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9119056668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3-12-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5
아시안 쿨(Asian Cool)과 영화 속 한국인의 변천사 • 15
한국영화에 대한 해외 관객의 인식 변화 • 37
한국영화 르네상스(2000년 초반 한국영화의 봄) • 63
코리안 뉴 웨이브 • 75
우리는 하나의 언어를 사용한다 • 87
코리안 인베이전 <1인치 장벽을 넘어서> • 109
해외 합작 프로젝트 제작의 어려움 • 133
<설국열차>는 어떻게 탄생했나? • 153
<만추> 메이킹 스토리 • 169
에필로그 • 211
부록 한국영화의 역사 • 227
책속에서
이 책의 시작은 2020년 1월의 어느 날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코로나가 이제 막 세상에 퍼지기 시작할 즈음, 그러니까 말하자면 우리가 태어나 처음으로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전철을 타지 못하기 시작했던 바로 그때쯤 이 책의 기획은 시작됐다. 당시 나와 <설국열차>의 투자책임을 맡았던 남종우 프로듀서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의 아카데미 외국어 수상을 조심스럽게 감지하고 있었다. 당시 나는 대학에서 이미 10여 년 가까이 '한류문화' 관련 강의를 해오고 있었던 터라 그 전년도인 2019년 가을 시작된 <기생충>의 오스카 캠페인에 대한 미국 내 반응이 너무나 뜨거웠다는 걸 보았기에 어쩌면 (물론 말도 안 되는 사건이지만) 내년 오스카에서, <기생충>이 외국어영화상 정도는 수상할지도 모른다는 말도 안 되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 김창래 「프롤로그」 중에서
,정말 이게 가능한 일인가…?
그날 이후 모든 것이 달라졌다. 2020년 2월 9일 밤 제92회 아카데미시상식이 열리면서 한국영화의 역사가 달라졌다. 아니, 전 세계영화의 역사가 달라졌다. 사실 한국영화의 명성은 국제 영화시장에 꽤 오래전부터 제법 알려져 있었지만 그때까지 한국영화는 아카데미 후보조차 오르지 못했다. 그 전 해인 2019년도에 이창동 감독의 <버닝>이 한국영화 최초로 외국어영화상 쇼트리스트(예비후보)에 오르긴 했지만 아쉽게도 최종 다섯 편의 후보에 들지는 못하였다. (2020년부터 외국어영화상은 국제영화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런 한국영화가, 그것도 영어로 제작된 영화도 아닌, 누가 봐도 너무나 한국적인 영화 <기생충>이 국제영화상은 물론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까지 수상을 하다니…. TV에서 펼쳐지는 영상이 마치 꿈처럼 다가와 좀처럼 믿기지가 않았다.
- 박미나 「프롤로그」 중에서
<기생충>이라는 한 편의 문화콘텐츠가 내포하는 시너지 효과는 이를 수치로 나타내기조차 어렵다고 본다. 앞서 김창래 작가가 말한 바와 같이 처음 이 책의 단초가 봉준호 감독과 <기생충>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에서 비롯되었다면, 본격적으로 이 책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봉준호 감독의 아카데미 4관왕 수상 이후이다. 우리는 <기생충>의 전무후무한 오스카 수상 이후에 아직도 이 위대한 영화가 내포하고 있는 영향력과 의의에 대해 체계적이며 보다 폭넓은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 편의 문화콘텐츠에 불과한 <기생충>이 전달하는 파급력은 단지 눈으로 보이는 것 그 이상의 어떤 ‘자부심’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벅차오르는 에너지가 우리로 하여금 <기생충>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보다 많은 이들에게 알려야겠다는 일종의 의무감마저 들게 하였다.
- 남종우 「프롤로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