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우동 스캔들

어우동 스캔들

최은희 (지은이)
열린출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4,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우동 스캔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우동 스캔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1201451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23-05-10

책 소개

시조사랑시인선 36권. 최은희 시인이 다소 발칙한(?) 제목으로 펴낸 『어우동 스캔들』.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시인의 예리한 시선과 따뜻하고 섬세한 위로가 함께한다.

목차

1부 올봄에도 나는 예쁘다
칡소
불티 2
장미, 붉은
축제의 끝
황화黃花 코스모스
실어증
낙선재 모란
꽃의 환幻
낙엽이 고운 까닭
쓰르라미
미생물처럼
할로윈데이
이집트에 내리는 비
가을 음악회
다음 생엔 나비
묻고 또 물어도
달빛 아래 일타홍一朶紅
개미의 가을 엽서
돌고래, 오늘
올봄에도 나는 예쁘다

2부 자취는 아직 남아
꽃 대궐, 낙선재 후원
매미의 뒷모습
아버지의 손 편지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잘 있니
자유의 여신, 지다
몌별袂別
가는 길 ․ 1
가는 길 ․ 2
가는 길 ․ 3
낙산사에서
처서, 매미
남계서원 앞에서
하얀 민들레
법,법,법
일두 정여창 생각
휴전선의 진달래
청개구리
배티고개를 찾아서
레퀴엠을 위하여
어머니

3부 세상은 눈부신데
위대하다, K클래식
봄, 봄
어느새
취타악吹打樂
부르카
어우동 스캔들
아라비아 윤尹씨 마을
K-장단
삼고무三鼓舞
태평양 공화국
허거프다, 처서
동화同化
어떤 작별
아크부대
밸런타인데이
야차굼바의 길
태평소
갯바위는
겨울의 끝에서
실絲, 사람 사이
여름은

4부 타는 속 끄지 못해
말[言]
서울의 단테
바람에게 들어라
봄의 길목
해치獬豸
꽃 매미
내게 묻다 ․ 2
벚꽃 질 때
눈발이 되어
동전 던지기
2월의 골짜기엔
하나님이 기가 막혀
가을엔 샹송을
큰 물 지다
통영 낙조
제비나비
살아서 돌아오라
서해수호의 날에
융릉 개비자나무
희아리를 줍다

5부 신논현역 7번 출구
새날을 열며
제야의 눈
나야, 나
아모르 파티
삶의 기슭
튤립 축제
홀로세
갯바위
미르테의 꽃 ․ 2
겨울 미뉴에트
개펄에서
신논현역 7번 출구
스핑크스의 미소
다모클레스의 검
부용대에서
대장동에 서서
어느 비[雨]요일
봄옷을 꺼내며
오늘은 물새로
오래된 뉴스
영부인의 브로치

저자소개

최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서, 가톨릭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미국 SFC of Music에서 수료했다. 시부문과 시조부문으로 등단하여 한국문인협회, 시조문학진흥회 회원으로 문단 활동을 하고 있으며, (사)한국시조협회에서 홍보국장 겸 사무차장직을 맡고 있다. 시조세계화 추진위원으로 시조 유네스코등재추진위원회 사무국장직을 맡고 있다. 2018년도에는 <한국시조협회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어우동 스캔들』 서문

