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矗石樓中三壯士辨證 촉석루중삼장사변증

矗石樓中三壯士辨證 촉석루중삼장사변증

이춘욱 (지은이)
  |  
메이킹북스
2020-10-31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矗石樓中三壯士辨證 촉석루중삼장사변증

책 정보

· 제목 : 矗石樓中三壯士辨證 촉석루중삼장사변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91014440
· 쪽수 : 512쪽

책 소개

촉석루중삼장사시는 지나친 명시여서 민간에 회자되어 시창으로 많이 불리었다. 그런데 1747년을 기점으로 이 시는 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최경회가 6만 백성이 도륙되던 아비규환의 아귀에서 술 마시며 지었다고 한다. 이 책은 정보화 시대에 거의 공공연한 사실로 굳어져가는 작금의 현실에 대한 역사적 질책이다.

목차

제1장: 진주대첩과 촉석루중삼장사

제1절 촉석루중삼장사의 개념과 유래
Ⅰ. 삼장사의 개념
Ⅱ. 촉석루중삼장사의 유래
Ⅲ. 삼장사시 세상에서의 유행

제2절 삼장사시를 지은 그날의 정경
Ⅰ.「촉석루삼장사시」를 지은 그날의 모습과 景物(경물)
1. 작시 현장의 形狀(형상)
2. 현장의 소리
3. 천천히 흐르는 시간과 바쁘지 않는 죽음

제3절 촉석루중삼장사 詩板(시판)과 전파과정
Ⅰ. 삼장사시가 보전되게 된 사정
1. 『용사일기』와 「문수지」의 기록
2. 김성일 유족의 유문 수습
3. 『학봉언행록』 저술
Ⅱ. 촉석루 경내 삼장시 시판 게첨
Ⅲ. 『학봉전집』 간행과 삼장사

제4절 삼장사 시와 작자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
Ⅰ. 논쟁 그 시작의 단초
1. 경상우병사 관인의 발견과 호남의 삼장사
2. 논란의 전개과정
Ⅱ. 촉석루 삼장사에 대한 작금의 현실

제2장: 촉석루중삼장사시의 심층분석

제1절 漢詩(한시)의 분류와 한시에 대한 기본 상식
Ⅰ. 古詩(고시)와 近體詩(근체시)의 분류
1. 신체시와 고시로 구분
2. 絶句(절구)와 律詩(율시)의 구분
Ⅱ. 글자 수에 의한 구분
Ⅲ. 고시와 근체시의 특징 비교

제2절 촉석루 삼장사 시와 평측도(○:평성, ×:측성)
Ⅰ. 平仄圖(평측도)의 의미
Ⅱ. 평측도가 필요한 이유

제3절 삼장사 시와 한시가 지켜야할 원칙과 금기 사항
Ⅰ. 二四六(이사륙) 분명 또는 相反(상반)의 원칙
1. 의미
2. 운영사례
Ⅱ. 粘對(점대)의 원칙
1. 의미
2. 쓰임새
Ⅲ. 2·4구 相反(상반)의 원칙
1. 의미
2. 정리
Ⅳ. 孤平(고평)과 孤昃(고측) 금지 원칙
1. 정의
2. 적용 사례
Ⅴ. 下三連(하삼련) 금지의 원칙
1. 의미
2. 사용례
Ⅵ. 한시의 8대 고질병과 鶴膝(학슬)
1. 근체시 8病(병)과 蜂腰(봉요)
2. 삼장사 시에서의 사용례
Ⅶ. 拗體(요체)와 救拗(구요)
1. 요체의 의미
2. 求拗(구요)

제4절 삼장사 시의 분류
Ⅰ. 형태적 분류
1. 형식상 분류
2. 起式(기식)
Ⅱ. 내용적 분류: 신체시인가 고시인가
1. 신체시의 일반적 압운 요건
2. 측성 압운일 때 분류
Ⅲ. 삼장사 시의 신체시적인 요소
Ⅳ. 古詩的(고시적)인 요소
Ⅴ. 요체와 구요
Ⅵ. 구요가 가져온 또 다른 현상
Ⅶ. 鶴峰(학봉)의 시에 보이는 鶴膝(학슬)이라는 병폐
1. 鶴膝(학슬)의 의미
2. 인위적인 고도의 기교적 기법
Ⅷ. 삼장사 시의 推敲(퇴고) 흔적
Ⅸ. 결론
제5절 삼장사시를 지은 배경
Ⅰ. 矗石樓中三壯士記實碑文(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문)
Ⅱ. 삼장사기실비 건립 근거 공문(진주시교육위원회) 내용
Ⅲ. 임진년 5월 김성일의 動線(동선)
1.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제수
2. 일본 침략 소식
3. 김성일의 추포 명령
4. 삼장사의 만남
5. 김성일, 곽재우와 함께 진주성 입성
6. 촉석루 중에 세 사람이 든 경위

