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미문학
· ISBN : 9791191158724
· 쪽수 : 205쪽
· 출판일 : 2022-01-26
목차
서문 / 3
프롤로그 / 19
1장 한국 영어영문학이 훈련하는 역량들 ∙ 25
인문적 비판 지성 / 29
텍스트 분석과 글쓰기 역량 / 32
영어 역량 / 35
2장 포스트-영문학
: 텍스트 소비와 생산 역량 훈련으로 전환 ∙ 43
미국 영문학과의 역사 / 43
디시플린으로서 영문학 공부: 로버트 스콜즈 / 55
3장 영문학 학문하기 ∙ 61
영미 문학을 ‘연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 61
‘문학’과 ‘문학 연구’ 구분하기 / 62
‘영미 문학 연구’의 문제점 / 65
알레고리적 문학 연구를 지양하며 / 70
4장 문학 텍스트 분석하기와 글쓰기
: 문학 논문 쓰기 ∙ 75
문학 작품 분석하기 / 77
소설 읽기: 경험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 82
문학 논문 쓰기: 짤막한 분석 페이퍼 쓰기 / 104
문학 논문 쓰기: 대학원 기말 페이퍼 쓰기 / 121
학위 논문 및 저널 논문 쓰기 / 136
5장 포스트-영문학
: 융복합-포스트 인문학으로의 전망 ∙ 167
인문학의 도전 / 168
포스트구조주의 체제 개념에 대처하는
융복합-포스트 인문학의 새로운 주체 / 170
과학 기술의 발전/환경 위기에 대처하는
비판적 포스트 인문학의 “조에-평등주의” / 177
시장 자본주의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처하는
융복합-포스트 인문학의 “횡단적 동맹” / 182
융복합-포스트 인문학을 향하여 / 184
6장 대학 교양 영어의 전환 ∙ 191
영어 언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 영어 / 192
토익 문제 풀이하는 교양 영어? / 194
쓰기 역량을 강화하는 교양 영어 / 196
원어민 강사의 필요성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