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9132860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8-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부동산 지금 괜찮을까? 목돈 없으면 투자 못 할까?
[1장] 윤석열 새 정부 출범! 부동산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01> 윤석열 정부 출범에 따른 부동산 투자 방향성은?
1 | 공급 정책
2 | 재개발·재건축 리모델링 활성화
3 | 1기 신도시 재정비
4 | 저층 단독·다가구 주택 정비 활성화
5 | 주택임대시장 정상화 및 민간 임대주택 활성화
6 | 부동산 세제 정상화
7 | 주택 대출 규제 완화
8 | 외국인 투기성 주택 거래 규제
9 | 교통 호재
10 | 고가 및 저가 시장에서 중위가 시장으로
<02> 무주택자는 정부를 믿고 무작정 기다려야 할까?
<03> 1주택자의 현명한 투자 방법은 무엇일까?
<04> 다주택자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05> 부동산 하락장은 언제 올까?
<06> 한국의 집값은 전 세계와 비교했을 때 싼가, 비싼가?
[2장] 차트로 보는 공급에 따른 매매지수와 전세지수 그리고 시크릿 상승 조건
<01> 전국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급에 따른 매매지수와 전세지수 동향
1 | 전국적인 추세
2 | 강원도
3 | 경기도
4 | 경상남도
5 | 경상북도
6 | 광주광역시
7 | 대구광역시
8 | 대전광역시
9 | 부산광역시
10 | 서울특별시
11 | 세종특별자치시
12 | 울산광역시
13 | 인천광역시
14 | 전라남도
15 | 전라북도
16 | 제주특별자치도
17 | 충청남도
18 | 충청북도
<02> 빅데이터 차트로 보는 매매지수가 오를 수 있는 시크릿 조건
1 | 서울특별시
2 | 경기도, 인천광역시
3 | 경상남도 창원시
4 | 전라북도 전주시
5 |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6 |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7 | 부산광역시
8 | 경상북도 포항시
<03> 앞으로 3년, 수급과 매매·전세 차트가 말해주는 미래 투자 유망 지역
[3장] 부동산 투자, 매수 타이밍은 어떻게 잡을까?
<01> 심리와 거래량으로 보는 투자 타이밍
<02> 추세 추종 vs. 가치투자? 내 전략에 따른 선택
<03> 매수우위지수
1 | 전국
2 | 서울
3 | 강북
4 | 강남
5 | 경기도
6 | 인천광역시
7 | 기타 지방
8 | 충청북도
9 | 충청남도
10 | 전라북도
11 | 전라남도
12 | 경상북도
13 | 경상남도
14 | 강원도
15 | 제주시
16 | 부산광역시
17 | 대구광역시
18 | 광주광역시
19 | 대전광역시
20 | 세종특별자치시
21 | 울산광역시
[4장] 부동산 투자, 매도 타이밍은 어떻게 잡을까?
<01> 전세지수 대비 매매지수의 과도한 상승을 잡아내라
<02> 상승 여력 차트
1 | 강원도 원주시
2 | 경기도
3 | 경상남도
4 | 경상북도
5 | 대구광역시
6 | 대전광역시
7 | 서울특별시
8 | 인천광역시
9 | 충청남도
10 | 충청북도 청주시
11 | 전라북도 전주시
12 | 공급과 같이 보는 상승 여력 차트 분석
+Bonus 1 전세가의 힘
+Bouns 2 전세수급지수
[5장]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아파트 투자 판단 기준
<01> 매매지수와 전세지수 패턴을 살펴보자
<02> PIR로 찾아내는 아파트 저평가 구간
<03> 입지 갭 투자를 통한 아파트 선택
<04> 평수 갭 투자를 통한 면적 선택
<05> 초품아와 좋은 자연환경은 프리미엄을 받는다
1 | 자연환경
2 | 학군과 교통까지 좋으면 불패
<06> 입주장 급매를 노려라
<07> 백화점이 있어야 배우자를 설득할 수 있다
[6장] 리스크 관리와 세금 전략
<01> 일부러 공실을 만든다고?
<02> 아파트 같은 오피스텔은 투자 메리트가 있을까?
<03> 가성비 좋은 민간 임대아파트에 투자할 수 있다고?
<04> 현금흐름과 시세 차익을 동시에, 생활형 숙박 시설
<05> 세금 쿨하게 내고, 마일리지로 퍼스트 타고 해외여행 가자
에필로그 - 누구나 할 수 있는 부동산 빅데이터 투자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윤 정부는 부동산의 정상화라는 명목하에 많은 규제를 완화하려 한다. 그동안 현금 부자와 효율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움직였다면, 이제는 대출 완화와 세제 정상화 정책으로 실거주자들과 투자자들이 움직일 차례가 되었다. 현금 부자들은 고가 시장에, 투자자들은 저가 틈새시장에 머물렀다면, 그동안 발이 묶여 있었던 중위가 주택이 움직일 것이다.
이제 모든 지역이 오르는 시기는 지났다. 각자도생에 접어든 시점이니만큼, 철저하게 분석하고 앞으로 3년 동안 공급이 없는 지역을 선별해서 투자해야 한다. 이번 장에서 살펴본 많은 지역 중에서 어느 지역이 가장 매력적인가? 어느 지역이 공급이 많이 없어서 마음 편히 투자할 수 있을까? 정답은 차트에 있다.
앞으로 3년, 미래 투자 유망 지역은 이미 답이 다 나왔으니, 3번 조건인 수요와 공급으로 먼저 걸러보자. 수요는 인구수 규모가 큰 도시, 중소도시 중에서는 인구수가 늘어나는 지역을 선정한다. 인구수의 증가는 곧 일자리의 증가를 나타내고, 정비 현황이 활발한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수요가 큰 도시 중에서 앞으로 공급 감소 추세에 있는 지역을 선정한다. 그리고 위에서 살펴본 1번 조건과 2번 조건이 발생한 지역을 살펴보자. 확률 높은 투자 방법의 패턴을 눈으로 익혀 반드시 나만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