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비교종교
· ISBN : 979118988777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4-03-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6
1장 | 샤머니즘(Shamanism) … 9
2장 | 공리주의(Utilitarianism) … 37
3장 | 실용주의(Pragmatism) … 67
4장 | 실증주의(Positivism) … 99
5장 | 인본주의(Humanism) … 127
6장 | 사이언톨로지(Scientology) … 155
7장 |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 189
8장 | 주체사상(主體思想) … 217
9장 | 도가사상(道家思想) … 253
참고문헌 … 283
저자소개
책속에서
샤머니즘(Shamanism)은 신적인 존재를 불러들이는 무당(巫堂), 곧 샤먼(shaman)을 중심으로 한 세계관이다. 샤먼은 무아지경 또는 엑스터시(ecstasy)와 같은 이상 심리상태에서 굿이라고 불리는 의례를 통해 신령이나 정령 등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 접촉하고 교류하면서 도움을 받아 예언, 복점, 치병, 제의 등을 행한다(Singh, 2018). “무속”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샤머니즘은 전 세계적으로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유지해 온 토착민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념과 관습은 인류학자, 고고학자, 역사가, 종교 연구 학자, 철학자 및 심리학자를 포함한 다양한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 이 주제에 관해 수많은 책과 학술 논문이 출간되었고 지금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공리주의는 19세기 이래 영국을 중심으로 발달한 사회 윤리적 세계관으로 인간이란 쾌락 또는 행복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본성이 있음을 전제로 하므로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이 선이고 최대 다수의 행복 증진이 곧 사회적 행복을 낳는다고 본다. 즉, 인간 행위의 윤리적 기초를 개인의 이익과 쾌락의 추구에 두고, 무엇이 이익인가를 결정하는 기준은 개인 그리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이 사상은 근대 시민사회의 윤리적 기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 고전 경제학의 사상적 기초와 자본주의 질서 구축의 토대가 되었고 오늘날 정부가 어떤 정책을 결정할 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