제6절 촉석루삼장사시의 객관적 해석
Ⅰ. 絶命詩(절명시)로써 삼장사시
1. 정암 조광조의 절명시
2. 성삼문의 절명시
3. 학봉 김성일의 절명시
Ⅱ. 삼장사시의 객관적 해석

제3장: 호남 삼장사 전설 이전의
삼장사에 관한 여러 증빙 문적

제1절 학봉 김성일의 행록과 이노의 肉筆(육필) 기록
Ⅰ. 「文殊誌(문수지)」의 기록
1. 「문수지」에 관하여
2. 「문수지」와 『학봉집』에서 찾는 또 다른 사실
Ⅱ. 『龍蛇日記(용사일기)』의 기록
Ⅲ. 『鶴峯言行錄(학봉언행록)』에 나오는 삼장사시
1. 『인재집』에서 전하는 촉석루삼장사시
2. 곽·이 삼장사 시비의 단초를 제공한 인재의 『언행록』

제2절 1773년 광주통문 이전 영남의 촉석루삼장사시에 관한 기록
Ⅰ. 성여신 찬 「從遊諸賢錄(종유제현록)」의 삼장사에 관한 기록
Ⅱ. 「天坡矗石詩小識(천파촉석시소지)」가 전하는 말
1. 촉석루에 삼장사 詩板(시판)이 걸린 경위
2. 수암 유진이 삼장사 시를 알게 된 경위에 대한 추정
3. 호남유림의 詩板(시판) 철거 요구와 훼철
4. 경상우도 繡衣(수의) 여동식의 삼장사시 현판 복구
5. 현존하는 矗石樓(촉석루) 경내의 三壯士詩(삼장사시) 懸板(현판)
Ⅲ. 『鶴峯集(학봉집)』이 전하는 삼장사시
1. 『학봉집』의 편찬과 발간 경위
2. 학봉 김성일의 연보 간행과 『학봉집속집』의 발간
3. 성균관대학교 『학봉전집』의 영인본 발행
Ⅳ. 대소헌 조종도의 행장과 연보
1. 『大笑軒逸稿(대소헌일고)』의 편간 경위
2. 『대소헌선생문집』 서문
3. 대소헌 선생 행장
4. 대소헌 諡狀(시장)
5. 대소헌 신도비명
6. 대소헌비 음기
7. 대소헌 묘지명
8. 대소헌 조종도 연보
9. 대소헌傳(전)
Ⅴ. 하세응의 상소문에서 보는 삼장사시와 ‘魂兮不死(혼례불사)’의 시어
Ⅵ. 慶尙道觀察使鄭存謙壯啓(경상도 관찰사 정존겸 장계)
Ⅶ. 송암 이노에게 加贈(가증)을 요청하는 金載瓚(김재찬)의 啓(계)
Ⅷ. 소결

제4장: 『용사일기』에 대한 서평과 이해

제1절 竹牖(죽유) 吳澐(오운)의 「書鶴峰龍蛇事蹟後(서학봉용사사적후)」와 그 비평
Ⅰ. 조임도 편찬 『金羅傳信錄(금라전신록)』의 내용
1. 오운의 『용사일기』 서평 전문
2. 『金羅傳信錄(금라전신록)』의 서지 사항
3. 서평이 전하는 말
Ⅱ. 「書鶴峰龍蛇事蹟後(서학봉용사사적후)」에 대한 비평
1. 들어가는 말
2. 『용사일기 변와록논고지 응변』의 지적
3. 평암 이경이 횡설수설하다는 내용
Ⅲ. 오죽유의 탄식과 진실
1. 오죽유운에 대하여
2. 오죽유는 언제 어디서 『용사일기』를 보았을까
3. 오운이 본 『용사일기』는 원본이었을까
4. 這間(저간)의 미숙한 오해
5. 일기의 원본을 오운에게 가지고 갈 이유도 사람도 없어
6. 저자가 아닌 자가 수정하였다면 딱 한 사람 추정
7. 私怨(사원)인 것을 누차 기록하였다는 부분
8. 기록이 누락되었다는 부분
9. 책 덮기를 세 번 하였다는 오죽유가 탄식한 이유
Ⅳ. 『용사일기』는 미완의 서책이었다

제2절 『용사일기』 필사본의 존재 가능성
Ⅰ. 同溪(동계) 鄭蘊(정온)이 崔晛(최현)에게 보낸 서간문 추록 부분
Ⅱ. 인재 최현의 착각
Ⅲ. 필사본 존재를 강하게 암시

