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91190602297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목회 관점에서 보는 예배의 의미
제1부 머리말
Ⅰ. 한국교회와 예배
1.“하나님”을“하느님”으로 부르면 더 좋다
2. 거룩하신 이름의 권세와 그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죄
3. 예배가 먹고사는 일에 보탬을 주나?
4. 예배의 껍데기가 중요하다
5. 사탄의 전략과 기독교 예배
6.“영성”남발의 시대와 기독교 예배
7. 뉴에이지의 침투로 구멍 숭숭 뚫리는 교회
8.“삼박자 축복”의 오류
9. 말이 씨가 되는 법은 없다
Ⅱ. 예전 – 예배가 담길 그릇
10.“선포”의 오해와 진실
11. 예배는 이야기다
12. 예배는 연극이다
13. 예배는 대화이다
14. 예배는 대화이다(2)
15.“아멘”의 바른 사용법
16. 축도의 의미와 원리
Ⅲ. 성례 – 은혜의 실재에 참여하는 수단
17. 기독교 물질주의와 예배
18. 성례를 알아야 성경 속 말씀이 보인다
19.“영접 기도”구원론의 문제 - 구원은 공증과 서명날인이 필요하다
20. “영혼구원”의 성경적 뜻과 예배
21. “세례”인가“침례”인가?
22. 물세례와 성령님 세례의 불가분리적 관계
23. 유아세례의 정당성 – 유일회적 성육사건과 주권적 은혜에 도전하지 말기
24. 유아세례와 부흥회 – “부흥”의 본래적 의미 회복을 위하여
25. 기억(記憶)해야 산다 – 성만찬의 절대필요 1
26. 사는 것은 먹는 것이고 먹는 것이 사는 것이다
– 성만찬의 절대필요 2
27. 근원적 감사(感謝)의 회복이 있어야 산다
– 성만찬의 절대필요 3
28. 몸을 분별해야 산다(고전11:27-32) – 성만찬의 절대필요 4
29. 자주 하고 바르게 하자 – 성만찬의 횟수와 형식
30. 왜 안수목사만 성만찬을 집례하는가?
31. 부흥회의 기원인 성만찬 식탁
32. 유아 성만찬의 정당성 – 존재와 은혜가 인식과 믿음에 앞선다
33. 사이비 성례를 경계한다 –“축복 안수”의 문제
Ⅳ. 예배의 시간과 공간
34. 시간을 복음으로 청소하기
35. 주님의 날(주일)은 정말 안식일인가?
36. 망각된 종말을 기억하는 계절 – 대강절
37. 예배 속에 아픔이 있다 – 사순절
38. 어떤 아픔도 흔들 수 없는 기쁨의 근원 – 부활절
39. 추수감사절은 언제 지키는 것이 좋을까?
40. 상징(象徵)의 역할 - 알면 약(藥)이고 모르면 독(毒)이다
41. 상징(Symbol)의 영토 싸움에서 이겨야 할 이유
42. 기독교 신자가 한방(韓方)치료를 받아도 되나?
43. 거룩한 감정을 일으키는 상징적 공간/장소가 필요하다
44. 거룩한 감정을 일으키는 예배음악이 필요하다
45. 예배를 위한 노래는 거룩한 검열이 필요하다
46. 예배음악의 균형감 회복 – 지나침보다 부족함이 낫다
47. 찬양 아닌 것을“찬양”이라 해선 안 된다
48. 회중이 진짜 성가대이다 – 원(元)성가대와 보조(補助)성가대의
관계
Ⅴ. 예배의 영성
49. 예배와 신비
50. 예배와 부정의 힘
51. 예배와 침묵
52. 예배와 기도
53. 예배와 정의(正義)
54. 예배와 사랑
55. 예배와 영적 은사(특히 방언)
56. 예배와 성결
제2부 예전 설계와 인도를 위한 신학원리와 실제지침
제2부 머리말
Ⅰ. 예배순서 설계를 위해 생각할 것들과 실제적 지침
1. 예배순서가 중요한 이유
2. 예배순서를 바꾸지 말아야 할 이유
3. 예배순서를 바꿔야 할 이유
4. 예배 내러티브의 플롯으로서 예배순서
5. 성경적 예배순서의 원리
6. 예배순서의 실제 요소들과 시나리오
7. 예배순서 골격의 모범
Ⅱ. 예전의 축으로서 세례의 신학적 문제들
1. 세례의 기원 – 주님의 명령, 자연 섭리, 역사적 배경, 특별계시
2. 주님이 세례를 받으심으로 몸소 보이신 세례의 의미
3. 세례의 전제조건과 세례갱신의 수단으로서 신경(교의의 이해와 고백)
4. 세례와 중생의 관계 – 다섯 가지 입장들의 한계와 성경적 답변
5. 신자 세례와 유아세례 논쟁 – 어느 쪽도 서로를 배격할 수 없는 이유
Ⅲ. 세례예식의 7가지 원칙, 3단계 예식, 모범예식
1. 세례예식의 7가지 원칙
2. 실제 세례예식의 3단계와 유의할 점들
3. 세례예식의 모범
Ⅳ. 성찬 예식의 현실문제, 구성원리, 핵심 내용과 구조
1. 빈번한 성찬 거행의 장애들과 해결 방향
2. 성찬 예식의 10가지 구성원리
3. 성찬 예식의 핵심 내용과 구조
4. 성찬 감사(봉헌)기도의 구조와 요소
5. 성찬 감사기도문의 구성요소들의 명칭과 의미 및 실례
Ⅴ. 하느님께서 예배를 통해 받으셔야 할 여섯 가지
1. 예배의 역설 – 인간을 위한 예배는 인간에게 유익이 되지 않는다
2. 하느님이 받으셔야 할 여섯 가지 – 경외와 사랑, 영화와 감사, 경배와 찬양
3. 경외와 사랑 – 하느님의 부정신성과 긍정신성에 대한 반응의 성격(정서)
4. 영화와 감사 - 하느님의 부정신성과 긍정신성에 대한 반응의 내용(각성)
5. 경배와 찬양 – 하느님의 부정신성과 긍정신성에 대한 반응의 방식(행동)
Ⅵ. 예배에서 하느님의 호칭의 중요성과 합당한 방향
1. 하느님 이름의 독특한 위치와 그 중요성
2. 예배에서 부르기 합당한 하느님의 호칭
3. 삼위일체 하느님의 이름을 무시하는 교회의 이단성
부록: 삼위일체 하느님과 그리스도님의 신성과 인성을 나타내는 성호
4. 한국교회에서 하느님의 이름이 받는 죄송스러운 천대와 치료방안
Ⅶ. 축도의 원칙과 실제 지침 및 모범
1. 위임과 예언으로서의 축복기도와 예전의 종결로서의 축도
2. 축복과 강복의 차이 – 사소한듯하지만 중요한 차이
3. 축도를 끝내는 어미를 처리하는 문제와 모범 축도
부록1- 비상상태에서의 예배: 예배의 상징성과 교회의 사회적 책임
부록2 - 주요 절기별 예배순서
예배 전 묵상
I. 대강절 예배순서
II. 성탄절 전야 예배순서
III. 사순절 재수요일 예배순서
IV. 사순절 예배순서
V. 부활절 예배순서
VI. 오순절(성령님강림절) 예배순서
VII. 추수감사절 예배순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배는 본질적으로 초자연적인 신적 사건이지만 그럼에도 예배는 구체적인 시대적 문화적 상황의 옷을 입고 구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