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박종부 총감독의 실무 축제사례)

박종부 (지은이)
매직하우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박종부 총감독의 실무 축제사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91190822244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2-06-17

책 소개

축제가 성공하려면 왜 총감독체제를 도입해야 하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 주목받고 있거나, 그가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던 축제들이 더 성곡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진심어린 조언이 담겨 있다.

목차

프롤로그 4
제1장 축제의 시대적 흐름
축제의 정의와 축제 현장 이야기 14
대한민국 축제 현장의 현실적인 분석 21

제2장 박종부 총감독이 연출한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축제
의령 홍의장군축제 30
무주반딧불축제 (전 대표축제) 36
문경 전통찻사발축제 (전 대표축제) 39
보령 머드축제 (전 대표축제) 44
충주 세계무술축제 (전 우수축제) 46
순창 장류축제 (전 우수축제) 49
하동 야생차 문화축제 (전 최우수축제) 51
영동 난계국악축제 (전 우수축제) 53
함양 산삼축제 (전 유망축제) 55
김해 분청도자기축제 (전 육성 축제) 57
서천 한산모시문화제 (전 우수축제) 59
괴산 청결고추축제 (전 유망축제) 61
강경젓갈축제 (전 최우수축제) 63
풍기인삼축제 (전 우수축제) 65
양양 송이축제 (전 최우수축제) 67
청송사과축제 (전 유망축제) 69
태백산눈축제 (전 유망축제) 71
대관령눈꽃축제 (전 예비축제) 74
무안 연꽃축제 (전 예비축제) 76
아산 성웅 이순신 축제 (전 예비축제) 78
홍성 역사인물축제 (전 홍성 내포 문화축제) 80

제3장 박종부가 총감독한 일반축제
신촌 문화축제 84
칠곡 낙동강 세계평화문화축전 88
성주 생명 문화축제 91
남한산성 문화제 93
허준 축제 95
양양 연어축제 97
증평 인삼골축제 99
정읍사 문화제 101
보현사 별빛축제 102
의령 토요애 농특산물축제 104
문경사과축제 105
문경 오미자축제 106
문경 약돌한우축제 107

제4장 대한민국 관광축제 사례분석
화천산천어축제 (전 대표축제) 110
김제 지평선축제 (전 대표축제) 113
안동 국제탈춤축제 (전 대표축제) 115
진주 남강유등축제 (전 대표축제) 118
강진 청자축제 (전 대표축제) 120
산천 한방약초축제 (전 대표축제) 122
함평 나비축제 (전 최우수축제) 124
천안 흥타령춤축제 (전 최우수축제) 126
추억의 충장축제 (전 최우수축제) 128
담양대나무축제 (전 최우수축제) 130
안성맞춤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전 최우수축제) 132
원주 다이내믹댄싱축제 (전 최우수축제) 134
평창 효석문화제 (전 최우수축제) 136
제주 들불축제 (전 최우수축제) 138
광안리 어방축제 (관광축제) 140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 (관광축제) 142
대구 치맥페스티벌 (관광축제) 144
인천 펜타포트 음악축제 (전 우수축제) 146
울산 옹기축제 (관광축제) 147
연천 구석기축제 (관광축제) 148
시흥 갯골축제 (관광축제) 150
수원 화성문화제 (전 우수축제) 151
여주 오곡나루축제 (관광축제) 153
평창 송어축제 (관광축제) 155
춘천 마임축제 (전 우수축제) 157
강릉 커피축제 (관광축제) 159
정선아리랑제 (관광축제) 160
횡성한우축제 (관광축제) 162
음성 품바축제 (관광축제) 164
서산 해미읍성 역사체험축제 (관광축제) 166
임실 N치즈축제 (전 우수축제) 168
진안홍삼축제 (관광축제) 169
영암 왕인문화축제 (관광축제) 170
보성다향대축제 (전 우수축제) 171
정남진 장흥물축제 (전 우수축제) 173
포항국제불빛축제 (전 우수축제) 175
봉화은어축제 (전 우수축제) 177
밀양아리랑대축제 (관광축제) 178
통영한산대첩축제 (전 우수축제) 180
한성백제문화제 (관광축제) 181
동래읍성역사축제 (관광축제) 183
광주 세계김치축제 (전 우수축제) 184
대전 효문화뿌리축제 (관광축제) 185
고령 대가야축제 (전 우수축제) 186
목포항구축제 (관광축제) 187
소래포구축제 (관광축제) 188

