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9119110757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6-23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시대의 질문, 리더의 길을 묻다 9
제1부 삶의 바닥에서 피운 소명의 서막
[ 제1장 ] 흙수저의 투지: 가문의 한계를 딛고 일어서다 15
[ 제2장 ] 가난의 지혜: 역경 속에서 피어난 현실정치 21
[ 제3장 ] 고통의 철학: 시련을 통해 얻은 공감 능력 27
[ 제4장 ] 배움의 무기: 소외된 자를 위한 지식의 힘 33
[ 제5장 ] 최초의 질문: 누구를 위한 정치인가 40
[ 제6장 ] 소명의식: 왜 정치를 선택했는가 47
제2부 절망 속에서도 꺼지지 않은 신념
[ 제7장 ] 절규의 정치: 행동으로 외치는 진심 57
[ 제8장 ] 제도 혁신의 기록: 이상을 현실로 65
[ 제9장 ] 책임의 무게: 권력의 본질을 꿰다 72
׀ 제10장 ׀ 청렴의 가치: 시대정신을 담아내다 79
׀ 제11장 ׀ 고독한 실천: 외로운 길을 묵묵히 걷는 신념 87
׀ 제12장 ׀ 두려움에 맞서는 용기: 리더의 내면 94
제3부 미래를 설계한 행정의 힘
[ 제13장 ] 시스템 재설계: 새로운 질서 구축 105
[ 제14장 ] 정의의 경계: 현실과 이상의 조화 113
[ 제15장 ] 사람 중심의 행정: 공감과 배려의 리더십 121
[ 제16장 ] 권력이 되는 기록: 미래를 향한 책임감 128
[ 제17장 ] 투명한 시스템: 신뢰를 구축하는 구조 135
제4부 권력 앞에서 드러난 리더의 품격
[ 제18장 ] 권력의 그림자: 흔들리지 않는 신념 145
[ 제19장 ] 기득권과의 투쟁: 한계에 도전하는 개혁가 151
[ 제20장 ] 용기와 청렴: 부패에 맞서는 리더의 자세 158
[ 제21장 ] 행정의 원칙: 시대를 밝히는 정의로운 힘 165
[ 제22장 ] 힘의 도덕: 권력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173
[ 제23장 ] 리더의 자격: 권력과 책임의 균형 180
제5부 시민, 함께 쓰는 새로운 역사
[ 제24장 ] 살아 있는 정의: 시민을 향한 뜨거운 열정 189
[ 제25장 ] 멈추지 않는 저항: 시대의 벽을 넘는 용기 196
[ 제26장 ] 실천하는 철학: 이상을 현실로 만드는 리더 204
[ 제27장 ] 시대의 선택: 깨어 있는 시민의 힘을 믿다 211
[ 제28장 ] 책임의 완성: 시민과 함께 미래를 그리다 220
[ 제29장 ] 당신의 선택: 어떤 리더를 원하는가 226
[ 제30장 ] 질문은 끝나지 않는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시민 233
나가며 멈추지 않는 질문, 깨어 있는 시민의 길을 열다 240
부 록
『경세유표』 서문 247
『목민심서』 서문 252
『흠흠신서』 서문 255
다산 정약용 연보 259
참고문헌 270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치는 삶을 설계하는 사유에서 시작된다. 배움은 제도의 특권이 아니라, 현실을 응시하는 태도에서 자라난다. 사유는 고요한 책상이 아니라 고단한 삶 속에서 뿌리내리며, 철학은 질문하는 인간만이 도달할 수 있는 지점이다. 정약용과 이재명. 전혀 다른 시대를 살았던 두 사람은, 놀랍게도 ‘학문은 실천이어야 한다’는 동일한 원칙 위에서 만난다.
정치란 처음부터 누군가에게 정해진 길이 아니다. 정약용에게 그것은 학문에서 현실로의 전환이었고, 이재명에게 그것은 절망 속에서 끌어올린 생존의 철학이었다. 두 사람 모두 정치란 삶의 상처에 응답하는 선택이었다. 그리고 그 선택은 단순한 진로나 전략이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하고 응답하는 깨어 있는 의식의 여정이었다.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백성을 위한 제도 설계를 멈추지 않았다. 이재명은 공장에서, 헌법과 일기를 무기로 다시 일어섰다. 그들은 모두 말로써가 아니라 실천으로, 글로써가 아니라 정책으로, 정치의 본질을 증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