제3절 간행되지도 않은 『용사일기』가 兩亂(양란) 이후 전쟁실기의 바탕이 된 사정과 印刊(인간)
Ⅰ. 『용사일기』의 기술 방식
Ⅱ. 『용사일기』의 문학적 특성
Ⅲ. 壬丙(임병)양란 이후 戰爭實記(전쟁실기)의 전형이 된 『용사일기』
Ⅳ. 끊이지 않는 『용사일기』에 대한 시비
Ⅴ. 『용사일기』의 간행 시기
1. 『용사일기』의 印刊(인간)
2. 『용사일기』 재간행

제4절 『용사일기』의 서문을 통한 개략적인 이해
Ⅰ. 서문에 관한 사항
Ⅱ. 서문을 찬술한 서명서에 관하여
Ⅲ. 백암 이지에 관한 언급과 대를 이은 의병
Ⅳ. 우국충정의 優劣(우열)과 민초들의 애국
Ⅴ. 기약 없이 만난 초유사와 두 장사
Ⅵ. 고사를 인용한 日錄(일록) 전반
1. 「關外臨壇(관외임단)」의 명세와 「豫州擊楫(예주격즙)」의 서약
2. 「江東指囷(강동지균)」의 의리와 「漢濱耕屯(한빈경둔)」의 거사
3. 「文山正氣(문산정기)」의 闋(결)과 「牙門泣別(아문읍별)」의 충성
4. 「陸李奏議(육리주의)」의 간절함과 「琳虎書記(임호서기)」의 민첩함
5. 「武穆斷酒(무목단주)」의 성의와 「和原遺柑(화원유감)」의 신산
6. 「金籠不奏의(금롱불주)」 지혜와 「曲江先見(곡강선견)」의 밝음
7. 「蜀婦髽哭(촉부좌곡)」의 슬픔과 「魏公葬衡(위공장형)」의 뜻
Ⅶ. 이백사의 「鎭靜之奏(진정지주)」라는 것
Ⅷ. 이택당의 「壁立之稱(벽립지칭)」의 의미

제5장: 삼장사·삼사 등에 관한 각종 기록

제1절 남강 得印(득인) 이전 호남의 삼장사와 시에 대한 기록
Ⅰ. 『선조실록』의 삼장사에 관한 기록
1. 세 사람으로 한정하지 않은 실록
2. 제대로 호칭한 『선조수정실록』에서의 壯士(장사)
Ⅱ. 경상감사 鄭賜湖(정사호) 「彰烈祠請額文(창렬사청액문)」상의 호칭
1. 정사호가 상소를 하게 된 경위
2. ‘三壯士(삼장사)’ 또는 ‘壯士(장사)’라는 호칭은 없어
Ⅲ. 동방의 『春秋(춘추)』라는 『난중잡록』의 기록
1. 三忠(삼충)이라고 한 기록
2. 『난중잡록』에 삼장사 시가 기록되지 않은 안타까움
Ⅳ. 영조가 내린 제문의 최경회에 대한 호칭

제2절 삼장사라 했음 직한 文籍(문적)이지만 언급이 없는 기록들
Ⅰ. 邊士貞(변사정)의 상소문과 ‘三士及湖士(삼사급호사)’라는 호칭
Ⅱ. 언급이 없는 「晉州敍事(진주서사)」
Ⅲ. 『湖南義錄(호남의록)』의 기록과 삼사 등의 지칭이 없는 이유
1. 『호남의록』 대강
2. 고경명·김천일 부자를 기록하지 않은 이유
3. 『호남의록』을 쓰게 된 동기
4. 三士(삼사) 또는 三壯士(삼장사) 등의 호칭이 없는 이유
Ⅳ. 「촉석루 정충단비문」의 경우
Ⅴ. 『海東名臣錄(해동명신록)』의 기록
[창의사 김천일]
[충청병사 황진]
[복수의병장 고종후]
[공조좌랑 양산숙]
Ⅵ. 최경회의 從曾孫(종증손)이 지은 『成就錄(성취록)』
Ⅶ. 삼장사도 삼장사시도 없는 七賢(칠현)의 문자
1. 七賢(칠현)의 의미
2. 아무 곳에도 없는 삼장사와 삼장사시

제6장: 진주성 함락 당시의 상황에 관한 기록들

제1절 『선조실록』의 기록
Ⅰ. 『선조실록』의 함락 당일 상황
Ⅱ. 황해방어사 이시언의 장계
Ⅲ. 진주대첩 희생자에 대한 포상을 청하는 비변사의 장계
Ⅳ. 『선조수정실록』의 함락 당일 상황 기록

