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용보험법 제정의 역사

고용보험법 제정의 역사

정병석, 신영철, 이재갑 (지은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용보험법 제정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용보험법 제정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노동법
· ISBN : 9791190716628
· 쪽수 : 473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고용보험법 제정의 역사를 다루는 교재다. 제1부 초기 논의에서 법 제정까지, 제2부 고용보험법의 제정, 제3부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정과 전산망 구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 중심이 아닌 당시의 실제 경험과 사례 자료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목차

발간의 글 ❘ 정병석
추천의 글 ❘ 이성기 (한국기술교육대 총장)
제1부 초기 논의에서 법 제정까지 ❘ 정병석
고용보험제 준비단계
1. 1980년대까지의 준비 19
2. 노동부 승격과 고용보험제 도입 구상 23
3. 한국노총의 1983년 고용보험제 도입 건의 32
4. 제5차~6차 계획기간(1982~1991) 중의 논의 34
제2장 제7차 계획과 고용보험제 도입 결정
1. 인력 부족 대책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39
2. 고용불안 대책 44
3. 제7차 계획과 고용보험제 도입 논의 48
4. 김영삼 정부의 신경제 5개년계획 69
5. 고용보험연구기획단의 보고서 75
제3장 법안의 마련과 입법과정
1. 정부의 고용정책 혁신을 위한 관련법안 마련 과정 85
2. 고용관련 법률안에 대한 공청회 103
3. 정부내 법안협의와 수정 과정 116
4. 고용보험법안의 국회 심의・의결 124
5. 핵심 쟁점과 노동부의 당시 대응 논리 124
제4장 고용보험제의 시행
1. 고용보험제 첫 시행 준비과정의 애로 137
2. 외환위기 실업대책과 고용보험제 전면 확대 145
제2부 고용보험법의 제정 ❘ 이재갑
기억을 되돌아보며 183
고용보험법의 구성
1. 고용보험법령의 입법 경과 189
2. 고용보험법 설계의 배경 201
3. 고용보험의 전달체계 207
4. 고용보험사업의 구성 212
고용보험의 적용관계
1. 보험의 적용단위 219
2. 적용제외 근로자 231
3. 피보험자격의 신고 245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1. 고용안정사업 252
2. 직업능력개발사업 264
실업급여
1. 통칙 275
2. 기본급여(구직급여) 282
3. 취업촉진수당 311
고용보험의 재정
1. 고용보험기금 317
2. 비용의 분담 322
3. 고용보험료율 326
4. 고용보험료의 징수 332
고용보험의 심사제도
제3부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정과 전산망 구축 ❘신영철
당시의 업무추진 여건 347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정과정
1. 고용보험법 시행령 부처협의와 제정과정 358
2. 고용보험법 시행령 입법예고(안)의 주요 내용 369
3. 입법예고(안)에 대한 논의와 최종결과 375
고용보험법 시행령의 핵심 쟁점과 조정과정
1. 적용범위 379
2. 고용보험료율 390
3. 고용보험 관리운영기구 398
고용보험전산망 구축
1. 실무추진팀 구성과 타 전산망 활용 검토 432
2. 고용보험전산망 개발계획 수립 및 추진체계 확보 435
3. 고용보험전산망 구축 추진 438
마무리하며 ❘ 이재갑, 신영철, 정병석
1. 고용보험제의 변천 449
2. 최근의 제도 변화와 과제 455
3. 마무리 글 470

저자소개

정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중앙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5년 제17회 행정고시 수석 합격후 노동부(현 고용노동부)에서 30년간 근무했다. 고용정책과장, 근로기준과장, 고용보험심의관, 광주지방노동청장, 고용총괄심의관, 근로기준국장, 노정국장, 기획관리실장, 중앙노동위원회 상임위원 등 주요 보직을 거쳐 노동부차관을 역임했다. 2006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총장에 취임하면서 교육자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한양대학교 경상대학 석좌교수, 특임교수로 재직하면서 2020년 상반기까지 경제사와 경제성장론을 중심으로 경제학을 강의했다. 주요 저서로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대한민국은 왜 무너지는가』, 『이기는 청춘』, 『최저임금법』(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8년 8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고용노동부장관으로 재직하였다. 고용노동부장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한국형 실업부조인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도입해 고용보험과 함께 중층적 고용안전망을 구축하였고, 「전국민 고용보험로드맵」을 수립해 보편적 고용안전망을 향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노사관계학석사를 받았다. 1982년 제26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30년간 노동부에서 근무하면서 고용정책과장, 고용정책관, 고용정책실장, 노사관계실장 등 주요 보직을 거쳐 고용노동부차관을 역임하였다.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을 거쳐 2018년까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우교수로 재직하였다. OECD 고용노동사회국(DELSA)에도 근무하여 해외사례에도 밝으며, <고용보험적용기준 개편연구(공동)>, <빅데이터 기반 고용서비스 해외사례 및 전략수립 기초연구(공동)> 등 연구보고서가 있다. 현재는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신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노동법 전공)을 수료하였다. 1980년 제24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후 29년간 노동부(현 고용노동부)에서 근무하면서 총무과장, 고용정책심의관, 직업능력개발심의관, 고용정책실장을 역임하였고, 보건복지부 파견국장으로 기초생활보장심의관, 인구아동정책관을 역임하였다. 노동부 재직시에는 고용보험제 도입에 기여하였고 직업능력개발계좌제도를 처음으로 도입, 시행하는 등 고용관련 제도의 발전에 주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보건복지부 재직시에는 긴급복지지원제도와 EITC 도입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 후 근로복지공단 이사장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 노동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에서 역량지도교수로 후배공무원들의 역량교육을 담당하고 있고, 고용노동부 고용보험제도개혁T/F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