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9969592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1-08-0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바꾸어야 할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
1장 기업대학
01 전통적 대학 vs. 기업대학
02 인도 릴라이언스그룹의 캠퍼스 프로젝트
03 칭텅대학과 후판대학 그리고 중국의 기업대학들
04 일본의 토요타공업대학과 라쿠텐대학 그리고 기업대학들
05 21세기 공학 교육의 새로운 표준, 영국의 다이슨공과대학
06 SAS, 기업인가? 대학인가?
07 다섯 개의 에피소드와 인재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08 기업의 대학화 vs.대학의 기업화, 그리고 혁신 생태계
09 애자일 조직과 클라우드 시대의 기업 교육
10 기업 교육의 빅뱅, 클라우드가 이끄는 개인화된 학습
2장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고등교육의 스타트업
01 고등교육의 경험 혁신
02 대학 교육의 경험 혁신, 미네르바스쿨
03 기업 교육의 경험 혁신, 싱귤래리티대학
04 미국의 공짜 대학, 피플대학
05 스타트업 같은 대학, 올린공과대학
3장 신엘리트주의와 메리토크라시
01 신엘리트주의
02 메리토크라시
03 신맹모삼천지교와 잃어버린 우리의 아인슈타인
04 불평등을 만드는 교육 격차
4장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
01 라이트 형제 vs. 새뮤얼 랭글리
02 학사 학위 없는 세계의 와해적 혁신가들
03 인도인과 유대인의 혁신 DNA, 그 뿌리를 찾아서
04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
5장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01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02 위대한 삶을 이끄는 이키가이, 그릿, ‘나의 인생 프로젝트TM’
03 노력주의의 함정
04 모두를 위한 교육 심리학
05 모두를 위한 교육 철학
06 페다고지 vs. 안드라고지
07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08 한국의 미래 교육을 위한 짧지만 굵은 생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메리토크라시는 기회의 평등과 공정한 과정에 집중한다. 이것이 전제가 되면 그 결과는 정당성을 갖게 되는 개념이다.
혁신의 영역은 논리상 메리토크라시고, 결과적으로 신엘리트주의다.
이런 논리 구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공교육 시스템이 여건과 환경이 불충분한 학생들의 학부모 역할을 감당하면서 기회의 평등을 구현하는 주체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 그럴 때 우리 사회는 잠재적 아인슈타인이 현실의 아인슈타인으로 거듭나고, 더 나아가 잃어버린 아인슈타인마저도 빛나는 아인슈타인으로 성장하는 공동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