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SH, 미래 서울을 논하다

SH, 미래 서울을 논하다

(포스트코로나시대 도시관리의 기술혁신과 시민 참여)

염재호, 임승빈, 김용창, 김선영, 김해창, 박지영, 신혜진, 양동우, 이동희, 이상호, 조영임, 한동호, 홍선기 (지은이)
윤성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SH, 미래 서울을 논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SH, 미래 서울을 논하다 (포스트코로나시대 도시관리의 기술혁신과 시민 참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18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8-27

책 소개

이 책은 서울도시주택공사(SH공사)에서 출범한 SH미래도시포럼을 통해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서울을 모델로 해서 한국형 도시 모델의 미래 발전 방안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책이다. 다양한 집단지성의 아이디어들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서울의 지나온 발전 경로 특성·····················19

1. 들어가며 / 19

2. 도시화와 인구 변동 / 20

3. 토지·주택 개발과 집중 / 23

1) 토지 개발과 공급 / 23

2) 주거환경과 주택 소유 / 27

4. 서울 도시 공간구조와 산업구조 변화 / 29

1) 공간구조와 중심지 체계 / 29

2) 중심지와 도시의 산업구조 변화 / 32

5. 지역불균등 발전과 투기적 도시화의 성찰 / 36



제1부 미래의 도시: 스마트시티의 진화· ·······················43

제1장 미래도시의 퍼스트 원마일과 라스트 원마일······················45

1. 새로운 문명 그리고 가본 적 없는 길 / 45

1) 문명 전환의 방아쇠: 기술 / 45

2) 데이터의 도시 / 47

2.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산업 / 48

1) 전통 산업에서 스마트 산업으로 / 48

2) 인테리어, 익스테리어에서 인포테리어로 / 50

3. 미래도시의 입지, 시설, 배치, 모양 / 51

1) 역사와 미래: 입지, 시설 / 51

2) 역사와 미래: 배치, 모양 / 52

4. 스마트 리전 / 53

1) 도시의 위기 / 53

2) 위기를 기회로, 스마트 리전 / 54

5. 미래의 도시에서 도시의 미래로: 기술에서 철학으로 / 56

1) 사람, 미래도시의 퍼스트 원 마일 / 56

2) 도시의 미래로 라스트 원 마일, 균형 / 57

제2장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서비스· ··················59

