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에너지/환경/우주
· ISBN : 9791190015431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2-08-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미래의 부를 결정하는 ESG
1장. ESG 파헤치기
1. ESG란 무엇인가
2. ESG의 탄생과 현재
3. ESG를 이끄는, ESG 이니셔티브
2장. 환경을 중시하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1. 우리를 둘러싼 지구환경–물, 땅, 공기
2. 국가와 기업들의 환경 개선을 위한 준비
3. 자원순환경제로의 대전환
4. 환경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3장. 사회책임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1. 사회책임경영이란 무엇인가
2. 사회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4장. ESG의 컨트롤타워, 지배구조
1. ESG 경영의 컨트롤타워
2. 지배구조 분야에서의 개선 활동
5장. 기업의 먹거리, ESG에서 찾는다
1. ESG가 기업에 갖는 의미
2. ESG에 대응하는 기업의 전략
2부 손에 잡히는 ESG 투자
6장. ESG 투자란 무엇인가
1. ESG 투자와 투자 전략
2. ESG 평가와 프로세스
3. ESG 지수와 ETF
7장.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손, ESG
1. 스튜어드십 코드의 탄생
2. 대형 자산보유자
3. 글로벌 녹색금융 정책
4. 한국의 녹색금융 정책
8장. 기후변화 방지와 ESG 친화경 투자
1. 지구 온난화와 각국의 탄소중립 의지
2. 탄소중립을 위한 긴 여정의 시작
3. 탄소 저감을 위한 신기술, CCUS
4. 탄소배출권과 탄소배출시장의 이해
5. ESG 환경 투자로 재테크 시작하기
9장. 비(非) 주식 자산군의 ESG 투자
1. ESG 채권
2. ESG 대체투자
3. 은행의 ESG
책속에서
ESG는 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때 일반적인 분석 대상인 재무정보의 상대적인 개념인 ‘비재무정보’, 즉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한다. ESG가 다루는 영역은 방대하다. 환경(E)은 오염 방지, 지속가능한 자원사용, 기후변화 및 탄소배출, 자연환경 보호 및 복원, 사회(S)는 인권, 노동관행, 공정운영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발전, 지배구조(G)는 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감사기구, 공시 등이 주요 의제이다.
ESG를 이해하는 데 있어 ESG를 이끄는 협의체인 이니셔티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니셔티브는 어떤 주제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실천 방안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말한다. 다시 말해. ESG 이니셔티브는 ESG 경영의 목표설정, 실행, 보고, 평가와 관련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협의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주요 이슈를 균형감 있게 논의함으로써 새로운 주제를 주도하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소중립은 장기간에 걸쳐 경제사회의 전반적인 구조를 바꿔야 달성 가능한 목표이기 때문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세부 추진안을 마련할 것이다.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사업을 위해 탄소중립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거나 적극적으로 사업 구조 변화를 꾀할 전망이다. 화석 연료를 풍력과 태양광, 수소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전기차와 전기수소차 사용이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은 ESG 경영을 기반으로 RE100 선언이나 자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 수립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