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151767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4-02-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경제병리학의 원리와 임상사례를 집필하며
1장 경제병리학이 경제학에서 필요한 이유
1. 경제학과 경제병리학
2. 경제병리학의 탄생을 가로막은 고정관념들
3. 이론적 유효성을 충분히 증명한 경제병리학
4. 경제정책과 경제실적
5. 경제병리학의 출발점; 경제진단
2장 경제병리학의 일반원리
1. 경제질병의 대표적 증상들과 그 근원
2. 금융위기는 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가
3. 금융위기가 발생하는 일반적 경제원리와 전개과정
3장 임상사례 1; 세계대공황
1. 비교적 성공적으로 극복한 미국의 1907년 금융위기
2. 1930년 미국 공황은 세계 대공황으로 치닫다
3. 세계 대공황의 배경
4. 대공황을 장기화시킨 몇 가지 중요한 경제정책
5. 경제질병 중에서 가장 위험한 금융위기를 방치하다
6. 무엇보다 중요한 정책 실패는 정책당국의 신뢰 상실
7. 내 이웃을 거지로 만드는 정책
8. 금본위제의 폐해
4장 임상사례 2: 초장기 장기침체
1. 특이한 경제질병; 일본의 장기침체
2. 그동안 일본 정부는 무엇을 했을까?
3. 일본 경제가 초장기 침체에 빠져든 과정
4. 국제수지 흑자가 결정적으로 초장기 침체를 빚다
5. 재정정책도 장기 침체에 기여
5장 임상사례 3: 외환위기
1. 우리나라의 외환위기
2. 중남미의 외환위기
3. 그리스의 외환위기
6장 임상사례 4: 2008년 금융위기
1.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들
2. 2008년 미국 금융위기가 발생한 근본 원인
3. 2008년 미국 금융위기의 전개 과정
4. 금융위기의 타격을 최소화시킬 길은 없었나
5. 미국 금융위기가 세계 금융위기로 발전한 운동원리
7장 임상사례 5 : 초인플레이션
최악의 경제재앙, 초인플레이션
에필로그 : 경제병리학을 위하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경제병리학: 경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은 2024년에 직면한 우리나라 경제는 물론이고 세계경제가 당면한 금융위기와 장차 벌어질지도 모를 또 다른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경제병리학의 대표적인 임상사례들을 비교적 광범위하게 그리고 깊게 다뤘으므로, 그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프롤로그’ 중에서
경제질병을 일으키는 경제 원리, 경제질병의 전개와 결과에 이르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경제 원리를 좀처럼 찾을 수 없었다. 그래도 경제병리학에 대한 관심이 1997년 말에 터진 외환위기를 예측하게 했다. 1995년에는 “잠수함의 토끼처럼 우리 경제의 파국을 내다보면서, 본인의 판단이 제발 기우이기를 기원한다.” 그리고 1996년에는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정책당국에 경고하고자 한다.”라고 예고했다.
- ‘1장 경제병리학이 경제학에서 필요한 이유’ 중에서
첫째, 모든 경제위기는 금융위기를 경유한다. 통화는 신용을 창조하기도 하고 파괴하기도 함으로써 신용승수의 2배라는 아주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금융위기는 부동산시장이나 주식시장에서 벌어진다. 부동산이나 주식은 저축이 비교적 오랜 세월 축적되어야 수요가 일어나고, 가격의 상승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2장 경제병리학의 일반원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