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최병욱 (지은이)
산인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91189863012
· 쪽수 : 217쪽
· 출판일 : 2020-03-20

책 소개

최병욱의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남부베트남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변화의 반영물, 변화의 주체로서 '사·농·공·상, 여성'에 주목하여 이들의 삶을 통해 베트남의 근대성을 분석해낸다.

목차

머리말 _ 7

제1장 지주-소작 관계의 추이_19
이주와 정착 •24
토지 집적 •32
소작인과의 관계 •48
둔전과 촌락 만들기(屯田立邑) •55
리뷰와 전망 •60

제2장 베트남 상인층의 성장_65
중국인, 혹은 화교 상인들 •70
황제의 눈에 비친 쟈딘의 ‘말업’ •76
새로운 사람들 •85
리뷰 •100

제3장 도자기 산업_101
공장(工匠)에 관한 몇 가지 전제 •101
도자기 기술자들 •108
비엔호아 도자기 •112
工匠 사회의 면모 •117
리뷰 •123

제4장 남부베트남의 여성상
―‘음탕함’과 그 함의_125
남부 개척과 여성의 지위 •129
교역 활동 •135
간통과 매춘 •139
고결한 여성상 •143
리뷰 •146

제5장 사인과 문학_148
싸우기와 글쓰기 •155
‘룩번띠엔’ 창작 •158
남부 애국 정서의 윤리 •163
리뷰 •173

첨부 _176
참고 문헌 _ 204
찾아보기 _ 213

저자소개

최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학사, 중국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베트남사) 호주국립대학교 (Graduate Diploma, 동남아시아학) 호주국립대학교 (박사, 베트남사) 2024년 현 인하대 사학과 교수 [저서] 『짜오 아인 비엣남 - 안녕하세요 베트남』(나라사랑,1994)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ang(18201841) (SEAP, Cornell University, 2004) Water Frontier: Commerce and the Chinese in the Lower Mekong Region, 1750-1880 (Rowman & Littlefield, 2004 공저) 『동남아시아사 - 전통시대』(대한교과서 주식회사,2006, 초판) 『베트남 근현대사』(창비,2008, 초판) 『진랍풍토기』(산인, 2013, 역서)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소명출판사,2014,공저) 『동남아시아사 - 민족주의 시대』(산인, 2016) 『사마천의 동아시아-초,한,남월,조선』(산인, 2018) 『베트남 근대사의 전개와 메콩 델타』 (산인, 2020)
펼치기

책속에서

소작인과의 관계에서 지주의 합리성은 더 빛을 발했다.

소작인은 지주의 땅을 경작해 줄 소중한 인력이었다. 하시라도 떠날 준비가 되어 있는 소작인을 잡아 두고 새롭게 마을로 흘러들어 오는 유랑 농민을 끌어 들이기 위해서 소작료는 적절한 수준이어야 했다. 일방적인 착취는 엄두도 못 냈다. 소작인을 쥐어짜는 것보다 땅을 놀리지 않고 경작하는 게 지주에게는 수지맞는 일이었다.

소작인의 입장에서도 지주의 땅은 ‘생존선(subsistence level)’을 보장하는 절실한 터전이라기 보
다는 특정 시기 특정 조건에서 자기에게 유리하다고 여겨지는 안전한 보호구(保護 區)였을 뿐이다. 이 보호구는 조건이 맞지 않으면 하시라도 떠날 곳이지 지주의 자비만을 기대하며 인내하는 곳은 아니었다.

- 제1장 ‘지주-소작 관계의 추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