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91189887087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19-09-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1부 네덜란드를 변화시킨 교육정책과 기독 교육
네덜란드 교육의 재정 정책에 관한 고찰: 역사적 접근
A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a historical approach
2부 세상을 변화시키는 학문과 신앙 그리고 기업가 정신
과학과 신학의 관계: 네 가지 유형 및 도예베르트의 대안적 고찰
칼빈주의와 네덜란드의 기업가 정신: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3부 독일을 변화시킨 교육과 통일
A. H. 프란케의 교육사상과 그 영향에 관한 고찰
독일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 크리스치안 퓌러(Christian F?hrer)를 중심으로
4부 한국 사회의 변혁
동성혼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기독교 세계관과 한국 사회의 변혁
저자소개
책속에서
네덜란드 교육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헌법 23조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 제도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그 후 이러한 제도가 정착된 역사적 배경을 네 단계로 나누어 그 흐름을 고찰하면서 특히 네덜란드의 그리스도인들이 시대정신의 흐름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 살펴보겠다. 네덜란드 교육을 역사적으로 볼 때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단계는 16-17세기에 네덜란드가 독립하면서 추구했던 교회가 중심이 되어 실시했던 칼빈주의적 교육이며 두 번째로는 18-19세기에 계몽주의 영향을 받았고 나중에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지배하면서 정교분리가 이루어져 국가의 재정 지원 하에 이루어진 공립학교 중심적 교육이다. 세 번째 단계로는 이러한 계몽주의 사상에 대항하여 19세기부터 신칼빈주의자들이 일으킨 소위 ‘학교 투쟁(schoolstrijd)’ 및 사립 교육 시대이며 마지막으로 20세기 후반 이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다원주의적 상황이다. 이런 배경에서 현재 네덜란드의 교육 재정 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집행되는지 설명하겠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논의가 한국 교육의 재정 정책에 주는 함의를 제시함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네덜란드의 기독교 철학자 헤르만 도예베르트(Herman Dooyeweerd:1894-1977)의 소위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transcendental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이론을 통해(Dooyeweerd, 1984) 이 네 가지 이론을 아우르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과학의 연구 영역과 신학의 연구 대상은 엄연히 구별해야 하지만 양자 모두 하나의 학문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그 학문의 주체는 결국 인간이므로 상호 보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통합에도 그 인간의 중심이 궁극적인 기원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 결국 과학과 신학은 갈등적 요소도 있고 독립적 요소도 있지만 대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상호보완 내지 통합관계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한 후에 기독 학자의 자세에 대해 언급함으로 결론을 맺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