1. 디지털 생태계 구축 필요성 / 59

2. 디지털 도시화 현상 / 60

1) COVID-19의 대유행으로 인한 도시 변화 / 60

2) 디지털 중심도시로의 변화 요구 / 62

3) 데이터 허브에 필요한 데이터 형태 / 65

3. 인공지능의 발전과 도시 서비스 / 67

1) 인공지능의 의미 / 67

2) 인공지능의 핵심 / 71

3) 데이터 기반 글로벌 인공지능 수준 / 72

4)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따른 인공지능 서비스 생태계로의 확산 / 73

5) 공간 기반의 지능적인 스마트시티 / 75

6) 범용 인공지능으로 진화 / 78

4. 생태계 관점에서의 스마트시티 로드맵 / 80

1) 스마트시티 개발 모델 / 80

2) 스마트시티 기술생태계 / 82

5. 시사점 및 제언 / 84



제2부 일하는 도시: 창업생태계 형성· ························89

제1장 포스트 코로나와 창업·중소벤처 생태계 리셋· ···················91

1. 오늘의 한국 경제 / 91

1) 한국 경제의 정량적 현황 / 91

2) 실업률과 경제적 불평등 / 94

3) 한국 경제의 질적 특성 / 99

4)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 경제 / 100

2. 창업·중소벤처 생태계 / 105

1) 한국 창업·중소벤처 생태계의 현황 / 105

2) 한국 창업·중소벤처 생태계의 특성과 실태 / 108

3. 정책 방안 제안 / 114

1) 한국 창업·중소벤처 생태계 평가 / 114

2) 생태계 활성화 정책 제안 / 116

제2장 창업생태계 방향: 세대 통합 그리고 산학 통합전략의 적용· ··········120

1. 세대 통합 창업생태계 구축의 필요성 / 120

1) COVID-19로 미래에 대한 청년세대의 불안감 고조 / 120

2) 세대별 창업 역량 차이와 협력의 필요성 / 122

2. 국내·외 세대 통합 창업지원정책 사례 / 124

1) 국내 사례 / 124

2) 해외 사례 / 127

3. 기존 세대 통합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127

1) 국내 정책의 문제점 / 127

2) 정책 개선 방향 / 128

4. 뉴노멀 시대의 생태계 변화와 공간전략 / 130

제3장 스마트 제조혁신을 통한 도심인쇄산업 활성화· ··················133

1. 제조업의 혁신이 필요해진 오늘의 도시 / 133

2. 제조업 현황 / 135

1) 제조업의 위상 / 135

2) 제조업의 중요성 / 136

3) 주요국의 제조업 정책 / 137

4) 도심제조업의 중요성 / 141

3. 서울의 제조업 / 143

1) 서울의 제조업 현황 / 143

2) 문제점 / 150

4. 스마트 제조혁신 ‘스마트팩토리’ / 150

5. 도심제조업과 스마트 제조혁신 / 154

6. 인쇄산업 / 155

1) 인쇄산업과 스마트팩토리 / 155

2) 인쇄산업의 특징 / 155

3) 인쇄 공정 / 156

4) 인쇄산업의 현황 / 158

5) 퍼블로그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 / 160

7. 인쇄산업 스마트팩토리 도입(안) / 162



제3부 상생: 도시와 주변 지역 연계··························167

제1장 대도시와 지방의 협력 상생· ······························169

1. 들어가며 / 169

2. 대도시화되어 가는 인구 분포에서 분권형 국가의 지향점 / 171

1) 대도시화 추세 / 171

2) 우리나라 지역 발전 정책과 도시화의 특징 / 173

3. 인구의 대도시화로의 집중도 분석과 대안 모색 / 175

1) 기존 문헌 검토 / 175

2) 연구 설계 / 179

3) 연구 범위 / 180

4) 연구방법론 / 181

4. 우리나라의 대도시 집중도 분석 결과 및 소결 / 183

1) 50만 명 이상 도시 / 183

2) 100만 명 이상 도시집중도 분석 / 185

3) 집중도 비교 분석: 인구 100만 명 이상 / 188

4) 소결 / 192

5. 대도시 지방정부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조건 / 193

1) 지역 개발 정책의 방향 전환 / 193

2) 수직, 수평적 재정조성제도 활성화 / 197

3) 균형특별회계의 확대 필요성 / 197

4) 전 국토(육지+해양)의 활용 / 199

5) 지방자치법과 관련 개별법의 개정 / 199

제2장 식량·에너지 상생을 위한 실천 방안과 과제· ···················202

1. 기후 위기시대의 도래와 도농의 위기 / 202

2. 도시의 변천과 도농의 관계 / 204

1) 기후 변화와 도시 개념의 변천 / 204

2) 식량 자급 에너지 자립으로서 도농·지역 상생의 필요성 / 206

3. 식량·에너지 지역 상생의 실천 방안 / 208

1) 수도권 광역지자체 청사 구내식당의 국내산 급식 메카화 / 208

2) 수도권 식량 투자펀드 활성화 / 209

3) 도시농원·주말농원의 조성 적극 지원 / 210

4) 농촌일손돕기은행-귀농귀촌지원센터-빈집은행 운영 / 212

5) LOHAS(건강)상점가 조성 / 214

6) 시민건강대학 운영 / 214

7) 도농 비즈니스의 활성화 / 215

8) 도농인재은행·실버은행의 설립 운영 / 217

9) 그린전력 생산 시스템 구축 / 218

10) 영농형 태양광발전소의 보급 확대 / 219

4. 도농 지역 상생의 과제 / 220

1) 정부·지자체의 인식 전환 - 농촌그린뉴딜 절실 / 220

2) 농민·청년 기본소득제의 도입 등 도농 실질임금 격차 해소 절실 / 221

3) 농촌 의료·복지·문화시설의 대폭 확충 / 222

4) 식량 에너지 생산 지원, 농촌·농민을 위한 사회적 은행, 농촌지역재단 절실 / 223

제3장 도시(都市)와 도서(島嶼)의 상생 발전· ·························224

1. 들어가며 / 224

2. ‘섬의 날’ 제정과 섬 환경의 개선 / 225

3. 도서지역 생활 향상을 위한 도서정책 / 226

4. 도시와 도서의 상생 발전 대안 / 228

1) 여객선 공영제 / 228

2) 관광 패턴의 변형과 산업과 연계된 생태관광 / 230

5. 도시-도서 상생의 길: 쌍방형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안 / 231

1) 일본 사토야마(里山)-사토우미(里海) 활동 사례 / 231

2) 도시와 섬 지역의 전략적 통합 / 234

3) 기후 위기, 그린뉴딜과 도서지역 / 237

6.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도시-도서 상생 발전 전략 수립 및 국제적 리더십 확보 / 240

