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지은이)
창해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121501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2-26

책 소개

서울 한양의 문화유산을 대표하는 조선궁궐과 조선왕릉에 관한 역사, 문화, 건축, 과학, 의례, 제도, 상징의 역사콘텐츠, 교육콘텐츠, 답사콘텐츠를 현장감 있게 풀어놓은 궁궐과 왕릉 길라잡이 안내서이다.

목차

머리말 :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 오정윤

1 왕, 궁궐의 하루를 기록하다 - 최경화
1. 왕의 어원
2. 왕의 역할, 권한, 왕에게는 어떤 특권이 있을까
3. 왕의 탄생부터 세자 시기
4. 군주의 하루 일상, 조회로 시작하다
5. 왕이 참석하는 특별한 행사
6. 왕의 여가 생활은 어떻게 했을까
7. 전국의 음식으로 임금님의 몸을 다스린 밥상, 수랏상

2 왕비, 궁궐의 살림을 책임지다 - 홍수례
1. 왕비를 뜻하는 한자
2. 군주의 여성어른과 부인에 대한 호칭
3. 왕비(왕후)의 위상
4. 권력이 만든 왕비의 등급
5. 조선시대 내명부
6. 왕비가 되는 통로
7. 왕비의 공식지위와 업무
8. 가관친영례(假館親迎禮)와 사림이념(士林理念)
9. 가능성과 현실성의 거리, 간택
10. 왕비, 궁궐의 살림을 엿보다

3 왕자와 공주, 자율과 타율로 살다 - 신승자
1. 호칭은 어떻게 정해질까?
2. 귀한 자손의 ‘태’는 귀한 대접을 받는다
3. 한 가지에서 나지만 서로 다른 운명을 살다
4. 왕이 되지 못한 왕자는 어떻게 살까?
5. 공주에서 관비로, 다시 비구니로…
6. 공주들은 혼인하면 사가로 출궁한다
7. 조선엔 여자의 이름은 없었다
8. 인생의 교훈을 주다.

4 궁녀, 궁궐에서 여성 전문직을 만나다 - 박연주
1. 궁녀의 유래와 범위
2. 궁녀들의 선발
3. 궁녀의 생활과 여가시간
4. 궁녀의 말년과 죽음
5. 마무리

5 내시, 왕의 그림자로 살다 - 주정자
1. 환관, 그의 탄생에 대하여
2. 내시, 가문의 탄생과 소멸
3. 환관의 존재와 하는 일
4. 역사 속의 환관과 내시들
5. 내시, 현재 남아 있는 환관의 흔적들은?

6 용, 궁궐의 존엄을 상징하다 - 조태희
1. 용의 어원(語源)
2. 용경(龍經), 용에 대해 모든 것을 말하다
3. 용의 아들, 용생구자(龍生九子)
4. 군왕과 용(龍)
5. 궁궐에서 만나는 용(龍)

7 잡상, 궁궐의 모든 곳을 지키다 - 안두옥
1. 잡상(雜像)의 어원
2. 기록상의 잡상(雜像)
3. 추녀마루의 구조와 명칭
4. 추녀마루 잡상의 역할
5. 전통시대 벽사의 상징물
6. 중국 건축물의 추녀마루 잡상
7. 중국 잡상의 명칭과 역할
8. 상와도(像瓦圖)의 잡상
9. 《한국화 도록》의 잡상과 명칭2
10. 잡상, 궁궐의 모든 곳을 지키다

8 궁궐, 《주역》의 원리가 펼쳐지다 - 김은영
1 《주역(周易)》과 건축
2 《주역》의 핵심 내용과 경복궁
3.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강녕전에 구현된 상생과 상극의 원리
4. 경복궁에 담긴 《주역》의 원리
5. 건축 조영 사상으로서의 《주역》, 그리고 경복궁

9 왕의 오례, 유교의 이상을 실천하다 - 조정옥
1. 예(禮)란 무엇인가?
2. 조선궁중에서 오례의 정치 문화적 의미는?
3. 오례와 관련된 문헌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4. 오례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5. 궁궐에서 만나는 오례
6. 오례의를 마치며…

