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9105699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서문 탁월하게 성장하는 리더들은 무엇이 다른가
[STEP 1 자기인식]
1장 나는 내가 좋은 리더인 줄 알았다_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 당신은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
- 리더의 ‘내로남불’이 위험한 이유
2장 그는 왜 피드백이 통하지 않을까 _저성과자 팀원과 일하는 법
- 우리는 자신의 능력을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 변화하지 않는 팀원 때문에 자신을 탓하지 마라
◆ 자기인식 체크리스트
[STEP 2 내적수용]
3장 나에 대한 평가가 신경 쓰인다 _부정적인 피드백 대처하기
- 수용의 깊이가 성장의 크기를 결정한다
- 한 발짝 물러서서 마음의 공간을 만들어라
4장 승진에 밀려나서 무기력할 때 _좌절을 수용하기
- 문제를 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마주하라
- 좌절의 순간, 나를 새롭게 바라보다
◆ 내적수용 체크리스트
[STEP 3 관점전환]
5장 사소한 상황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_심리적 통제권 갖기
- 주어진 상황과 나의 반응을 분리하라
- 마음에도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6장 잘못을 인정해도 변화가 어려운 이유 _사고의 틀 바꾸기
- 그는 왜 문제를 알면서도 변화하지 못하는가
- 부정적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방법
7장 작은 실수라도 하면 무너질 것 같다 _완벽주의에서 벗어나기
- 탁월한 리더가 완벽한 리더는 아니다
- 성공과 완벽주의는 관계가 없다
◆ 관점전환 체크리스트
[STEP 4 한계극복]
8장 새로운 도전은 누구나 두렵다 _일단 시도하기
- 강점을 살리되 취약성을 인정하라
- 새로운 성공 경험이 쌓이면 관점이 바뀐다
9장 성과를 내는 것보다 사람이 어렵다 _관계 갈등 극복하기
- 사람의 마음을 먼저 얻어야 하는 이유
- 부드러운 소통법으로 마음을 움직여라
◆ 한계극복 체크리스트
[STEP 5 회복탄력성]
10장 진정한 리더는 실패에서 배운다 _패배감 극복하기
- 성장마인드셋을 갖추면 회복탄력성이 상승한다
- 과도한 자기비판은 독이 된다
11장 한 번의 거절로 마음이 위축됐을 때 _ 거절을 극복하는 법
- 현명한 리더는 거절에서 배운다
- 거절당한 이후 찾아오는 불안을 다루는 법
12장 기업이 비난 여론에 휩싸였을 때 _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법
- 위기 상황에서 리더는 가장 앞에 나선다
- 리더십이 돋보이는 진정한 사과란
◆ 회복탄력성 체크리스트
[STEP 6 지속가능성]
13장 빠른 성공 이후 정체감에 빠지다 _성장동력 찾기
- 눈앞의 목표만 좇을 때의 위험성
- 나에 대한 연민이 동기부여로 이어지다
14장 계속 성장하면서 나를 잃고 싶지 않다 _목표 구체화하기
- 지금까지 주어진 목표만 달성하진 않았는가
- 마음의 에너지가 충분할 때 현명한 결정이 나온다
15장 내향적인 리더도 성공할 수 있을까 _ 지속가능한 리더십
- 내향형 리더가 주목받는 이유
- 공감과 포용, 리더의 새로운 경쟁력이 되다
◆ 지속가능성 체크리스트
[STEP 7 자기경계]
16장 성공한 리더들이 흔히 하는 실수 _자만심 경계하기
- 조직을 출세의 도구로 여기지 않는가
- 마음에도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17장 왜 요즘 애들은 쉽게 일하려고 할까 _꼰대가 되지 않는 법
- 자신의 성공 방식을 강요하지 않는가
- 리더의 품격은 마음의 여유에서 나온다
◆ 자기경계 체크리스트
맺음말 결국 마음을 아는 리더가 이긴다
감사의 글
부록 셀프 리더십 스터디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다양한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 곁에서 오랜 시간 동안 그들의 고민을 나누고 솔루션을 제시하며 깨달은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아무리 유능한 리더라도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고 살피지 않은 채 앞만 보고 달린다면 결국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탁월한 성과를 내며 행복한 성장을 이어가는 리더들은 모두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는 힘’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 서문 <탁월하게 성장하는 리더들은 무엇이 다른가> 중에서
정확한 자기인식은 무엇보다 리더의 성장을 위한 첫걸음이기도 합니다. 퍼포먼스 코칭을 하며 만난 너무나 많은 리더들이 놀랍도록 자기 자신에 대해 무지하며, 자신의 문제점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의 조직심리학자인 타샤 유리크(Tasha Eurich)가 미국 유수 기업들의 리더를 대상으로 진단한 결과에서도, 정확한 자기인식을 가진 리더는 전체의 10~15퍼센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장 <나는 내가 좋은 리더인 줄 알았다> 중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수용하는 태도는 그가 리더로서 얼마나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았습니다. 즉 피드백 수용도가 높은 리더들은 예외 없이 빠르게 성장의 다음 단계로 이행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는 반면에, 수용도가 낮은 리더들은 그 자리에서 더 성장하지 못한 채 물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얼마나 깊이 있게 수용하느냐가 리더로서 성장의 크기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장 <나에 대한 평가가 신경 쓰인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