7. 글로벌 해양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의 증진 / 241

8. 기대 효과 / 242



제4부 세계적 도시: 시민 참여와 거버넌스· ····················245

제1장 참여도시를 위한 시민 참여형 도시 개발·관리 모델· ··············247

1. 도시 성장과 시민 참여 / 247

2. 4차 산업혁명과 불평등 / 250

1) 산업혁명과 한국의 압축 성장 / 250

2) 4차 산업혁명 발발과 도시 참여의 변화 / 251

3. 시민 참여 사례연구: 서울주택도시공사 시민주주단 / 256

1) 서울주택도시공사 시민주주단의 출범 배경 / 256

2) SH시민주주단 취지 / 258

3) SH시민주주단 인터뷰 분석 / 259

4) SH시민주주단 함의와 제언 / 264

4. 시민 참여형 거버넌스에 대한 전문가 의견 / 265

5. 미래 한국의 시민 참여형 도시 거버넌스에 대한 전망 / 269

제2장 한국형 도시 모델 수출 과정 속 거버넌스 체계· ··················270

1. 도시정책의 전달 / 270

2. 도시이론 고찰 / 272

1) 도시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 전달 방식 / 272

2) 거버넌스 중심의 접근 / 273

3. 도시정책 전달 사례 1: 센텀시티 / 277

1) 개요 / 277

2) 선도적 도시 모델의 예측과 도입 시도 / 278

3) 거버넌스 시스템 내에서 각각의 역할과 그 변화 / 279

4. 도시정책 전달 사례 2: 북항재개발 / 281

1) 개요 / 281

2) 거버넌스 시스템 내에서 각각의 역할과 그 변화 / 281

3) 적극적으로 일어난 정책 이동 / 284

5. 개발 사례를 통하여 얻은 것 / 285

6. 거버넌스의 역할 / 287

1) 거버넌스의 역할 및 활동 전략 / 287

2) 추진 로드맵(2022~2026년) / 289



나오는 말: 대안적 발전의 길·····························293

1. 들어가며 / 293

2. 글로벌 경제지정학 질서의 선도와 서울 / 294

3. 인지 자본주의의 선도와 서울 / 296

4. 맺음말 / 299

참고 문헌 / 301

찾아보기 / 307

저자소개

김해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좋은 삶을 고민하면서 우리 사회의 새로운 희망과 변화를 모색하는 ‘소셜 디자이너(Social Designer)’이자 환경경제학자(부산대 경제학 박사)이다. 국제신문 환경전문기자, (재)희망제작소 부소장을 거쳐 2011년부터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로 있다. (사)인본사회연구소 소장, 더30km포럼공동대표, (사)한국환경경제학회 이사, 한국에너지재단 비상임 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재난의 정치경제학 - 코로나시대 대안 찾기》, 《창조도시 부산, 소프트전략을 말한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 다시 읽기》, 《원자력발전의 사회적 비용》, 《신재생에너지의 이해》, 《기후변화와 도시의 대응》, 《저탄소 대안경제론》, 《저탄소경제학》,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서 배운다》, 《어메니티 눈으로 본 일본》, 《일본 저탄소사회로 달린다》, 《녹색전환》(공저), 《미래도시와 환경》(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공해의 역사를 말한다 - 전후일본공해사론》, 《안전신화의 붕괴 - 후쿠시마원전사고는 어떻게 일어났는가》, 《디자인이 지역을 바꾼다》, 《굿머니 – 착한돈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서 배운다》, 《어메니티 - 환경을 넘어서는 실천사상》 등이 있다.
펼치기
임승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임승빈은 일본 동경대학교 상관사회과학(학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종학위 논문은 “包括奉事形の政策執行”이다. 지역사회의 민간인 명예직 행정위촉위원들과 행정과의 상호의존적 네트워크를 통한 정책집행과정에 관한 논문이다. 이론적 틀은 N.루만의 사회체계론과 M.베버와 T.파슨즈의 구조기능주의적 이론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기본적으로는 지역사회와 행정과의 상호의존관계가 구조기능적만으로도 또는 현상주의적만으로도 해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일본의 경우는 권력의 순환과정과 권위의 순환과정이 메이지 유신 이후에 만들어진 국가제도주의 하에서 경제적 보상 관계가 아닌 사회적 보상 관계를 통하여 특수한 제도가 형성되었다는 경위를 밝힌 논문이다. 학위 이후에 그는 한국에 귀국하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국립순천대학교 등을 거쳐 지금의 명지대학교 행정학과에 근무 중이다. 그동안 주요 단독 저서로는 2003년 초판 발행 이후 2023년까지 16판을 거듭해온 “지방자치론(법문사)”, 5판 개정판까지 출간된 “정부와 NGO(대영문화사)”가 대표적이다.
펼치기
