 사례 76
2.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방법 78
3. 공동체의 참여와 협력 방안 79

에필로그 – 다시, 나의 운동장을 걷다 80
• “당신이 만드는 운동장은 어떤 모습인가요?”

부록 I. 스포츠와 인권, 함께 나누는 수업 81
• 스포츠인권 헌장: 스토리와 함께 읽는 조항 해설
• 스포츠인권 체크리스트 (학생용/학부모용/지도자용)

부록 II. 스포츠와 인권, 함께 나누는 수업 84
• 교사/지도자용 교육안 구성 예시 (체육 수업, 방과후 수업)
• 독서토론/에세이 주제 제안
• 학교 발표나 포스터 만들기 활동 아이디어
• ‘나만의 운동장 그리기’ 프로젝트 소개

참고문헌 88

저자소개

백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헬스케어 웨이브 대표 & 비엠코퍼레이션 이사 現.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운동치료학과 겸임교수 現. 서울시보디빌딩협회 스포츠 공정위원 現. 스포츠안전재단 강사, 대한체육회 진로지원센터 멘토 現. 스포츠윤리 지도자 자격보유 대경북스 - 스포츠윤리 파트 연구진
펼치기
김소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한국체육대학교 초빙교수 現. 한국체육철학회 사무국장 現. 스포츠윤리센터 스포츠윤리 전문강사 現. 한국체육학회 스포츠윤리위원 現. 한국도핑예방 보건의료 전문가 現. 서울특별시 루지경기연맹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
펼치기
김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국민대학교 체육학과 학술연구교수 現. 수원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객원교수 現. 서울특별시 루지경기연맹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
펼치기
이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Research Fellow, Harvard University Neurology. Ph.D., Florida State University Biomedical Sciences. M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Kinesiology and Health Education.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