제5장 2020~2021년 예비 문화관광축제
사례분석
관악 강감찬 축제 192
영도다리 축제 193
금호강 바람 소리 길 축제 194
수성못 페스티벌 195
부평 풍물대축제 196
영산강 서창들녘억새축제 197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198
울산 쇠부리축제 199
세종축제 200
부천국제만화축제 201
화성 뱃놀이축제 202
원주 한지문화제 203
지용제 204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205
부안 마실축제 206
군산 시간여행축제 207
곡성 세계장미축제 208
알프스 하동 섬진강문화재첩축제 209
탐라입춘굿 210
탐라문화제 211

제6장 글로벌 관광축제 여행기
2018년 첫 유럽 배낭여행 체험기 214
2019년 유럽축제 방문 스케치 235
유럽 크리스마스 마켓 현장 스케치 256
두바이 엑스포, 유럽축제 탐방 현장 스케치 271
제19회 하얼빈 빙설 대세계(빙등제) 스케치 295
하얼빈 제30회 태양도 국제눈조각예술 전시회(빙설제) 297
청도 국제맥주축제 스케치 299
하얼빈 국제맥주축제 303
일본 삿포로 맥주 축제 스케치 304
상해 엑스포 스케치 306
쓰촨성 등축제와 타이중 등불축제 307
태국 송끄란 축제 309
몽골 나담축제 현장 스케치 312
일본을 대표하는 하카타 기온 야마카사 전통 마쯔리 314
일본 오사카 벚꽃축제 스케치 315
일본 제71회 신슈타츠 반딧불축제 스케치 316
일본 오사카 스케치 319
해외의 축제와 대한민국 축제의 비교 분석 321

제7장 경쟁력 있는 글로벌 관광축제
개발을 위한 제안
박종부 감독이 제안하는 계절별 대한민국 대표 축제의 개발 324
코리아 전통 세시풍속축제 325
코리아 키즈 국제 드림 페스티벌 327
코리아 국제맥주축제 329
코리아 국제 풍물 페스티벌 332
코리아 크리스마스 마켓 333
전세계 한인회를 찾아가는 코리아 문화 페스티벌 (Korea Culture Festiva) 개최 334
대한민국 전역을 연계한 글러벌 관광 상품 및 남한산성의 국제 관광 상품 개발 335

제8장. 문화체육관광부 축제 육성 전략
문화관광축제 정책 운영에 대한 분석 및 소견 342
문화관광부 21년도 축제경쟁력 강화 지원사업 계획안 347
2022 문화관광축제 정책 351

제9장 대한민국 축제의 분석을 통한 멘토링
대한민국 축제의 사례를 통한 축제의 분석 360
대한민국 축제도 시대에 맞는 변화와 운영시스템을 바꿀 때가 되었다 362
이벤트사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 364
총감독체제에 대한 분석 368
축제 전문 총감독과 축제재단과의 상생 법칙 375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들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378
성공한 축제를 만들고 싶다면 이렇게 시도하라 381
축제의 성공은 갑질이 아니라 WIN WIN 전략에서 부터 시작된다 382
가성비의 효과가 전혀 없는 온라인 축제는 미친 짓이다 384
대한민국 기념식도 변해야 한다 386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에 대한 거품과 가치 387
축제 방문객 수 391
축제 자격증에 대한 논란 392
난립한 축제 포럼과 축제학교가 축제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397
성공적인 축제를 위해 조직 인원 4명이면 가성비 높은 축제를 만들 수 있다 399
문화재청의 공모사업에 대한 비현실적 입찰체제 401
박종부 총감독의 축제에 대한 생각 402
이벤트 대행사 선정 입찰의 평가위원에 대한 진실 404
박종부 총감독의 멘토링 406
재미로 보는 축제 담당의 성과에 대한 예상 진단 416