10 품계훈작, 관리의 이력서를 들여보다 - 전수진
1. 관(官)과 이(吏)
2. 품계훈작
3. 궁궐의 품계석
4. 맺음말

11 정전, 하늘의 법칙을 실현하다 - 장경실
1. 법궁과 정궁, 천명과 통치의 중심을 세우다
2. 정전, 국정의 중심을 세우다
3. 근정전, 예제의 미학을 읽다
4. 조회, 조정에 들다

12 한성부, 조선의 심장부를 걷다 - 우덕희
1. 들어가는 말
2. 한성부의 형성배경
3. 공간적 특징
4. 한성부의 소프트웨어(software)
5. 맺는말

13 왕의 호칭, 동아시아 군주를 정의하다 - 김지혜
1. 나라의 정통성과 예치의 근본, 국왕의 이름에 숨겨진 비밀
2. 왕의 이름, 아명(兒名) · 휘(諱) · 자(字) · 호(號)
3. 왕이 받는 책봉 명칭들, 봉작명 · 책봉명(冊封名)
4. 살아 있을 때 가장 중요한 이름, 존호
5. 하늘을 대신하는 왕의 호칭, 연호
6. 이름으로 일생을 심판하다, 시호
7. 왕의 혼령과 시신을 모신 장소를 부르는 호칭, 능호(陵號) · 묘호(廟號) · 전호(殿號)
8. 맺음말

14 왕릉, 왕과 왕비가 잠들다 - 김향란
1. 왕의 죽음
2. 산릉도감 설치
3. 국장
4. 능호
5. 왕릉의 조성, 풍수
6. 왕릉의 구조
7. 왕릉의 나무
8. 왕릉 숲의 가치

15 종묘, 사후의 세계를 거닐다 - 권혜숙
1. 종묘의 역사
2. 종묘의 입지
3. 종묘의 신위 배치
4. 종묘의 건축(정전, 영녕전, 공신당, 칠사당)
5. 대한제국의 종묘
6. 맺음말

16 옥새, 권력과 권위를 새기다 - 박양희
1. 옥새와 국새, 옥새의 개념
2. 옥새의 기원
3. 옥새의 상징성
4. 옥새의 용도와 기능
5. 옥새의 종류
6. 옥새의 제작
7. 우리나라 국새의 역사적인 흐름

저자소개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은 역사인문 평생교육기관으로 청소년 역사강좌, 한국사 인문강좌, 궁궐과 박물관 전문해설사 양성과정, 국내외 교육답사, 궁궐답사, 박물관교육, 전통놀이 지도사 양성 교육, 역사인문 저술교실 등을 운영하고, 유튜브 채널인 궁궐박물관 TV, 미래학교 TV, 그리고 한국역사인문교육원 TV를 개설 중이며,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는 저술교실의 두 번째 작품입니다. 홈페이지 : cafe.naver.com/0222779181 네이버밴드 :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전자우편 : miraeschool@naver.com 유튜브 채널 : 궁궐박물관 TV
펼치기

책속에서



왕의 하루는 파루와 함께 시작되었다. 파루는 왕이 하늘을 대신해 조선의 백성들에게 새벽을 알리는 소리였다. 새벽 4시경에 33번의 파루를 울렸다. 왕도 백성들에게 모범을 보이기 위해 파루에 일어나야 했다. 왕은 파루에 일어나 기본적으로 웃어른에게 문안 인사를 올려야 했다. 바빠서 직접 인사를 할 수 없을 때는 내시를 대신 보냈다. 다음에는 경연에 참석하여 신료들과 경전을 토론하고 현안 문제를 토론하기도 했다. 경연이 끝나면 아침 식사를 하고 조회를 했다. 조회는 매월 5일, 11일, 21일, 25일 조정에서 문무백관이 모두 참여하여 왕을 알현하는 조참과 매일매일 신료들이 편전에서 임금을 알현하는 의식인 상참으로 구성되었다.
-<왕, 궁궐의 하루를 기록하다> 중에서


왕비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무엇보다도 차기의 군주를 생산하는 일이었다. 처첩(妻妾) 과 반상(班常)의 신분적 차별이 존재하는 사대부 사회에서 군주의 후계자가 적자(適者) 인지 서자(庶子) 인지 여부는 왕권과 신권(臣權)의 대립 구조를 그대로 보여주는 요소였다. 따라서 왕비의 적장자 생산은 왕권의 정통성 수립에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왕비, 궁궐의 살림을 책임지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1215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