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수학/과학 교육
· ISBN : 979119134300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3-0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멀지만 확실한 길 가르치는 대신 묻고 기다려라
[추천 글] 기나긴 수학적 실험이 맺은 결실
조기 교육 대신 인성 교육
-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길은 의지와 노력에 있다
- 사랑하기 때문에 온실 밖에서 강하게 길렀다
[실천 정보] 자립심 강한 아이로 기르려면 부모부터 두려움을 극복하라
- 실패도 힘이 된다
[실천 정보] 실패를 통해 배우는 아이, 부모에 달렸다
- 여자라서 못 하는 건 없다
- 호랑이 아빠의 늦둥이 외동딸 키우기
- 아이와 대화하는 데도 전략이 필요하다
[실천 정보] 계획을 세워 접근하면 아이와 대화가 쉬워진다
습관과 태도가 불러오는 큰 차이
- 아이의 저력은 집중력과 끈기에서 나온다
[실천 정보] 집중력 없는 아이, 부모를 돌아보자
- 내가 선택한 유아 교육법, 신나게 놀고 또 놀기!
- 초등 1학년 때 잡아 준 생활 습관, MIT 가는 밑거름
[실천 정보]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생활 습관부터 고쳐 주자
- 특별활동에서만큼은 극성 아빠였다
- 배우려는 욕구가 넘치는 아이로 키우는 나만의 비법
- 아이를 둘러싼 세상이 가장 좋은 학습 교재
[실천 정보] 아이의 직접경험, 의미 있게 만드는 법
- 표현하지 않는 생각은 생각이 아니다
[실천 정보] 아이의 표현력, 훈련하는 만큼 나아진다
수학적 사고력만이 수학 잘하는 길
- 스스로 생각할 줄 아는 아이라면 수학과 친해질 수 있다
[실천 정보] 스스로 생각하는 아이로 키우는 질문의 기술
- 수학 교수 아빠가 고른 최고의 장난감
[실천 정보] 장난감, 교육 효과 더 높이기
- 수 세기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익힌다
[실천 정보] 일상에서 수 세기 배우기
- 측정 도구는 수 개념 키워 주는 요술 방망이
[실천 정보] 일상에서 측정 배우기
- 시계 보는 법, 안 가르쳐야 성공한다
[실천 정보] 스스로 시계 보는 법 깨치기 5단계
- 시행착오 많이 해야 보존 개념도 빨리 깨닫는다
[실천 정보] 일상에서 보존 개념 배우기
- 덧셈과 뺄셈, 절대 가르치지 마라
[실천 정보] 놀이처럼 재미있게 덧셈 뺄셈 배우기
- 곱셈과 나눗셈, 아이들은 이미 할 수 있다
[실천 정보] 구체적 조작을 통해 곱셈과 나눗셈 경험하기
- 분수 개념은 일찍 경험할수록 좋다
[실천 정보] 일상에서 분수 배우기
- 13과 14 사이의 수는?
[실천 정보] 소수 개념, 유아기에는 어느 정도 가르칠까?
- 큰 수 읽기는 주변에 숨은 숫자가 교재
- 공감 감각은 놀이과 경험으로 키워라
[실천 정보] 일상에서 공간 감각 배우기
- 유행하는 수학 교육법, 그 진실과 거짓
- 수학 잘하려면 예습보다 복습을 해라
- 마지막에 웃는 사람이 되기 위하여
[부록] 수학 영재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열 가지
[부록] 한눈에 보는 연령별 수학적 환경 만들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이 대신 숙제를 해 주거나 준비물을 들고 학교로 달려가는 일을 하지 않는다면? 엄마 아빠가 아닌 아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게 한다면? 아이의 생활 습관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더 이상 믿을 구석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의 생활 습관이 성실하지 못하다고 야단치지 말자. 알고 보면 부모가 아이의 뒤를 봐주기 때문이다.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져야 한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가르쳐 놓으면 잔소리하지 않아도 자기 할 일은 자기가 알아서 한다.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생활 습관부터 고쳐 주자〉
아이들은 싫증을 잘 내고 호기심이 많은 게 사실이지만, 지나치게 다양한 교구 앞에서는 오히려 혼란과 불안감을 느낀다. 장난감의 개수든 선택의 폭이든 아이들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로 제한해야 더 효과적이다.
〈수학 교수 아빠가 고른 최고의 장난감〉
시행착오의 경험이 많을수록 보존 개념도 빨리 깨친다. 만일 이런 시행착오의 기회를 아예 주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기회를 주었더라도 “아유, 너 바보 아니니? 어떻게 이걸 몰라!” 하고 핀잔을 주거나 야단을 쳤다면 어땠을까? 언젠가는 보존 개념을 깨치기는 했을 것이다. 하지만 시행착오의 기회를 주고 오래 기다려 줬을 때보다 빨리 깨치지는 못했을 것이다. ‘자극은 되도록 일찍부터 주어라. 단, 서두르지 마라. 가르치거나 야단치는 대신 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어라.’ 내가 앞에서 누누이 강조했던 이 원칙은 보존 개념 깨치기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시행착오 많이 해야 보존 개념도 빨리 깨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