김흥열 (사)한국시조협회 고문

먼저 세령 시인의 시조집 『어우동 스캔들』 출간을 축하드린다. 내가 아는 세령 시인은 다재다능한 시인이시다.
작품집 제목부터가 그렇다. 독자의 관심을 마냥 부풀리는 재주가 배어 있지 않은가?
이번 작품집에서 나타난 작품의 특징을 보면 시조의 본령인 평시조가 대부분이라는 점, 작품을 물 흐르듯 편하게 쓴다는 점, 작품마다 혼이 배어 있다는 점, 그리고 언어를 부리는 재주가 남다르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시인은 품성이 바르고 밝을 뿐 아니라 매사가 분명하다. (사)시조협회 사무총장을 역임해 오면서 협회 발전을 위해 늘 고심하고 연구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해온 존경 받는 분이시다.
세령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어떤 모습이나 지향점이 평소 시인의 생활 철학과 일치한다. 즉, 시인의 사고思考나 사유思惟의 세계가 이번 작품집에도 여실히 드러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작가의 깔끔한 성격을 닮아서인지 상재된 작품마다 깔끔하고 단아端雅한 모습으로 독자를 대하기 때문이다.
시대의 변천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옛것을 지켜낼 때, 전통예술로서의 가치는 빛나게 되고 인정받게 된다. 발전이라는 핑계로 전통문화도 바뀌어야 한다고 하면 이는 이미 전통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시조’ 역시 정체성이 분명한 시 장르이다. 현대적 감각이나 언어예술의 기법을 동원하더라도 그 정체성을 상실하면 본래의 전통적 예술의 가치는 없다고 본다.
이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세령 시인은 시조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 어떤 전통예술이든지 변할 수 없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데 시인은 이 정체성을 분명히 살려내려고 무단히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한두 마디 글자가 어긋나기도 할 법한데 작품 어느 것도 시조의 정수精髓를 벗어난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제 몇 작품을 골라 세령 최은희 선생이 사유思惟하고 있는 아름다운 시 세계를 구경해 보며 그 풍미를 맛보기로 한다.

빗장을 굳게 지른 비원의 뒤뜰에다

돌아온 덕혜옹주 꽃씨를 가득 뿌려

넋으로 터뜨린 망울 꽃대궐이 됐구나
「꽃 대궐, 낙선재 후원」 전문

덕혜옹주는 비운의 공주이다. 고종황제의 딸이지만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일본에 끌려가 신여성 교육을 받아야 했고 일본의 정략에 의해 대마도주와 강제 결혼까지 하였으나 우울증과 실어증으로 고통을 받았다고 한다. 말년에 고국으로 돌아와 창덕궁 낙선재에 머물다 돌아가시기까지 눈물로 한 생을 마감한 공주이다.
작품의 초장 ‘빗장을 굳게 지른’이라는 표현에서 고국에 와서도 현실 세상과 격리되어 살고 있는 모습을 그려냈다. 지금 작가는 낙선재 뒤뜰에 가득 핀 꽃을 보면서 덕혜옹주가 외로움에 뿌린 꽃씨가 그의 넋을 이어받아 꽃대궐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한다.
작품의 외형은 3.4.3.4, 3.4.3.4, 3.5.4.3의 완벽한 시조형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장(章)마다 독립성 연결성 완결성이 분명하여 어느 하나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엮어 냈다. 더구나 시조의 매력인 상상력을 동원하여 지금 작가가 보고 있는 꽃밭은 일상적으로 접하는 아름다운 꽃밭이 아니라 한 맺힌 덕혜옹주의 생애를 부활시켜 꽃 대궐에서 다시 살게 하는 작가의 신비스러운 손재주로 만들어 낸 꽃밭이다. 그래서 지금 옹주는 꽃 대궐에 살고 있는 공주가 된다.
종장 처리가 돋보인다. 절망에서 희망을 보는 한 줄기 빛이다.
감정을 절제하여 간결하고 상징성을 잘 나타내도록 한 점이 돋보인다.

살굿빛 시를 쓰는 눈 시린 새 날 아침

처마 끝 달려 있는 고드름 펜을 삼아

퍼지는 햇살의 노래 온 누리로 띄운다.
「새날을 열며」 전문

이 작품은 시인의 마음이 보이는 새해 아침이다.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 실체이다. 어제, 오늘, 내일이란 경계선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새해 아침이 되면 한 해를 알차게 보낼 다짐을 하게 된다. 사람들은 절대적 양의 개념인 chronos를 만들어 놓고 절대적 질의 개념인 kairos를 추구한다. 즉, 시간의 개념(시계, 달력 등등)을 만들어 놓고 특별한 의미를 (생일, 결혼기념일 등등) 부여하여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자 한다. 작가가 주제를 ‘새날을 열며’라고 붙인 것도 카이로스의 개념을 살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시인은 살굿빛 시를 써서 온 세상에 알리고 싶다고 한다. 비단결보다 고운 마음결이 보인다. 세상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행복을 주는 한 해가 되고 싶다는 소망이다. 종장은 독자에게 희망을 주는 하나의 메시지이다.

