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제이력 조사 연구

법제이력 조사 연구 (1) 지방자치법

(연구보고 20-02)

왕승혜 (지은이)
한국법제연구원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000원 -0% 2,500원
110원
13,390원 >
9,9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990원
11,4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법제이력 조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제이력 조사 연구 (1) 지방자치법 (연구보고 20-0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90802673
· 쪽수 : 319쪽
· 출판일 : 2020-10-31

책 소개

지방자치법은 한국 헌정사의 발전과정에서 민주주의의 토대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한 행정법제 분야의 중요한 법률이라는 점에서 법제이력조사 제1차 년도 연구 주제로 선정하였다.

목차

요 약 문 5

Abstract 9

제1장 서 론 / 19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1
1. 연구의 목적 21
2. 연구의 필요성 2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5
1. 연구의 범위 25
2. 연구의 방법 25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30
1. 기초연구로서 입법이력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성 제시 30
2. 법제 개선과 향후 미래 입법의 안정성을 확보 30
3. 지방자치법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법제메커니즘의 확인 30

제2장 한국 지방자치법의 제도적 기원(起源)과 역사적 발전(發展) / 31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와 법적 보장 33
1. 제도적 의의 33
2. 지방자치의 의의와 본질 34
3.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 36
4. 지방자치권의 제한과 그 한계 36
제2절 한국의 지방자치제도 38
1. 개 관 38
2.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40
3.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41
4.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42
5.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44
6.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및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 46
제3절 한국 지방자치제도의 역사적 발전 과정의 개관 48
1. 개 관 48
2. 「대한민국 헌법」의 지방자치 관련 조문의 개정 연혁 53
3. 「지방자치법」의 주요 개정 55
4. 현행 「지방자치법」의 입법 체계 60
제4절 시기별 지방자치제도의 역사적 변천 69
1. 제1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제정헌법~제2공화국(1960년~1961년)] 69
2.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중단기[제3공화국~제5공화국(1961년~1988년)) 71
3.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74
4.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 참여정부~2017년) 77
5.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문재인정부~현재) 79

제3장 지방자치의 법정책적?법제도적 발전과 변화과정 분석 / 81
제1절 지방자치법상 ‘주민’의 변화과정 83
제1항 연혁적 기초 83
1. 개 관 83
2. 지방자치제도에서 ‘주민’의 의의 84
3. 제1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1948년~1961년) 87
3.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중단기(1961년~1988년) 89
4.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89
5.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2017년) 100
6.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이후) 110
제2항 주민직접참여제도의 발전과정 113
1. 주민투표 113
2. 조례의 제정과 개폐 청구 118
3. 주민의 감사청구 122
4. 주민소송 128
5. 주민소환제 132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136
1. 개 관 136
2. 제1기 및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 및 중단기(1948년~1988년) 138
3.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140
4.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2017년) 145
5.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이후) 148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150
1. 개 관 150
2. 제1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1948년~1961년) 151
3.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중단기(1961년~1988년) 152
4.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153
5.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2017년) 155
6.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이후) 160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162
제1항 연혁적 분석 162
1. 개 관 162
2. 제1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1948년~1961년) 165
3.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중단기(1961년~1988년) 168
4.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170
5.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2017년) 173
6.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이후) 176
제2항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조직에 관한 법제의 변천과 분석 178
1. 문제제기 178
2.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위치 180
3. 「지방자치법」 상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개정 연혁 185
4. 현행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90
5. 소 결 199
제5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 201
1. 개 관 201
2. 제1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기(1948년~1961년) 210
3. 제2기: 지방자치제도의 중단기(1961년~1988년) 213
4. 제3기: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기(1988년~2003년) 214
5. 제4기: 지방자치제도의 도약기(2003년~2017년) 263
6.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이후) 268
제6절 지방행정체제의 변화와 발전 272
1. 개 관 272
2. 지방자치제도의 도입 및 중단기의 변화 274
3. 지방자치제도의 재도입 및 도약기의 변화 281
4. 제5기: 지방자치제도의 발전기(2017년 문재인정부~현재)의 변화 288
5. 개괄적 평가 289

제4장 결 론 / 293
제1절 요 약 295
제2절 향후 지방자치법제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 297

참고문헌 301

[부록]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조문대조표 30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