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9129016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9-0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세상 모든 의료진에게는 저마다 가슴에 묻어둔 이야기가 있다 • 4
PART 1
강병철 흐느끼는 다운증후군 아기 산모 앞에서 난 한마디도 하지 못했다 • 14
곽문환 “곧 가실 텐데 왜 살리세요?” 그 가족 건너편에는 아버지의 죽음을 믿지 못하는 아들이…, • 19
안정신 삶의 믿음 준 신참 의사에게 노인이 보내온 갓 캔 ‘감자 한 박스’ • 23
오연택 코로나 격리병동 노인의 쓸쓸한 죽음, 사망 후 통보된 ‘음성’ 판정 • 27
이낙준 “딸 결혼식만 마치고 수술 받을게요.” 나는 왜 그를 말리지 못했을까? • 31
한언철 순서 기다리던 응급환자의 갑작스러운 사망, 다 내 탓처럼 느껴졌다 • 36
정재화 병원비 없어 치료 못 받던 15세 소년, 의사와 간호사들은 기꺼이 피를 뽑았다 • 41
이효근 물난리 통에서도 꺼내온 약봉지, 할머니에겐 그 약이 전부였다 • 46
PART 2
김종필 “남편은 한센병 환자입니다.” 죽음 앞둔 아내가 눈물로 쓴 편지 • 52
김경중 코로나 검사받던 노인은 욕설을 쏟아냈고, 난 폭발하고 말았다 • 57
문윤수 뼈와 살이 으스러진 외상, 마음속 사망진단서 썼던 그가 살아왔다 • 62
임재만 ‘어떻게 살렸는데, 절대 못 보내.’ 구급대원들 마음의 소리 • 67
김결희 얼굴재건수술 받은 나이지리아 소녀의 첫마디 “저 이제 결혼할 수 있어요.” • 72
윤혁 아들 이어 딸도 같은 난치병 진단, 어머니 심정은 오죽했을까? • 77
박창범 “이 도둑놈아!” 약값을 확인한 노인은 의사를 향해 고함쳤다 • 82
양은주 의사도 환자에게 배운다, 씩씩한 그 환자는 깜짝 놀랄 재활법을 혼자서 찾아냈다 • 87
PART 3
김영웅 총상 소년, 화상 소녀…, 아프리카 아이들은 울지 않는다 • 94
권해진 봄 되면 같이 오겠다던 70대 노부부, 하지만…, 아내 혼자였다 • 99
양성관 간경화 말기 완월동 그녀, 술만이 유일한 위안이었던가 • 104
신재현 그의 저장강박증 뒤엔 친구 잃은 대구지하철 참사의 아픔이…, • 109
노경한 외할머니의 고통을 놓친 ‘주치의’ 손주는 펑펑 울었다 • 114
양창모 낙태를 거부한 그가 마지막 힘을 다해 쓴 두 글자는 ‘아기’였다 • 119
여한솔 심장마사지로 살려낸 트럭운전사, 두 다리 잃었지만 • 124
이동환 두 달을 버티던 전신화상 청년이 떠나던 날, 우리는 함께 울었다 • 129
PART 4
남궁인 다리 절단하는데 평온하던 치매노인…, 모든 것은 소멸한다 • 136
이상현 30년 전 편지가 준 울림, 의사는 손부터 잡아주는 사람 • 141
오승원 “급성백혈병 왜 빨리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원망 섞인 질문에 마음이 무거워졌다 • 146
안형준 손목 잃은 이주노동자 나비드는 언제쯤 ‘코리안 드림’을 이룰 수 있을까 • 151
강현석 암 재발 후 살았지만 다 잃고 노숙자 생활, 치료가 늘 최선일까? • 156
김기준 산모가 준 뜻밖의 선물, 그날 나는 다시 시인이 됐다 • 161
최상태 긴 병에 효자 없다지만, 루푸스 환자 아내와 딸은 10년을 한결같았다 • 166
PART 5T 5
장석창 만남, 그리고 운명 • 172
홍문기 수술 거부했던 말기암 노인은 고통 속에서도 행복해 보였다 • 177
허윤정 친구의 추락사, 지금 같은 외상센터가 있었다면 • 182
오흥권 사라진 외과 중환자, 알고 보니 특실에… 의료진도 ‘부담’스럽다 • 187
김경화 장애 얻고 20년, 말기암까지 마지막 평온을 준 호스피스 • 192
박지욱 북녘 외동딸 상봉 끝내 무산, 깊은 상실감 속에 어르신은 눈을 감았다 • 197
이수영 할머니 배 속 암덩어리, ‘세 아들 뭐했나’ 원망했지만 • 202