제10장 2022년 대한민국 지역축제 개최 현황
2022년 대한민국 지역축제 개최 계획 420
저자소개 446
참고문헌 452

저자소개

박종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감독 1962년 충청북도 충주 출생 1986년 이벤트 입문 1987~1989 ㈜현대훼미리타운 근무 1989년 부일기획 설립(이벤트회사) 제이비축제연구소 대표(현재) ㈜제이비엔텀쇼비즈 대표(현재) ㈜제이비컴즈 대표(현재) 용인대학교 태권도학과 졸업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컨벤션전시 이벤트학과 졸업(관광학 석사)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경영학과 졸업(축제전공 / 관광경영학 박사) 한국관광공사 관광축제 컨설팅위원 활동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축제 정책기획위원 등 활동 서울시, 경기도 등 현장평가위원 활동 프로농구 올스타전, 삼성전자문화축제, 하나그룹체육대회, 방송, 기업 이벤트, 스포츠 등 3,000여 회 총감독 보령머드축제, 무주반딧불축제, 문경찻사발축제 등 300여 회 총감독 2021년 한국콘텐츠 진흥원 등 대행사선정 평가위원 90여 활동 출간작 2017년 『총감독 박종부의 축제현장스케치』
펼치기

책속에서

요즘 총감독체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총감독을 선임하여 운영하는 축제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 만큼 총감독체제에서 실패한 축제의 사례도 많이 나오고 있다. 당연히 총감독체제에 대해서 실망하는 목소리도 많이 나오게 된다. 난 총감독체제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총감독을 잘못 선정한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요즘 너도나도 모두 전문가라면서 활동하고 있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속담도 있다. 총감독들에게도 전문성이 있고 맞춤형의 전문가와 함께할 때 성과를 낼 수 있다.
향토축제는 콘텐츠보다는 잘 구성하여 재미있게 이벤트성으로 구성하여 운영한다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관광축제는 특별한 콘텐츠의 구성으로 관광객을 유치해야 원하는 성과를 낼 수 있다. 관광객은 그 축제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가치가 있을 때 방문한다. 즉 일탈, 특별체험, 이슈, 힐링 등의 콘텐츠를 말한다.


나는 연출에 있어 굉장히 개혁적이고 현실적인 변화를 시도하여 성과를 낸 결과로 보답하고자 한다. 개혁성이 강하다 보니 절박하거나 진정 개혁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지자체가 나를 찾게 된다.
대한민국의 축제도 이젠 변화의 시대가 되었다. 대한민국 축제는 그동안 제례의식, 역사, 인물, 예술, 대동놀이 축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현시대에는 체험, 공연, 역사, 환경, 힐링을 기반으로 한 관광산업축제로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는 늘 기존 기득권자들의 이권 개입과 불만의 표현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어떤 축제에서는 멱살까지 축제팀장이 잡히는 것을 봤다. 의령의 축제팀장은 한마디만 하였다. “감독님 제가 많은 소리를 듣고 있는데 잘하여 주셔야 합니다.” 이말 한마디만 하였고 그 외는 전적으로 지원하여 주려고 노력하였다. 얼마나 많은 반발이 있었겠는가? 묵묵히 반발을 감수하고 개혁의 변화를 지원해 준 것에 대해 항상 감사를 드린다. 2개월 만에 총감독이 작성한 기본계획서를 대부분 수용하려고 노력한 점과 장소 이전에 관해서 소신 있게 결정해주고, 성공적인 축제를 위하여 절대적인 신뢰로 지원하여 주신 열정을 매우 높게 생각한다. 이제 의령 홍의장군축제는 모두가 인정하는 관광축제로서 도약하게 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