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일보 해외판 학습소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 학습 소조는 인민일보 해외판이라는 기치 하에 설립된 새로운 매체로, 이 소그룹의 플랫폼에는 1000만이 넘는 팔로우가 있다. 이 소조는 때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전달해주고, 정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해독해 줌으로써 당 간부들이 중앙의 정신을 학습하고, 국가정책을 이해케 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주고 있는데, 그 영향력은 국내외를 아우르는 방대한 범위를 커버하고 있다. 이 학습소조는 이미『평천하 - 중국 고전 속의 통치 지혜』『평천하 - 중국 고전 속의 정치 지혜』 『키워드 학습』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 도서를 출품한 바 있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이경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다.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부터 중국 북경사범대학에서 중국 고전문학(당송시)와 불교문학(승려시) 연구로 석사 과정과 박사과정을 수학하였으며, 2010년 베이징사범대학 문학원에서 중당 시승집단 연구(中唐詩僧群體硏究)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현재까지 동아대학교ㆍ부산대학교ㆍ부경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고, 주요 번역서로는 중국사회사상사신편 I, II(동아대학교 출판부, 2014) 베이징올림픽의 인문학적 가치(공역, 경혜, 2015) 중국 고대 문론의 현대적 해석(공역, 경지출판사, 2017), 중국 물교와 문화전통(공역, 경지출판사, 2018)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중당 ‘시승’ 에 대한 문학사적 의미 고찰(2007), ‘시불’ 왕유의 불교시 창작 고찰(2011), 중당 승려 시풍의 선구자 영일의 시세계와 문학사적 의미 고찰(2012), 불교의 중국화와 위진 남북조 승려의 시가 창작-불교 중국화에 대한 문학사적 고찰(2015),『당현시범』문목 연구(2018) 등과 중국어 논문(試論 “詩僧産生於中唐?之說 2019) 등 다수를 발표하였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