제2절 기타 私家(사가)들의 기록
Ⅰ. 최경회에 관한 기록이 없는 의병장 변사정의 상소문
Ⅱ. 조경남의 『亂中雜錄(난중잡록)』이 전하는 함락 상황
Ⅲ. 백사 이항복 傳(전)의 내용
Ⅳ. 창렬사 사액을 청하는 경상감사 정사호의 疏文(소문)
Ⅴ. 「晉州敍事(진주서사)」의 기록
Ⅵ. 『懲毖錄(징비록)』의 진주성 함락 상황
Ⅶ. 진주성 내 정충단비문의 상황
Ⅷ. 서예원의 아들 사정과 손자의 상소문

제3절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살아남은 자에 대한 기록
Ⅰ. 의기 논개의 생존
1. 가장 확실한 생환자
2. 논개에 대한 왜곡의 우려
Ⅱ. 敵愾義兵將(적개의병장) 변사정이 만난 생환자
Ⅲ. 定虜衛(정로위) 印潑(인발)
Ⅳ. 『이항복의 傳』과 그 기록의 증인
1. 이항복의 진주성 전투 채록 시점
2. 억측의 시작
Ⅴ. 경상감사 정사호가 만났던 사람
Ⅵ. 남원 사람 정기수 등
Ⅶ. 「진주서사」와 임우화
Ⅷ. 진주목사 서예원의 증인 강희남
Ⅸ. 충청병사 황진의 군관 황대중

제4절 함락 상황과 촉석루삼장사시의 작시 가능성에 관한 의문
Ⅰ. 대체로 일치하는 당시의 급박한 상황
1. 충청병사 황진의 殉節(순절)과 사기 저하
2. 동쪽 성곽의 붕괴와 이종인의 사투
3. 서북문의 붕괴
4. 촉석루로의 피난
5. 燒死(소사)를 기도했던 절사
6. 불타 죽은 민중의 함성과 분노
7. 죽음의 장소로 택한 촉석루
Ⅱ. 경상우병마절도사 최경회가 시를 지었다는 의문
1. 전후 사정이 맞지 않는 금세기 주장
2. 시를 지었다는 말은 어디에도 없어
Ⅲ. 더욱 아닌 시를 지을 상황
1. 운서는 누가 지니고 있었을까
2. 누구의 벼루로 먹을 갈 틈은 있었을까
3. 퇴고는 언제 어떻게 하여 불후의 명시가 된 것인가
4. 안중에도 없는 육만 백성의 생명과 절규
Ⅳ. 급하게 지을 수 없는 명시

제7장: 삼장사시 작자 부정의 始原(시원)

제1절 촉석루삼장사시 작자 변조의 서막
Ⅰ. 창렬사 치제와 진주목사의 시
1. 창렬사에서 제를 올리게 된 경위
2. 치제 후 感吟(감음) 2수
3. 영조가 銘(명)을 지어 도장갑에 새긴 글과 사연
4. 『承政院日記(승정원일기)』의 당시 기록 일부분
Ⅱ. 진주목사 김상중이 모르는 촉석루 삼장사시
1. 진주목사 김상중
2. 촉석루삼장사를 모르는 진주목사
3. ‘今世傷心三壯士(금세상심삼장사)’의 의미와 조작의 흔적

제2절 湖南量田使(호남양전사) 원경하의 삼장사 지칭
Ⅰ. 1747(정묘)년 호남의 사정
1. 관인 발견과 삼장사에 대한 燎原(요원)의 불길
2. 호남양전사 원경하의 복명
Ⅱ. 호남양전사 원경하의 복명에 관한 평가
1. 『조선왕조실록』과 그 보급
2. 호남어사 원경하의 시각과 풍문

제8장: 촉석루삼장사시의 조작과 그 희생자

제1절 왜 하필 최경회일까
Ⅰ. 『선조실록』이 전하는 촉석루 상황
Ⅱ. 시를 쓸 문사는 많아
Ⅲ. 영예와 오욕의 사이

제2절 경상우병마절도사 관인의 백오십 년 만의 외출
Ⅰ. 경상우병마절도사 관인에서 비롯되는 신화
1. 영조가 도장 갑에 새긴 銘(명)
2. 제 발로 걸어 나왔다는 절도사 관인
Ⅱ. 영조의 사제문과 억지 해석
1. 영조의 사제문
2. 해제

