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20대의 자기계발
· ISBN : 978895093399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1-10-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1 미완의 청춘에게 가장 필요한 것
01 당신의 생존 확률은 생각보다 낮다
경쟁력은 생사를 가름한다 | 청년 여러분은 어떤 세대인가
02 두 가지 스킬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경쟁력이란 무엇인가 | 하드 스킬과 소프트 스킬 | 개별적인 나의 경쟁력에 관심을
PART2 청춘에게 꼭 필요한 훈련
01 지갑 속에는 돈보다 꿈을 담아라
자신의 꿈, 비전을 만들자 | 학과 공부에도 분명한 실행 목표를 정하자
02 현실과 유리된 하드 스킬은 숨쉬지 못한다
하드 스킬: 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 분석력, 핵심 파악 능력의 개발 | 문제 해결과 이론 활용 능력 | 감성과 창의력의 함양
03 훌륭한 소프트 스킬은 청춘의 날개다
프로로 성공할 자질을 갖추자 |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 학기 말 포트폴리오와 성과
PART3 사회라는 정글에서 도약하는 방법
01 사람을 희망으로 믿는 회사를 찾아라
기업 경영의 성패 요소, 사람 | 학력보다는 열정 있는 사람을 중시하는 기업
02 청춘의 경쟁력은 젊음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사회에서의 경쟁력 강화 학습 | 프로 의식의 함양 | 중소기업 근로자, 대학에서 재교육 받자 | 현장 훈련과 멘토링
PART4 꿈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간
01 굴뚝에 값진 보물이 숨어 있다
지식사회에서도 제조업은 여전히 중요한가 | 독일과 일본의 제조업에서 배울 것 |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
02 서비스 분야는 또 다른 기회의 땅이다
서비스 산업은 어떤 가능성이 있을까 | 서비스 산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03 히든 챔피언과 꿈을 설계하라
중소기업의 히든 챔피언 | 한국의 히든 챔피언 | 비정규직 이슈와 창업
04 청춘의 발이 닿지 않을 곳은 없다
세계무대로 나가자 | 고령화도 기회로 삼자
맺는말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기 자신을 더 객관화해 보자. 내가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나의 경쟁력’이 있을까? 그것이 무엇일까? 여러분이 기업의 사장이라면 여러 지원자 중에서 자기 자신을 가장 우선적으로 채용할 것인가? 그렇다면 어떤 능력을 보고 그런 선택을 할까? 대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면 의외로 잘 대답하지 못한다. 심지어는 기업에 최종 면접을 온 구직자 중에도 이렇게 질문하면 자기의 장점 또는 자신만의 경쟁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고 한다.
“일본 동북부 지역에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하고 쓰나미로 많은 피해가 생겼다. 이럴 때 우리 회사는 어떻게 조치해야 할까?” 이러한 막연한 질문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여러분이 취업하면 언제 어디에서나 부딪힐 상황이다. 제조업, 금융 · 보험업, 관광, 스포츠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 업종에 미치는 결과를 예측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지식·정보 사회에서 매일매일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많은 사건과 자료, 정보 속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그 인과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한마디로 많은 자료 속에서 곁가지를 걷어내고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그것이 나에게 또는 우리 회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이 요구된다.
구직자나 실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하는 일이다. 실업이라는 단어에는 바로 취업하기에 무언가 부족한 것이 있거나, 직장에서 다른 근로자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의미가 모두 포함돼 있다. 따라서 더 빨리 취업하려거나 더 나은 직장에 취업하려면 지금보다 더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중요한 과제이다. 실업자에게 직업훈련을 강조하는 것은 이런 의미가 있다. 적극적으로 생각하면 ‘취업하고 있을 때는 교육훈련 받을 시간도 없었는데 이왕 실직되었으니 이 기간에 교육받아 경쟁력을 더 강화해 두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경쟁력 강화 기간으로 활용하라는 것이다.
또 학교에서 받은 교육에 추가해 기업 실무에서 직접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기회이므로 구직자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제도이다. ‘직업 능력 개발 정보망’이나 ‘직업 능력 지식 포털’에서는 직업훈련에 관련된 온·오프라인 훈련 과정 정보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능력 개발을 위한 다양한 멀티 콘텐츠도 제공한다. 또한 개인이 자기의 경력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훈련 계획을 수립하는 것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