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9938680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9-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왜 남에게는 친절하면서 나에게는 무례할까요?
1장. 나부터 나와 잘 지내 봅시다
나쁘기만 한 감정은 없습니다
억지로 다스려지지 않는 기분들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1]
진짜 내 마음을 들여다보려면?
못하는 것보다 잘하는 것에 집중하기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2]
불편한 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해 보세요
2장. 언제나 최선을 다할 순 없어요
아침에 눈떴을 때의 기분이 말해주는 것
스트레스라고 다 나쁜 것은 아니에요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3]
다 그만두고 떠나고 싶어요
쉽게 화가 나는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
의지가 약해서 포기하는 게 아니에요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4]
쉬어야 다시 일할 수 있어요
3장. 다그치기 전에 먼저 안아 주세요
일단 내 마음부터 안아 주세요
원래 인생은 그런 거예요
지나간 과거에 머물지 말고, 오지 않은 미래를 불안해하지 말고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5]
자책하기 전에 칭찬해 주세요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6]
잘 공감할수록 인생은 피곤해집니다
숙제하듯 쉬지 말아요
4장. 거리가 있어야 좋은 관계입니다
외로운 게 당연한 겁니다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7]
왜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은 걸까요?
주는 만큼 돌려주는 사람을 만나세요
거절은 거부가 아니라 대화입니다
아무리 좋은 말도 반복되면 잔소리일 뿐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8]
사과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다른 사람의 눈치를 너무 많이 봐요
서로의 거리를 인정하기까지
5장. 내 마음을 마음대로 해 보겠습니다
우울하다고 행복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9]
어차피 10명 중 7명은 당신에게 관심 없습니다
자존감은 의지만으로 생기지 않아요
상처는 회복될 수 있습니다
아주 작은 성공의 힘
원하는 걸 얻었는데 왜 마음이 허전할까요?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10]
스마트폰 속 남의 인생과 비교하지 마세요
[매일 조금씩 나를 더 사랑하는 연습 11]
부록. 정신과 의사 사용 설명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섬세한 마음의 반대말은 강하고 단단한 마음이 아니라 무딘 마음이다. 섬세한 마음이 무딘 마음보다 나쁜 것도 아니고, 또 노력한다고 타고난 섬세한 마음이 무딘 마음으로 바뀔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섬세한 마음이 강해진다는 것은 외부에서 자극이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감정 반응 자체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화려하기에 때론 나를 불편하게 하는 내 감성 반응을 여유롭게 즐기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감성을 비난하거나 억누르지 말고 있는 그대로 예뻐해 주는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
거절에 민감하다는 것은 모든 사람과 가까워지고 싶다는 욕구가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거리를 두는 상대방의 사소한 행위, 전화를 받지 않거나 바로 답신이 오지 않을 때 불안감이 엄습하게 된다. ‘내가 실수한 것이 있나?’, ‘내가 싫어진 건가?’, ‘어떻게 나에게 이럴 수 있지?’, ‘아 피곤해, 그냥 내가 먼저 정리해 버리자’ 등등 여러 감정 반응이 찾아오는 것이다.
이때 이 감정을 좇아 행동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불안한 마음에 수십 번 전화를 걸거나, 어떻게 나에게 이럴 수 있느냐며 부정적인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상대방의 핸드폰이 고장 나 답신을 못한 것이라면 어떻게 되겠는가? 일단 머쓱하고 창피하며, 상대방도 기분 좋지 않을 것이다.
‘무언가 다른 이유가 있을 거야’라고 생각했다면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 텐데, 그리고 그것이 객관적으로 더 옳은 판단일 텐데 거절에 예민한 경우 ‘나를 싫어해서 그런 걸 거야’라는 감정 반응이 나오는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 습관이 없는 사람은 없다. 그리고 이 습관은 문신처럼 내 마음 깊이 새겨져 있기에 완전히 지워 버리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하지만 마음 훈련을 통해 어느 정도는 극복할 수 있다.
다섯 살짜리 아이가 “인생을 잘못 살았다”라고 후회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반대로 “어떻게 여덟 살을 보낼지 걱정돼”라며 미래를 걱정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아이들의 엄청난 힘은 100퍼센트 현재를 사는 데서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다큐멘터리 등에서 전쟁처럼 매우 긴박한 상황에서도 여유만 있으면 뛰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이다.
만약 아이들이 미래를 보는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면 인류가 유지되었을까 하는 농담 같은 생각도 해보게 된다. 나 같으면 “응애” 하고 태어났는데 20년 후 수능도 치러야 하고 취직도 해야 하고…. “으아 피곤하다, 피곤해” 하며 엄마의 따뜻한 배 안으로 다시 들어가고 싶을 것이다.
어쩌면 현재의 행복에 집중해 에너지를 끌어당기는 능력은 개발이 아니라 회복이 필요한 대상인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현재에 대한 집중력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