제3절 영조 사제문의 제대로 된 해석
Ⅰ. 한문 해석의 전제 조건
Ⅱ. 「魂兮不死(혼혜불사), 詩語乃脗(시어내문)」의 올바른 해석
1. 홍계희는 시어를 어디에서 보았을까
2. 채제공의 글에서 찾는 진실
3. 영조임금은 어떻게 알았을까
4. 남원유림의 정확한 해석과 정충당의 고해성사
Ⅲ. 최경회에게 시호를 내렸다는 실록의 기사

제4절 순조사제문과 최경회의 한탄
Ⅰ. 순조임금의 사제문
Ⅱ. 일휴당 최경회의 한탄
1. 맨 먼저 영남을 구원한 호남 의병장
2. 경상우도병마절도사가 된 일휴당
3. 김성일의 절명시를 암송하였을 최경회
4. 허물이 없는 일휴당

제9장: 최경회 諡狀(시장)의 신화와 다른 문적에로의 종횡 轉寫(전사)

제1절 최경회의 諡狀(시장), 본격적인 변조의 단초
Ⅰ. 촉석루중삼장사시 변조의 시작
1. 영조사제문 이전에 절대 없던 기록
2. 『海東名臣錄(해동명신록)』과 칠현 등의 경우
Ⅱ. 최경회 諡狀(시장)과 삼장사 시에 관한 조작 내용
1. 시장의 내용
2. 최경회 시장 내용의 大綱(대강)
3. 시장의 권위와 봉상시
4. 시장을 지은 사람과 평가
Ⅲ. 시장의 과장과 영조의 탄식
1. 표절과 글쓰기 일반
2. 최경회 시장에 보이는 조작
가. 진주성 외원은 없었다
나. 최경회를 경상우병사로 제청하지 못한 경상감사 김성일
다. 後功(후공)을 도모하라고 하였다는 부문
라. 조의를 벗어 장례를 치르도록 하고, 왜적에 뺏은 칼과 공민왕 그림을 둘째 형에게 전하도록 조카에게 조치하였다는 부분의 허구
마. 의기 논개가 최경회의 賤妾(천첩)이었다는 내용
바. 최경회가 촉석루중삼장사시를 지었다는 부문
3. 영조 임금의 탄식과 의문
Ⅳ. 과장된 모든 문헌의 인용 바탕이 된 시장
Ⅴ. 최경회 시장을 부끄럽게 하는 호남생원 李萬榮(이만영) 등의 상소문
1. 이만영의 상소문
2. 대표 상소인 생원 李萬榮(이만영)에 대하여
3. 이만영 등의 상소문 辨證(변증)
가. 삼장사가 없고, 三臣(삼신)인 고경명, 김천일, 최경회
나. 순절하기 전 술 마시고 시를 짓지 않은 경상우병사
다. 후일을 도모하자는 請(청)을 거부하였다는 기록
라. 오종도의 칭송과 그림과 칼의 송부

제2절 『여지도서(與地圖書)』가 전하는 최경회
Ⅰ. 『여지도서(與地圖書)』 일반
1. 地理誌(지리지)로서 『여지도서』
2. 편찬 경위
3. 『여지도서(與地圖書)』의 보존과 발간
Ⅱ. 『여지도서(與地圖書)』 「화순현조 인물 편」이 전하는 최경회
Ⅲ. 권적의 諡狀(시장)과 비교 분석
1. 당시의 시대적 상황
2. 시장의 내용을 빼거나 수정한 부분
3. 새로운 억지 신화가 추가된 부분
Ⅳ. 『여지도서(與地圖書)』 「능주목조 인물 편」이 전하는 최경회
Ⅴ. 후대 지리지가 전하는 최경회에 관한 기록
1. 1789년 『綾州牧邑誌(능주목읍지)』
2. 1791년 필사본 『和順縣邑誌(화순현읍지)』
3.「전국읍지상송령」에 따른 화순과 능주의 읍지(1899년)

제3절 『湖南節義錄(호남절의록)』 시장의 신화 계승
Ⅰ. 절의록의 大綱
1. 書誌(서지) 사항
2. 편찬 배경과 간행 시기
Ⅱ. 『호남절의록』에 수록된 경상우병사 최경회에 관한 기록
1. 시장과 『여지도서』의 신화 승계
2. 최경회 시장에 근접하는 이유
3.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의 삼장사 시 작시 상황
4. 삼장사 시와 주석
Ⅲ. 다른 충신들의 기록과 비교의 허실

제10장: 호남 유생들의 1, 2차 통문과 答書(답서)

