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90977715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2-06-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 세상에 공짜 점심은 있습니다
Part 1
선수가 아니라 감독처럼 투자하라
: 내게 꼭 맞는 맞춤형 포트폴리오 만들기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시대에서 살아남기
성공 투자의 핵심, 변동성 관리
[잠깐만요] 투자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샤프지수
나는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당할 수 있을까?
[잠깐만요] MBTI 성향에 따른 투자 스타일
선수가 아니라 감독처럼 투자하라
자산 선수별 포지션과 특징
꼭 기억해야 할 자산배분의 3대 원칙
개별종목 대신 ETF를 활용하면 왜 좋을까?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1_주식에 ‘몰빵’하는 교육회사 사원
: 자산관리를 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뭔가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2_국내에만 투자하는 제약회사 대리
: 예적금과 투자금 비율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Part 2
구르는 돈이 부자를 만든다
: 투자 대가들의 자산배분 따라 하기
자산배분의 교과서, 자산 3분법 포트폴리오
쉽고도 막강한 영구 포트폴리오
어떤 상황에서도 견디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30년간 연평균 수익률 14%! 데이비드 스웬슨 포트폴리오
자산배분계의 보험, SWAN ETF 포트폴리오
정적자산배분 vs. 동적자산배분
핵심전략과 위성전략을 나누어라
[잠깐만요] 핵심-위성 전략 포트폴리오 사례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3_전세 보증금에 돈이 묶여 있는 교사
: 저도 주식투자를 시작해야 할까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4_우리사주가 있는 제조업체 대리
: 위험자산 비중이 높은 포트폴리오, 괜찮을까요?
Part 3
나는 마음 편한 투자를 한다
: 하락장에 더 빛나는 자산배분 절대법칙
혹시 지금이 하락장의 시작일까?
장기투자 = 낮은 손실 확률
투자를 방해하는 심리적 장애물을 넘는 법
신선도를 유지하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투자 위험과 변동성 깊이 알기
나는 제대로 된 분산투자를 하고 있을까?
트레이더가 될 것인가, 투자자가 될 것인가
로보어드바이저 200% 활용법
[잠깐만요] 좋은 로보어드바이저를 고르는 방법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5_풍족한 노후를 보내고 싶은 개발자
: 아직 20대인데, 지금부터 연금에 가입해야 할까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6_주식과 코인으로 돈을 잃은 제조업 종사자
: 손실이 큰 포트폴리오, 버티는 게 답일까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7_수익률이 낮아 고민인 물류업 종사자
: 안정성과 수익률,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는 없나요?
Part 4
헷갈리는 투자 상식, 전문가가 답하다
: 왕초보가 가장 많이 하는 질문 Top 12
Q. 자꾸 투자를 실패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Q. 한국에서 최고의 투자처는 부동산 아닌가요?
Q. 달러 투자, 꼭 해야 하나요?
[잠깐만요] 해외 주식에 간접투자할 때의 세금
Q. 수익을 가장 많이 낼 수 있는 방법이 뭔가요?
Q. 주식은 사놓고 묵혀두는 게 제일 좋지 않나요?
Q. 패시브, 액티브 전략 중 어떤 것이 더 좋은가요?
Q. 한국, 미국 중 어디에 얼만큼 투자할까요?
[잠깐만요] 달러 강세가 신흥국에 악영향을 미치는 이유
Q. 경제 성장률이 높으면 주식도 오르겠죠?
Q. 자산배분을 해도 손해를 볼 수 있나요?
Q. 현금을 보유하는 것도 자산배분인가요?
Q. 자산을 배분하면 수익률이 낮아지지 않나요?
Q. 인구구조 변화가 투자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8_달러로 월급 받는 데이터 분석가
: 달러로 들어오는 월급, 어떻게 굴려야 할까요?
쿼터백의 포트폴리오 솔루션 9_월별로 수입이 다른 산업 분석가
: 월급이 들쭉날쭉한데 돈을 어떻게 관리하죠?
| 색인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에 상장된 글로벌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경우 약 50만 원, 미국에 상장된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경우 약 300만 원 정도면 투자 대가들의 지혜가 담긴 훌륭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성인이 된 만 18세의 A씨가 향후 65세가 되는 시점에서 은퇴할 계획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만약 은퇴까지 남은 47년 동안 매월 10만 원씩 금고에 모아둔다면 이는 47년 후 총 5760만 원이 됩니다. 이때 같은 상황에서 금고가 아니라 연평균 7%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에 지속적으로 재투자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47년 후 자산은 무려 약 4억 5360만 원으로 불어납니다. 매월 같은 10만 원을 모으더라도, 누적된 수익률 차이에 따라 4억 원 이상의 차이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재와 같은 저금리 상황에서는 1%의 수익률 차이도 중요합니다. 일례로 2%의 수익률로 투자할 경우 원금이 두 배가 되기까지 36년이라는 시간이 걸리지만, 3%의 수익률로 투자할 경우 24년이 걸립니다. 무려 12년이라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