염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태재대학교 총장. 1955년 출생, 고려대학교 법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0년부터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제19대 총장을 역임했다. 2023년부터는 태재대학교 초대 총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직속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위원 등 다수의 정부 직책을 역임했으며, 현재 SK(주) 이사회 의장, 국립 대학 법인 서울대학교 이사, AI 전환고위협의회의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홍조근정훈장과 2019년 청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고등교육의 혁신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대학의 미래를 구상하는 데 평생을 바쳤고, 국내 최초의 AI 대학인 태재대학교를 설립, 현재 초대 총장으로서 고등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 저서로는 『개척하는 지성』, 『AI 시대 대학교육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토지주택정책, 도시지역정책, 법지리학과 경영지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세종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대통령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에 쓴 책으로는 <남대문시장>(2012), <토지정책론>(2015), <인현동>(2016)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미국 도시개발사업에서 사적이익을 위한 공용수용: 연방 및 주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2012), "신자유주의 도시 인클로저와 실존의 위기, 거주자원의 공유화"(2017)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선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히로시마대학교대학원에서 환경계획학으로 이학박사 취득. 세계생태학회(INTECOL) 상임이사 역임. 현재 세계지리학회(IGU) 섬 위원회 이사. SCOPUS 국제학술지 Journal of Marine & Island Cultures의 편집장.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 저서로는 『항구도시의 에콜로지』, 『섬 생태계』, 『도서연안의 생물문화다양성과 생태가치』, 『트로피컬 아일랜드니스』, 『Biocultural Landscapes』 등 국내외 단독, 공저가 20여권, 역서에는 『토지모자이크』, 『생태학』, 『海人의 世界』, 『해양보전생태학』 등 다수 있음. 대한민국 유ㆍ무인도 생태계, 도시, 어촌을 생태학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섬 지역 생물문화다양성을 연구하고 있음.
펼치기
이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다. 삼성그룹 비서실에서 근무했고,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지역학회 회장이다. 연세대학교에서 건축공학 학사 및 도시계획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SSCI 및 SCI 에 80여 회 인용되었다. 우리나라 U시티의 국가 전략을 수립했고, 바르셀로나 스마트시티 국제심사위원(International Jury)으로 활동했으며, 세계지식도시정상회의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 후 인 더 월드(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에 2016년까지 3년 연속 등재되었다.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Dynamics of Knowledge and IT Industries in Korea”(2016), “Identification of Knowledge Driven Production Path through ICTs Industry as a Tool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n Knowledge City”(2015), “Impact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on Changing Travel and Land Use Patterns”(2014), “유시티와 스마트시티 비교를 통한 유시티 해외진출 전략”(2014)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양동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신용보증재단 소상공인정책연구센터 연구위원
펼치기
박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주립버팔로대학교 교수
펼치기
신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뮤레파 대표
펼치기
이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수
펼치기
조영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교수
펼치기
한동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UCL 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