제1절 호남 유생들의 삼장사 농단(제1차 통문)
Ⅰ. 전개 과정
Ⅱ. 당시 삼장사 관련 영남의 사정
1. 김성일 임란 사적 『龍蛇日記(용사일기)』 간행
2. 삼장사 사당과 기념비 건립 추진 상황
3. 송암 이노 예조참의 추증과 통문과의 연관 관계
Ⅲ. 광주 유생들의 통문
Ⅳ. 호남통문, 그 245년 만의 답서
1. 서릿발이 없는 시의 흔적
2. 6만 黎民(여민)이 도륙되는데 술 마시고 시를 짓다니
3. 강물에 다다라 시를 지으며 ‘촉석루 중’이라 한 까닭
4. 실어 전하는 문적은 하나도 없었다
5. 세 가문이 삼장사로 다툰다는 지적에 관하여
6. 『학봉전집』에 삼장사 시를 잘못 기재하였다는 부분
7. 김성일의 卒日(졸일)과 곽재우의 진주성 전투
8. 삼장사시가 먼저 간 사람의 소작일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하여
9. 삼장사가 없는 삼장사에 대한 기록 문적
10. ‘혼은 없어지지 않는다.’라는 시어
11. 경상관찰사 정사호의 請額疏(청액소)와 삼대장
12. 적개의병장 변사정의 상소문이 전하는 진실
13. 최경회 시장에 있다는 三臣(삼신)
14. 더할 것이 없을 고귀한 명성과 불초를 자처한 후손
15. 민몰되는 데 그치지 않고 대궐 문 앞의 쟁송 협박
16. 촉석루 경내 시판 제거 요청에 관하여

제2절 호남(남원) 유생들의 제2차 통문과 답변
Ⅰ. 남원 유생 진주향교 통문
Ⅱ. 호남 통문에 관한 답서
Ⅲ. 호남 통문과 답변서를 보는 감회
1. 왜 호남 유생들은 상소하지 않았을까
2. 『화순읍지』와 행장에 대한 무비판적 답변
3. 계사(1593)년 6월 28일의 진주성 상황

제11장: 『旌忠錄(정충록)』의 삼장사시 왜곡과 호남 사림의 경상감영 소송

제1절 『旌忠錄(정충록)』의 삼장사시 왜곡
Ⅰ. 『정충록』이 간행된 당시의 사정
Ⅱ. 남원의 旌忠祠(정충사)
Ⅲ. 『남원정충록』의 간행
1. 정충사의 기관지로서 『정충록』
2. 『정충록』의 평가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지적
Ⅳ. 『정충록』 詩章(시장)의 편집과 『무민공실기』와 괴리
1. 詩章(시장)에 등재된 시의 내용
가. 哀黃兵使(애황병사, 이정암)
나. 次板上韻奉示金節度(차판상운 봉시김절도, 정사호)
다. 晉州陷城時崔兵使所吟(진주함성시 최병사소음)
라. 哀黃兵使(애황병사, 조위한)
2. 『武愍公實記(무민공실기)』와의 차이
Ⅴ. 『정충록』「黃武愍公實錄(황무민공실록)」 편의 삼장사시 기록
1. 『정충록』의 삼장사 시에 관한 언급
2. 『忠烈實錄(충렬실록)』에로의 轉寫(전사)

제2절 호남 유생들의 경상감영 소송(제3차 삼장사 논쟁)
Ⅰ. 소장 제출의 시대적 배경
1. 남원유림의 통문과 『호남절의록』 간행
2. 송암 이노의 이조판서 추증
3. 삼장사 공적비 건립과 분쟁
Ⅱ. 소장의 증거 문적 분석
1. 소장에서 인용한 1750년 이전의 증빙 문적
2. 1750년 이후의 증빙 문적
Ⅲ. 소장에서 보이는 각종 오류 등
1. 『용사일기』의 저자 이상정
2. 자기들만의 이상한 기준
3. 시의 분위기에 대한 황망한 해석
4. 시판 철거와 공적비 분쇄
5. 경상감영 소송문

제12장: 경상우병사 洪和輔(홍화보)의 豪言(호언)과 『목민심서』의 삼장사시 변조

제1절 경상우병사 洪和輔(홍화보)의 豪氣(호기)
Ⅰ. 촉석루, 1780년 어느 봄날의 연회
1. 홍화보의 탄식
2. 정약용의 촉석루 宴遊(연유) 시
3. 삼장사 시판 앞에서의 豪言(호언)
Ⅱ. 이해가 되는 정약용과 이해할 수 없는 홍화보
1. 홍화보에 관한 이해
2. 정약용의 삼장사에 대한 인식
Ⅲ. 진주의 민심과 김성일 그리고 桎梏(질곡)의 홍화보
Ⅳ. 호남 의병장의 통음과 패전과의 인과관계
1. 이항복 전 「論亂後諸將功蹟(논난후제장공적)」과 안방준의 반론
2. 호남의병장과 통음

