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9119014993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15
1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상속·증여세 차이점
증여세와 상속세는 부자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 17
누구를 중심으로 세금을 계산하나 · 21
상속세는 연대 납세의무가 있다 · 23
2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상속·증여세 과세표준 및 세금 구하는 법
증여세의 ‘계산 구조’를 알아야 절세한다 · 31
상속세의 ‘계산 구조’를 알아야 절세한다 · 35
상속, 증여 이것만은 꼭 알아야 한다 · 40
3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상속·증여세 신고법
언제까지 신고하고 내야 할까? · 45
누가 세금을 내야 할까? · 48
세금이 부담된다면 분납과 연부연납 할 수 있다 · 51
4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증여세 뽀개기
증여, 언제 하면 좋을까? · 57
5억 원을 세금 한 푼 안 내고 증여하는 비법이 있다 · 61
채무를 같이 넘겨 증여하자 · 65
증여 취소도 골든타임이 있다 · 69
5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상속세 뽀개기
유언이 무효가 된다면 재산상속은 어떻게 진행되나? · 77
유언장 종류와 작성법은 어떻게 되나 · 80
상속 전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 86
집 한 채 물려 줘도 상속세 폭탄이라고? · 90
6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10년 절세 플랜
사전증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97
가치가 상승하는 재산이면 사전증여 시기를 앞당기자 · 102
10년 단위로 나누어 증여하자 · 107
7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세무조사
자녀 명의로 산 아파트, 자금출처 소명하라고? · 113
자금출처조사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118
부모님 돈 빌려 집 샀다면, 차용증에 이것 꼭 써야 한다 · 121
상속세 신고 후 5년간은 주의해야 한다 · 126
8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은퇴 생활
세테크연금계좌로 세금을 아끼는 방법이 있다 · 133
개인형 퇴직연금 100% 활용한 절세법이 있다 · 136
분리과세로 세테크하자 · 141
퇴직금 1억으로 연금 50만 원 만들어보자 · 144
은퇴 후 건강보험료가 걱정이다? · 147
9장. 알아두면 쓸모 있는 가족 간 거래와 세금
가족이 부동산을 무상으로 사용할 때 내야 할 세금이 있다 · 153
무심코 받은 용돈, 증여세 폭탄이라고? · 156
부모·자식 사이 돈 빌릴 때 이것만은 알아두자 · 159
10장. 권말부록. 상속·증여에 관한 20가지 궁금증
자녀 증여, 이렇게 절세효과 높이자 · 167
증여세 줄이려면, 현금보다 주식이 낫다 · 171
엄카 쓰면 국세청이 다 적발해 과세한다? · 174
반 토막 난 주식, 증여에는 최적 타이밍이다 · 178
매월 어머니께 생활비를 드리면 증여세 내야 하나? · 184
이혼한 부모로부터 동시에 재산을 증여받으면, 증여재산공제는 어떻게 적용되나? · 187
증여받을 아파트를 팔 계획입니다 · 190
이것 알아야 세금 덜 낸다 · 195
이민 가면 상속세 피할 수 있나? · 199
유언이 없을 때 상속재산은 어떻게 나누나? · 202
상속세 엄마가 대신 내줘도 될까? · 208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무조건 상속세를 내야 하나? · 212
아들이 딸보다 상속재산을 더 많이 받나? · 216
배우자 법정상속분은 얼마인가? · 220
며느리·사위에 미리 주면 상속세 부담을 준다? · 224
부모를 부양하면 상속세 부담이 줄어든다 · 228
상속으로 주택을 취득하면 양도세 비과세 특례 적용된다 · 233
감정평가를 통한 절세법, 모든 상속주택에 해당되지 않는다 · 236
주지도 받지도 않은 재산에 세금을 낸다? · 241
상속 후 증여가 유리하다 · 24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증여세는 재산을 주는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재산을 받은 상황에 내는 세금입니다. 반면 상속세는 재산을 주는 사람의 사망으로 인해 재산을 받는 상황에 내는 세금입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의 구분은 재산을 받는 시점에 재산을 주는 사람의 생사(生死)에 달려 있죠.
<누가를 중심으로 계금을 계산하나>
증여세 과세대상 금액은 부모님 등으로부터 받은 재산 가액에 10년 이내에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았던 가액을 합산합니다. 이를 합산하는 이유는 10년마다 배우자 간에 6억 원, 성년 자녀에게는 5천만 원을 공제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해당 증여재산에 부모님 등 증여자가 상환할 부채가 있는 경우 이를 차감합니다.
<증여세의 ‘계산구조’를 알아야 절세한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당장 상속세나 증여세를 낮추기 위해 시가가 아닌 기준시가로 재산을 평가하고 연이어 양도하게 되면 낮은 취득가액으로 인해 많은 양도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상속·증여 이것만은 꼭 알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