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명이 있는 나라

사명이 있는 나라

(미래를 위한 세 가지 키워드 : 녹색전환, 혁신국가, 평생배당)

오준호 (지은이)
미지북스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700원 -10% 380원 6,550원 >

책 이미지

사명이 있는 나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명이 있는 나라 (미래를 위한 세 가지 키워드 : 녹색전환, 혁신국가, 평생배당)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049853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국가는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 위기에 맞서 국가는 ‘사명 지향의 리더십’을 회복해야 한다. 탈탄소 녹색전환, 글로벌 혁신국가, 온 국민 평생배당.

목차

머리말: 위기의 시대, 왜 사명이 중요한가 _ 11

1부 사명이 있는 나라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하여 _ 21
일본의 수출규제에 맞서다 | 우리가 마주한 세 가지 도전

사명이 있는 나라는 무엇을 할 수 있나 _ 34
우리는 달에 가기로 했다 | 돼지털에서 디지털로 뛰어넘다 | 그러나, 시대 흐름을 거스르고 있는 정부 | 어떤 정부가 우리에게 필요한가

대전환을 시작하라 _ 55
녹색전환을 향하여 | 글로벌 혁신선도국가 | 전환 재정 1,000조를 확보하라

대한민국 국민부펀드를 만들자 _ 103
기본소득, 모두의 권리 | 사회자산펀드가 온다| 한국연대기금을 제안한다

2부 경계를 넘는 기본소득 상상력

기본소득, 붕괴를 막고 모두의 미래를 구하는 길 _ 129
조건 붙는 소득정책은 기본소득이 아니다 _ 141
0.003 대 99.997, 암울한 미래는 싫다 _ 148
복지를 늘릴 건가, 윗돌 빼 아랫돌을 괼 건가 _ 155
‘햇빛·바람 연금’, 기본소득사회로 가는 다리 될까 _ 162
챗GPT, AI 시대 ‘일의 미래’는? _ 168
놀이시설 패스권 논쟁을 기본소득 토론으로 _ 174
정당이 대기업 말고 유권자 눈치를 보게 하라 _ 181
‘쉬놀돌 시대’, 기본소득이 있는 주 3일 휴식 사회로 _ 187

맺음말: 내가 있습니다. 나를 보내십시오 _ 193

후주 _ 197
찾아보기 _ 201

저자소개

오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20대 대통령선거에 ‘누구나 나답게, 기본소득 대한민국’의 슬로건을 내걸고 기본소득당 후보로 출마했다. 현재 기본소득당 공동대표, 기본소득정책연구소 소장,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진보정당에서 일하다가 논픽션 작가가 되었다. 4·16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으로 활동하며 『세월호를 기록하다』를 썼고, 기본소득 운동에 참여하여 『기본소득이 세상을 바꾼다』를 썼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글과 말로 노력하다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뛰어들었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 『기본소득 쫌 아는 10대』, 『부의 미래, 누가 주도할 것인가』(공저), 『반란의 세계사』, 『평등, 헤아리는 마음의 이름』, 『소크라테스처럼 읽어라』, 『2050 대한민국 미래 보고서』(공저), 『노동자의 변호사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래서 국가가 나서야 한다. 지평의 비극을 넘어 사회경제적 도전에 대처하려면 말이다. 국가는 개별 구성원의 근시안에 갇히지 않고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가질 수 있는 주체다. 국가가 장기적 시야로 공동체의 방향과 과업을 제시하고 시민사회와 생산적인 협동을 조직해야만 거대한 도전을 헤쳐나갈 수 있다. 이것이 국가의 사명 지향 리더십이다. 이 리더십이야말로 역사적으로 정치공동체가 중대한 사회경제적 위기들을 극복해온 길이기도 하다.


신자유주의가 지배 이념으로 등극한 동안 국가는 차차 사명도 잃고, 사명을 향해 사회적 협동을 조직할 능력도 잃었다. 그런데 다시 시대가 바뀌었다. 계기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다. 신자유주의 이론이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을 망쳤다는 반성이 선진국들 사이에 일어났다. 신자유주의를 따르며 정부와 공공부문의 역량을 축소한 결과 불평등이 심화됐고 혁신은 정체됐다는 문제 제기가 잇따랐다. 과거 정부 주도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자본주의의 황금기를 열었던 역사가 재조명되었다. 정부와 공공부문의 새로운 역할과 사명 지향 리더십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역사상 위대하고 중요한 기술혁신과 국가적 과업은 정부가 그 역할을 신자유주의 이론과 정반대로 잡았을 때 이루어졌다. ‘아폴로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의 경제개발 경험도 마찬가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498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