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9119077663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4-1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 공부의 결정적 요소 메타인지, 글쓰기에서 답을 찾다
1장 초등 메타인지, 왜 글쓰기로 키워야 할까
01 종이 위에서 길을 잃은 아이들
02 아이들의 글쓰기를 가로막는 3가지
03 초등 시기에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이유
04 학교생활의 기반을 만드는 글쓰기의 힘
05 공부의 중심을 잡는 메타인지와 글쓰기의 상관관계
06 본격적으로 글쓰기 전, 수준부터 파악하자
Plus page 아이마다 잘 쓰는 글은 따로 있다
2장 메타인지를 키우는 단계별 초등 글쓰기: 기초 다지기 4단계
01 우선, 글쓰기 습관부터 만들자
02 STEP ① 단계적으로 글쓰기에 접근한다
03 STEP ② 두세 문장 정리, 핵심어, 교과서
04 STEP ③ 배움 노트
05 STEP ④ 오답 노트
Plus page 책 읽기에서 글쓰기로
3장 메타인지를 키우는 학년별 초등 글쓰기: 저학년 편
01 우선, 상황 인지와 재미 요소를 살피자
02 주변의 모든 것이 글쓰기 재료다
03 저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① 놀이 글쓰기
04 저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② 관찰 글쓰기
05 저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③ 상상 글쓰기
Plus page 글쓰기 소재를 찾는 방법
4장 메타인지를 키우는 학년별 초등 글쓰기: 고학년 편
01 우선, 분석과 판단에 집중하자
02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① 강약 글쓰기
03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② 베껴 쓰기
04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③ 마음 글쓰기
05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④ 자존감 글쓰기
06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⑤ 사회성 글쓰기
07 고학년을 위한 글쓰기 전략 ⑥ 논리적 글쓰기
Plus page 일석이조의 효과, 개사하기
5장 메타인지를 키우는 장르별 초등 글쓰기: 일기부터 신문 기사까지
01 우선, 장르별 글쓰기 틀을 익히자
02 일기 쓰기
03 독서록 쓰기
04 설명하는 글쓰기
05 주장하는 글쓰기
06 편지 쓰기
07 감상문 쓰기
08 신문 기사 쓰기
Plus page 유튜브에서 글쓰기로
에필로그 · 온 가족이 함께하는 글쓰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어떻게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아웃풋을 해보는 것입니다. 머릿속에 입력된 지식을 밖으로 꺼낼 수 있으면 진짜 안다고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아직 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새로운 정보라도 머릿속에서 이전의 지식 및 경험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만 제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웃풋을 함으로써 우리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타인지도 키울 수 있습니다. 다행히 메타인지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노력으로 계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근육처럼 훈련을 통해 단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는 것을 끊임없이 아웃풋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아웃풋 방법으로는 말하기와 글쓰기가 있습니다. 이중 글쓰기는 메타인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으로 메타인지를 키우는 데 특히 효과적입니다. 물론 말하기도 좋은 방법이지만, 마음먹지 않으면 기록으로 남기기 힘들고 아웃풋 과정을 세세하게 살펴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글쓰기와 메타인지의 과정은 굉장히 비슷합니다.
- <프롤로그 - 공부의 결정적 요소 메타인지, 글쓰기에서 답을 찾다> 중에서
글쓰기는 주제와 지식, 그리고 경험을 연결해 재조합한 뒤, 적절한 언어를 사용해서 하나의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고쳐나가는 과정이다. 이때 스스로 인지 과정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끊임없이 피드백하며 수정하는 메타인지가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프롤로그에서 언급한 것처럼 글쓰기와 메타인지의 과정은 유사점이 많기에 글쓰기 훈련은 사고뿐만 아니라 사고에 대한 사고를 자연스럽게 반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초등 시기에 메타인지가 그렇게까지 중요한가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아이들에게 초등 교육을 시키는 목적은 그 자체를 넘어 이후의 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데 있다. 초등 이후의 더 고차원적인 공부를 할 때나 깊이 있는 사고가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할 때 메타인지의 작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초등 시기에 메타인지의 기초를 탄탄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메타인지가 공부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능력이라면 초등 시기에 글쓰기를 통한 메타인지의 계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 <1장 - 03 초등 시기에 글쓰기를 해야 하는 이유> 중에서
교사로서 내가 추구하는 배움 노트의 방향은 ‘최대한 짧게’, ‘한눈에 들어오게’ 이렇게 2가지다. 1시간 동안 배운 내용 전부를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내용만 단어 위주로 쓰는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대부분 두 부류로 나뉜다. 너무 열심히 하고 싶은 나머지 교과서 내용을 전부 담으려고 하거나 성의 없이 한두 줄만 쓰고 만다. 배움 노트는 1년간 매일 써야 하기에 매시간 배운 내용 전부에 에너지를 쏟으면 하루 이틀 하다가 지치고 만다. 게다가 쓰는 데 부담을 느껴 꾸준히 하기가 어려워진다. 배움 노트를 쓰는 목적은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복습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나중에 배움 노트를 보며 수업 내용을 떠올릴 수 있어야 한다. 길고 복잡한 정리는 쓰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다시 보기도 싫다.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핵심어 위주의 짧은 글로 꾸준히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2장 - 04 STEP ③ 배움 노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