제2절 『牧民心書(목민심서)』의 삼장사 시 조작
Ⅰ. 『목민심서(牧民心書)』에 나오는 촉석루 삼장사 시
1. 「兵曹禦寇條(병조어구조)」에 수록된 촉석루 사적의 요지
2. 詩句(시구)의 조작 내용
3. 역사를 조작한 정다산
Ⅱ. 다산과 촉석루
1. 다산의 촉석루 1차 방문
2. 다산은 촉석루중삼장사시 현판을 보았을까
3. 1786년의 학봉 후손 김기찬의 목격과 홍화보의 차운
4. 다산의 2차 촉석루 방문
Ⅲ. 『학봉전집』을 필독하였을 정다산
1. 촉석루삼장사중 조종도에 관한 『목민심서』의 기록
2. 퇴고한 문자로 시를 바꾼 정약용
Ⅳ. 대학자의 일탈
1. 牽强附會(견강부회)한 신유한의 시 인용
2. 호남의 삼장사 주장 시기
3. 정약용의 바람
4. 신유한의 ‘제촉석루’와 해의
5. ‘報君三壯士(보군삼장사)’와 ‘同我三士(동사삼사)’의 분위기
6. 홍계희의 양심과 실수

제13장: 호남 三節士(삼절사) 문집의 개조 발간

제1절 『濟下彙錄(제하휘록)』 발행과 삼장사 시 사적
Ⅰ. 『제하휘록』의 서지 사항
Ⅱ. 『제하휘록』의 이상한 편집
1. 신유한의 촉석루 시 수록
2. 신유한이 알고 있었던 삼장사
Ⅲ. 金輔元(김보원)의 행장 변조
1. 호남삼장사 후손들의 고민
2. 직방재 김보원의 행장 변조
3. 『제하휘록』이 전하는 김보원의 행장 대강
4. 『三莊誌(삼장지)』에 실어 전하는 전설
5. 현세에도 惑世誣民(혹세무민)되는 삼장사 시에 대한 애도
Ⅳ. 「矗石樓日休堂詩實蹟(촉석루 일휴당시 실적)」의 허와 실
1. 촉석루 일휴당시 실적과 평가
2. 말(馬)이 아닌 사람들의 있음 직한 이야기
Ⅴ. 경상감사 김상휴의 「嶺南三壯士卞(영남삼장사변)」
1. 남의 가문 소송문을 기재한 까닭
2. 곽재우 후손들조차 주장하지 않는 김상휴 決案(결안)
Ⅵ. 「嶺湖三壯士虛實卞釋(영호삼장사허실변석)
1. 소송의 판결문을 싣지 못한 사정
2. 광주 유생 진주 통문 답서를 하지 않은 데에 관한 곡해
3. 패소 사유에 대한 이상한 자체 분석

제2절 최경회의 문집 『日休堂實紀(일휴당실기)』와 『日休堂實記(일휴당실기)』
Ⅰ. 『日休堂實紀(일휴당실기)』의 간행
1. 최경회의 1차 문집 간행
2. 기정진의 『일휴당실기』 서문과 평가
3. 『성취록』과 『최씨육의록』의 배제
4. 『成取錄(성취록)』 배제의 또 다른 기도
5. 實紀(실기)에 실린 최경회의 墓碑銘(묘비명)
Ⅱ. 일곱 명의 六義(육의)
Ⅲ. 『日休堂實記(일휴당실기)』에로의 개조
1. 일휴당 ‘實記(실기)’의 간행과 서문으로 보는 목적
2. 『일휴당실기』 서문
3. 서문에서 묻어 나오는 개조의 기운
4. 『成取錄(성취록)』 발문의 인용과 변조
Ⅳ. 崔冑海(최주해) 찬 家乘(가승) 내의 삼장사 기록과 조작
1. 최주해의 가승 내의 삼장사 관련 기사
2. 최주해가 촉석루 삼장사시를 알았을까
3. 최주해 찬 「성취록」 중 가승의 기록 변조
Ⅴ. 일휴당 최경회 묘비명의 참혹한 변조
1. 표절과 조작의 언저리
2. 묘비문의 변조
Ⅵ. 『해주최씨 「일휴당집」·「육의록」全(전)』의 발간
1. 국역 『日休堂集(일휴당집)』
2. 『六義錄(육의록)』의 서지 사항
3. 『六義錄(육의록)』 중 삼계공 최경회 사실과 행장
Ⅶ. 『六義錄(육의록)』의 請額啓(청액계) 변조와 최경회의 죽음
1. 물에 빠져 죽어야 될 수 있다는 촉석루 삼장사
2. 같은 서책 각기 다른 일휴당 죽음에 관한 기록
3. 경상감사 정사호의 請額啓文(청액계문) 변조