허대석 “산모와 태아 누구를 먼저…,” 임신 암환자 치료는 언제나 고통스런 선택 • 207
정문기 “의사면 다냐?” 망자의 아들은 욕설을 퍼부었다 • 212
PART 6
심소현 ‘심폐소생은 보호자 욕심’이라 여겼지만, 엄마를 이대로 보낼 순 없었다 • 218
좌승주 할머니는 요양원 학대 피해자였다, 난 왜 그걸 눈치채지 못했을까 • 223
김정환 “산타 선물 뭐 받고 싶어?” “엄마가 울지 않는 거요.” • 228
이윤경 코로나 봉쇄 속 손목 골절 아이 위한 ‘특별치료 작전’ • 232
송태준 폐렴으로 죽을 뻔했던 아들, 아버지에 간 이식할 사람은 아들뿐이었지만…, • 236
최연호 겁에 질린 엄마 “혹시 난치병인가요?” 검색이 낳은 ‘두려움병’ • 240
백종우 유명연예인의 극단적 선택, ‘베르테르 효과’로 그 우울증 환자는 끝내…, • 245
PART 7
전영훈 “배… 고… 파….” 의식불명 다섯 살 꼬마는 힘겨운 사투를 이겨냈다 • 252
서원준 ‘수술을 말렸어야 했는데,’ 환자 배 속에 들러붙은 장을 보는 순간 후회가 밀려왔다 • 257
부경아 “완전 벌레 취급하네.” 코로나 격리병동 입원 첫날, 그는 화부터 냈다 • 262
이지훈 감당 안 되는 약값, 질환 진단 잘 하는 의사만으론 역부족입니다 • 267
홍영한 “막내 결혼만은 꼭 보고…,” 6개월 시한부 엄마는 그 꿈으로 6년을 버텨냈다 • 272
김현철 ‘죽음조차 불평등한 세상’ 나는 의사 가운을 벗고 경제학자가 되었다 • 276
최성철 같은 사람을 두 번이나 심폐소생으로 살려내다 • 28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의료진 여럿이 붙어 다급하게 움직이던 그때였다. 환자와 함께 구급차를 타고 온 아들이 노발대발 화를 내기 시작했다. ‘돌아가실 분한테 뭐 하는 짓이냐’는 것이었다. 아들은 아버지 침대 옆에 붙어 두 팔을 가로저으며 의료진이 다가오지 못하도록 막아섰다.
모든 환자는 살기 위해 응급실에 온다. 그리고 의사들은 그들을 살리기 위해 밤을 지새며 응급실을 지킨다. 죽어가는 사람을 눈앞에 두고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 당시 나는 혈기왕성한 응급실 전공의였다. 환자 곁에 다가오지도 못하게 하는 보호자 태도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의사 양반, 그럼 내가 살아서 고향에 갈 수 있것소?”
난 여기서 잠깐 고민했다. 암 수술 후 장이 회복되지 않고 컨디션이 좋지 않아 한 달째 중환자실에 있는 분이지 않은가. 이런 분한테 신참 전공의가 경과가 좋다고 말씀드리기에는 마음에 걸리는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질문하는 할아버지의 눈빛이 간절함으로 흔들리는 걸 확인하는 순간 나는 생각했다. 그래, 지금 이 할아버지께 필요한 것은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구나!
“할아버지, 걱정 마세요. 살아서 갈 수 있어요, 꼭 건강하게 퇴원할 수 있을 거예요.”
코로나 격리병동이란 그런 곳이다. 이곳엔 도덕도, 상식도, 규범도 없다. 단 하나, 괴물 같은 코로나를 막기 위한 차디찬 의학 규칙만 존재한다. 환자는 양팔과 가슴에 수액 줄을 주렁주렁 매단 채, 홀로 떠났다. 마지막 순간 누구도 곁에 머물 수 없었다. 영혼 없이 돌아가는 기계장치와 방호복을 입은 의료진만 환자 옆에 있었을 뿐이다. 평생을 함께한 가족들이 있었건만 따뜻한 배웅도, 이별다운 이별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정작 이 빌어먹을 코로나는 모든 게 다 끝나고서야 ‘최종 음성’이란 검사결과만 달랑 띄우고, 줄행랑을 쳤다. 이 잔혹하고도 허탈한 상황에 미칠 것만 같았다. 코로나는 이렇게 우리 모두를 조롱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