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91188674220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8-07-23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독서를 통해 아이들의 변화를 꿈꾸는 부모들을 위한 책
프롤로그 어떤 아이가 공부를 잘하게 될까?
1장 독서 능력의 차이가 학습 능력의 차이다
독서하는 아이 vs 독서하지 않는 아이
초등학생 시기에 왜 독서가 중요한가
독서하는 아이의 어휘력은 다르다
독서로 생각하는 힘을 키워라
초등독서 습관, 공부보다 더 중요하다
아이의 집중력은 독서력에서 나온다
상상력과 정서 지능은 독서로 키워진다
초등독서 Tip 도서관 100배 활용하는 법
2장 강요하지 않아도 스스로 책을 보는 독서 습관 만들기
우리 아이는 제대로 읽고 있을까?
아이들은 독서에 대해 배운 적이 없다
딱 한 권만 제대로 읽혀라
엄마부터 제대로 된 독서를 실천하라
배경지식이 학습에 흥미와 관심을 높인다
아이의 수준을 고려한 책 선정을 하라
어릴 때의 독서 습관이 평생 이어진다
초등독서 Tip 책을 싫어하는 아이, 억지로라도 읽혀야 할까?
3장 평생 공부내공을 키우는 초등독서 전략
독서 습관은 13세 전에 완성하라
초등독서 전략 하나, 아이의 주변 환경을 독서 모드로 바꿔라
초등독서 전략 둘, 책을 스스로 고르게 하라
초등독서 전략 셋, 책을 읽기 전에 목표를 정하게 하라
초등독서 전략 넷, 자세한 독서 계획을 세워라
초등독서 전략 다섯, 읽기에서 끝나지 말고 표현하게 하라
초등독서 전략 여섯, 독후 활동으로 책 내용을 정리하라
초등독서 전략 일곱, 스스로 질문하게 하라
초등독서 Tip 전집과 낱권 중 어떤 것이 좋을까?
4장 선행 학습이 필요 없는 교과서를 활용한 학년별 융합 독서 전략
학년별 교과과정으로 미리 배우는 선행 독서법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이해
1학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규칙을 알아가는 시기
2학년, 호기심이 폭발하는 시기
3학년, 또래 관계 형성과 학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
4학년, 자기주도적인 생활이 시작되는 시기
5학년, 역사 학습과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
6학년, 교과 범위가 세계로 확대 그리고 절정의 사춘기
초등 고학년을 위한 주제별 추천 도서
초등독서 Tip 독서에 유용한 사이트들
5장 독서 능력과 학습 능력을 동시에 높이는 단계별 독서 전략
0단계, 책 읽기를 시작하지 않은 단계
1단계, 책을 읽기 시작하는 단계
2단계, 책에 흥미를 느끼는 단계
3단계, 책 읽기 안정 단계
4단계, 책 읽기를 즐기는 단계
초등독서 Tip 독서록, 꼭 쓰게 해야 할까?
6장 다양한 관심사를 채워 주는 장르별 책 읽기 전략
기발한 상상의 향연을 돕는 창작 동화 읽기
엄마도 알고 나도 아는 전래 동화 읽기
중심을 바로 잡아 주는 고전 읽기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위인전 읽기
재미와 지식을 한꺼번에 주는 정보책 읽기
초등독서 Tip 아이가 한 분야 책만 읽는데 괜찮을까?
아이에게 책을 고르라고 하면 잘 고를까?
7장 책을 읽는 아이만이 가질 수 있는 것
책 읽는 아이는 꿈의 크기가 다르다
남다른 생각을 하는 특별한 아이가 된다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한 생각의 틀을 갖는다
초등독서 Tip 초등독서 습관을 형성하는 십계명
에필로그 초등학교 교사를 하며 깨달은 것들
부록 초등독서 권장 도서
초등 교과서 수록 도서
교육청 및 기관 추천 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칠판 앞에서 아이들을 바라보면 한 명 한 명의 아이들이 다 보인다. 과연 그 많은 아이들이 다 보일까 싶겠지만 놀랍게도 다 보인다.
학급의 모든 아이들이 항상 수업에 집중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늘 집중을 하는 아이와 늘 집중을 못하는 아이는 분명 구분된다. 그리고 이점은 성적과 연결된다. 그러나 조금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이 아이들의 차이가 수업의 집중 여부가 아니라 ‘독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독서’의 차이는 노트 정리에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독서하는 아이들은 ‘읽는 환경’에 그만큼 많이 노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책을 통해 여러 가지 지식과 생각들이 투입된 상태의 아이들은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 체계가 잡혀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구조화한다.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나가는 것이다. _ 독서하는 아이 vs. 독서하지 않는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