제3절 健齋(건재) 金千鎰(김천일)의 문집 간행과 호남유림의 간섭
Ⅰ. 『健齋集(건재집)』의 발간 경위
1. 『건재선생문집』의 서지 사항
2. 삼장사와 관련된 기록이 전혀 없는 『健齋集(건재집)』
Ⅱ. 『健齋集(건재집)』의 개조 간행
1. 문집을 破板(파판)한 사정
2. 宋近洙(송근수)의 발문 변조
3. 김민상의 발문과 개조 문집 奇宇萬(기우만)의 발문 의미
4. 姜沆(강항)과 林懽(임환)의 차이
5. 개조 문집의 촉석루 시에 관한 사적과 미완성의 조작

제14장: 남강에서 나온 철인의 주인을 찾아서

제1절 부실한 조정의 확인 절차에 관한 기록
Ⅰ. 영조가 확인할 때의 기록
Ⅱ. 도장의 주인을 단정한 이유
1. 경상우병사 김윤의 판단
2. 조정의 철인에 대한 미흡한 확인과 확정

제2절 일휴당 최경회는 철인을 보았을까
Ⅰ. 1592년 4월~1593년 6월 말의 경상우병사 변천 면모
Ⅱ. 兵符(병부)의 확인과 관인의 인계인수에 관한 추론
Ⅲ. 8명의 경상우병사와 면면과 죽음 그리고 관인
Ⅳ. 경상우병사 최경회의 죽음에 관한 기록
1. 『선조실록』의 기록과 상반된 『선조수정실록』
2. 1592년 8월 4일 비변사의 장계
3. 『亂中雜錄(난중잡록)』의 기록
4.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전
5. 춘천선비 정사호의 상소문
6. 「晉州敍事(진주서사)」의 기록
7. 『懲毖錄(징비록)』이 전하는 상황
8. 『晉陽郡史(진양군사)』의 기록

제3절 남강철인의 주인
Ⅰ. 비운의 장수들
Ⅱ. 진주성 동문에서의 도륙
1. 경상우병사가 진주성에 닿은 경위
2. 열리지 않는 진주성 동문
3. 황망한 죽음과 시신의 처리
Ⅲ. 병마절도사 관인의 행방과 주인

제15장: 의기 논개의 명예 회복을 위한 傳(전)
제1절 의기 논개에 관한 몇 가지 기록
Ⅰ. 『於于野譚(어우야담)』이 전하는 숭고한 의거
Ⅱ. 의암에 새겨진 義巖(의암)이라는 篆字(전자)
Ⅲ. 「義巖記」의 기록
Ⅳ. 「晉州義巖事蹟碑(진주의암사적비)」의 내용
Ⅴ. 慶尙監司崔鎭漢疏(경상감사 최진한 소)
1. 논개의 정표를 청하는 최진한의 상소
2. 논개를 최경회의 처첩이라는 훼절의 단초
Ⅵ. 최초로 천첩이라 기록된 최경회 시장
Ⅶ. 『承政院日記(승정원일기)』에 전하는 시장 심의 내역
Ⅷ. 『於于野譚(어우야담)』의 관기와 왜장 묘비석의 여인

제2절 최경회와 논개가 夫婦(부부)였을 때
Ⅰ. 일휴당 최경회의 경우
1. 부모 상중의 처첩이라
2. 重婚(중혼)을 한 唯二(유이)한 선비
3. 국운이 달린 전쟁에 부인을 대동해
4. 일휴당이 階伯將軍(계백장군)의 고사를 몰라
Ⅱ. 의기 논개, 최경회의 아내가 되는 경우
1. 아내의 길
2. 열녀의 길
3. 공문서 위조범
4. 우미인, 虞姬(우희)의 길

부록
□ 촉석루삼장사 시에 관한 시비의 전말[년도별 정리]
저자소개

저자소개

이춘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의령 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사 대구시 중구청,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서울특별시 성동구청 근무 (주)정우기획 대표이사 역임 전)성광일보 논설주간 저서) 『재개발을 말하다』 『槐堂公遺書解義(괴당공유서해의)』 『譯註四姓綱目(역주사성강목)』 『譯註槐堂先生文集(역주괴당선생문집)』 『고성이씨 은암공파역사기』 「謹以(근이)의 어원을 찾아서」 「선생을 말하다」 「송암집 국책번역사업 유감」 등 다수
펼치기
이춘욱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