발붙일 틈도 없는 이태원 골목길에

할로윈 악령들이 한바탕 놀고 갔나

새하얀 국화 송이가 눈꽃처럼 쌓인다.
「축제의 글」

이 작품은 2022. 10. 29.에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다룬 작품이다. 가슴 아픈 사건이다. 화자는 지금 이 대참사를 악령들의 장난이라고 상상한다. 21세기의 문명사회에서 일반인의 정상적 생각으로는 발생이 불가능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핼러윈(Halloween)이란 ‘모든 성인 대축일 전야제(All Hallows’ Day evening)’의 줄임말로 죽은 자의 날인 10월 말일에 열리는 축제이다. 이 행사에는 악령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기괴한 복장을 입거나 가면을 쓰고 즐기는 날이다. 이런 축제에 악령들이 죽음의 축제를 벌이지 않고는 설명이 안 되는 비상식적 사건이 일어난 날이 바로 29일 밤이다.
화자는 작품을 이끌어내는 솜씨 뛰어나다. 그날 저녁 벌어진 참상을 단 한마디도 말하지 않으면서 참혹한 아수라의 현장을 독자 스스로 실감하게 만들어 내고 있다. 악령들이 한바탕 놀고 간 뒤에 하얀 국화송이가 쌓인다는 표현하나로 충분하다. 함축성과 상징성을 잘 살려낸 표현이다.
이 작품 역시 3.4.3.4, 3.4.3.4, 3.5.4.3의 반듯한 형식과 장의 독립성 연결성 완결성이 전혀 흐트러짐이 없어 단정한 여인의 향기가 난다.

이중섭이 그렸을까 피카소가 칠했을까
온몸을 감아 도는 황갈색 호랑무늬
고추뿔 불끈 세우고 콧김 휙휙 뿜는다.

꾸짖듯 쏘아본다 이글대며 타는 눈빛
먼지 낀 세상 향해 한 달음에 치받을 듯
단숨에 박차고 나갈 땅을 박박 고른다.
「칡소」

한국의 근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를 꼽으라면 이중섭 화가를 떠 올릴 것이다. 이 작품을 읽다 보면 ‘칡소’가 달려들 것 같은 생동감을 느낀다. 첫수 종장이 아주 절창이다,
둘째 수는 독자에게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중장에 “먼지 낀 세상”이라는 비유를 통하여 화자는 불의한 세상을 질타하고 있다. 이중섭 화가 자신도 이 ‘칡소’처럼 일정日政에 항거하는 마음이 늘 불타고 있었기에 불후의 대작이 나왔을 것이다.
종장에 “단숨에 박차고 나갈 땅을 박박 고른다.”라는 표현 역시 절창이다. 그림을 보지 않더라도 울분을 토하는 황소가 불의의 세상을 치받을 듯한 모습이 너무나 생생하게 다가온다. 상징성과 비장미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상 몇 작품을 골라 예로 들긴 하였지만 이번에 발표되는 작품 전체가 예문의 매력을 벗어나지 않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 있다. 한 마디로 시조의 <전형典型>이라 하겠다.
독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리라는 확신을 갖는다. 앞으로도 더욱 좋은 작품을 생산해서 독자들에게 행복을 선물하는 사랑의 전도사기 되길 바라며 그들의 기억 속에 아름다운 시인의 모습으로 각인되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다시 한번 시조집 상재를 축하드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