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2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2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에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에 대한 고찰)

최용준 (지은이)
예영커뮤니케이션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2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에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에 대한 고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비교종교
· ISBN : 979118988777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3-08

책 소개

동서양을 아우르면서도 오래된 샤머니즘, 서양의 중요한 세계관들인 공리주의, 실용주의, 실증주의, 인본주의, 사이언톨로지 및 사회진화론을 다룬 후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주체사상과 동양의 중요한 세계관인 도가사상에 관해 다루고 있다.

목차

머리말 … 6

1장 | 샤머니즘(Shamanism) … 9
2장 | 공리주의(Utilitarianism) … 37
3장 | 실용주의(Pragmatism) … 67
4장 | 실증주의(Positivism) … 99
5장 | 인본주의(Humanism) … 127
6장 | 사이언톨로지(Scientology) … 155
7장 |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 189
8장 | 주체사상(主體思想) … 217
9장 | 도가사상(道家思想) … 253

참고문헌 … 283

저자소개

최용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961년생 • 서울대학교(B.A.) •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M.Div.) • Free University in Amsterdam 철학부(Drs. 석사) • Northwest Univ. in South Africa(Ph.D.) • 독일 쾰른한빛교회 및 벨기에 브뤼셀한인교회 담임 목회 역임 • 한반도국제대학원(KUIS) 교수 및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VIEW: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 벨기에복음신학대학원(ETF:Evangelische Theologische Faculteit) 객원 교수 역임 • 현재 한동대학교 교수 및 네덜란드 Driestar Christian University 객원 교수 • 대표 저서: 『하나님이 원하시면』, 『당신, 축복의 통로가 되어라』, 『패러다임 쉬프트』, 『세상을 변화시키는 비전』, 『순례자의 통찰력』(이상 아침향기), 『응답하는 인간』(SFC출판부), 『세상을 변화시키는 학문』, 『도전하는 현대의 세계관 1, 2』, 『세상을 변화시키는 세계관』(이상 예영커뮤니케이션), 『성경적 세계관 강의』(CUP)
펼치기

책속에서



샤머니즘(Shamanism)은 신적인 존재를 불러들이는 무당(巫堂), 곧 샤먼(shaman)을 중심으로 한 세계관이다. 샤먼은 무아지경 또는 엑스터시(ecstasy)와 같은 이상 심리상태에서 굿이라고 불리는 의례를 통해 신령이나 정령 등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 접촉하고 교류하면서 도움을 받아 예언, 복점, 치병, 제의 등을 행한다(Singh, 2018). “무속”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샤머니즘은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유지해 온 토착민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념과 관습은 인류학자, 고고학자, 역사가, 종교 연구 학자, 철학자 및 심리학자를 포함한 다양한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 이 주제에 관해 수많은 책과 학술 논문이 출간되었고 지금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공리주의는 19세기 이래 영국을 중심으로 발달한 사회 윤리적 세계관으로 인간이란 쾌락 또는 행복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본성이 있음을 전제로 하므로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이 선이고 최대 다수의 행복 증진이 곧 사회적 행복을 낳는다고 본다. 즉, 인간 행위의 윤리적 기초를 개인의 이익과 쾌락의 추구에 두고, 무엇이 이익인가를 결정하는 기준은 개인 그리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이 사상은 근대 시민사회의 윤리적 기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 고전 경제학의 사상적 기초와 자본주의 질서 구축의 토대가 되었고 오늘날 정부가 어떤 정책을 결정할 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