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1334357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1-11-23
책 소개
목차
서문 한자는 생각하게 하는 언어다
ㄱ
가죽 / 감사 / 감정 / 거래 / 건망증 / 건축 / 결혼 / 고객 / 고기 / 고집불통 /
관심, 관찰, 관계 / 구적불거 신적불래 / 궁리 /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
그릇, 솥, 절구 / 기적 / 기획
ㄴ
나무 / 능력
ㄷ
대비되는 말 / 도모 / 도태 / 돈 / 동네 이름 / 동맥과 정맥 / 동물 / 듣는 것
ㅁ
맛 / 머리 / 몸 / 무기 / 무사안일 / 문과 무 / 민첩
ㅂ
바쁘다 / 발 / 발췌 / 밥, 죽, 미음 / 벼 / 병 / 보는 것 / 불우
ㅅ
사돈 / 사람 / 새 / 설교 / 소금 / 손 / 손톱 / 쇄신 / 수레 / 수정 / 순서 / 술 / 식별 / 실 / 심보 / 쌀
ㅇ
약속 / 양서류와 파충류 / 양, 질, 격 / 여론 / 여자 / 열정 / 옷 / 왕, 신하, 백성 /
운명 / 위인 / 유혹 / 의지 / 이기다 / 이해와 소유 / 인연
ㅈ ㅊ
자기 / 자리이타와 이타자리 / 재색명리 / 절차탁마 / 정리와 정돈 / 제사와 무당 / 좌우 /집 / 체덕지 / 축열과 방열 / 침과 하품
ㅌ ㅍ ㅎ
통쾌 / 폐쇄 / 표리부동 / 풀 / 피로연 / 학문 / 호흡 / 후적박발 / 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녀가 만난 사람 중 메가스터디를 만든 손주은 회장 얘기가 흥미롭다. 공부에 대한 내 생각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그의 말이다. “공부는 개념입니다.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채 무언가를 외우는 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런데 개념은 용어 안에 있고 용어의 70퍼센트는 한자로 돼 있습니다. 한자를 알아야 개념을 알 수 있고 개념을 알아야 공부를 잘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공부를 잘하려면 한자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데 문제는 요즘 사람들은 한자를 모른다는 것이다. 보통 문제가 아니다.
근심이란 무엇일까? 근심과 관련한 한자 몇 개를 소개한다. 우선 우려憂慮가 있다. 근심 우憂는 머리 혈頁+마음 심心+천천히 걸을 쇠夊다. 머리와 가슴속 근심으로 천천히 걷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 같다. 걱정할 때 고개를 떨구고 왔다 갔다 하는 사람이 그려진다. 염려할 려慮는 호랑이 호虎+생각 사思다. 무서운 호랑이 생각에 걱정된다는 말이다. 참고로 우憂에 사람 인亻변이 붙으면 우수할 우優가 된다. 미리미리 근심하고 준비하면 우수優秀해진다는 뜻이 아닐까? 반대로 넋을 놓고 미리 근심하지 않으면 나중에 된통 당하지 않을까? 특히 리더일수록 걱정이 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음은 우환憂患이 있다고 할 때의 근심 환患이다. 꿸 관串+마음 심心이다. 마음을 꿰고 있는 근심이다. 비슷한 글자로 수심愁心이 가득하다 할 때의 근심 수愁도 있다. 가을 추秋+마음 심心이다. 가을이 오면 겨울 준비로 근심이 가득하다는 의미다. 마지막은 번뇌煩惱 할 때의 괴로울 뇌惱다. 마음 심忄+내 천川+정수리 신囟이다. 뇌에 끊임없이 물이 흐른다는 뜻이다. 고민거리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는 의미다.
능력能力이란 무엇일까? 내가 생각하는 능력은 견디는 힘이다. 꾸준함이다. 하기 싫지만 더 큰 목적을 위해 참고 견디는 힘이 능력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역시 우수함은 꾸준함이라고 했다. 꾸준한 사람이 우수하고 하다 말다를 반복하는 사람이 열등하다는 것이다.
능력이란 곰처럼 힘들어도 목적을 위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단군신화를 보면 곰은 쑥과 마늘을 먹으며 백 일을 견뎌 인간이 됐지만 호랑이는 견디지 못해 인간이 되는 데 실패했다. 그런데 곰을 뜻하는 웅熊이란 한자에 능能이 들어 있다. 뭔가 상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또 영어로 곰은 베어bear인데 이 단어에도 ‘견디다’란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