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151726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2-10-30
책 소개
목차
1장. 우주의 인문학
우주의 탄생, 창조론과 진화론
우주의 중심, 천동설과 지동설
신화와 설화 속의 우주
점성술과 별자리 이야기
천상의 별과 지상의 별
UFO의 출현
외계인의 존재와 침략 가능성
별, 문학과 예술이 되다
필름에 투영된 우주
2장. 우주의 천문학
우주의 생성과 진화, 빅뱅
우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은하계와 우리 은하
별의 일생
태양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태양계 중심으로서의 태양
행성인 지구, 그리고 위성인 달
우주망원경
운석 낙하와 소행성과의 지구충돌
3장. 우주의 정치학
우주전쟁, 우주군의 창설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주요국의 우주개발 기구와 우주정책
우주정거장
우주왕복선
보이저 탐사선
아폴로 계획과 아르테미스 계획
제2의 지구를 찾아서
화성탐사와 화성정착촌 건설
4장. 우주의 경제학
민간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 개막
스페이스 X, 블루 오리진, 버진 갤럭틱
우주여행
인공위성
우주 쓰레기
발사체 개발
누리호 발사 성공의 의미
우주산업의 비즈니스 발전 모델
한국의 미래 우주개발 방향
저자소개
책속에서
별은 사랑을 이어주는 좋은 소재이기도 하다. 사랑 노래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의 하나가 바로 별이다. 별자리 신화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야기 또한 사랑의 이야기다. 결국 그동안 신화와 점성술의 대상으로 활용되던 별과 우주는 문학과 예술이 되었다. 또 필름을 통해서도 그 신비함과 아름다움이 조명되었다.
- 제1장 ‘우주의 인문학’ 중에서
스타는 땅에서나 하늘에서나 스스로의 힘으로 빛나는 존재들이다. 해처럼 스스로를 태워서 주위에 빛과 열을 주는 존재가 바로 스타, 즉 별이다. 땅의 스타도 마찬가지다. 밤하늘의 스타는 스스로를 태워서 빛을 내고, 땅의 스타들은 스스로를 태워서 이름을 알린다. 지구는 스스로 타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를 스타, 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지구는 행성일 뿐이다.
이처럼 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스타가 된 이후에는 그가 발휘하는 영향력에 걸맞은 책임이 따른다. 그러한 노력과 책임을 다함으로써 자신을 태워서 주위에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존재가 바로 스타인 것이다. TV에 자주 등장하지만 사람들에게 기쁨과 행복을 주지 못할 경우, 그는 더이상 스타가 아니다.
- 제1장 ‘우주의 인문학’ 중에서
지금까지의 관측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우주는 대폭발 이후 약 138억 년이 지난 것으로 보인다. 즉 우주의 나이가 138억 살인 것이다. 이는 빛이 우주를 가로지르는데 138억 년이 소요된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우주 반경이 138억 광년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이보다 훨씬 더 커, 지구를 중심으로 반경 465억 광년, 직경 총 930억 광년의 규모로 추정된다. 1 광년은 빛의 속도(30만km/초)로 1년 동안 진행하는 거리이며, 약 9조 5천억km에 달한다.
- 제2장 ‘우주의 천문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