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91658408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4-04-24
책 소개
목차
기고자
서문 | 대니얼 J. 시겔
역자 서문
제1장 |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전체를 돌아보기 _ 대니얼 J. 시겔
서론: IPNB의 다섯 가지 기반 | IPNB에 대한 하나의 접근법: 12개의 통합 원칙들 | 정신치료 이외에 다른 IPNB의 적용 | IPNB, 나우리 및 정체성과 소속감의 통합
제2장 | 초기 애착 외상의 재연에 있어 치료적 상호 퇴행에 대한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_ 앨런 N. 쇼어
우측 뇌에서 우측 뇌로의 의사소통: 최신 소견 | 정신치료의 기전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인관계 경생물학의 적용 | 상호 퇴행으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더 깊은 생각
제3장 | 실행 기능의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_ 루이스 코졸리노, 칼리 사무엘슨, 클로에 드룰리스
실행기능에 대한 중심적인 신조 | 실행기능의 구성 요소 | 세 가지 상호 작용하는 실행 체계 | 지능 vs 지혜
제4장 | COVID-19 대유행은 우리의 신경계에 대한 도전이다 _ 스티븐 W. 포지스
서론 | 연결하려는 우리의 생물학적 필수 요구에 대한 대유행의 영향 | 통합된 신경계 모델은 양방향적인 뇌-신체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을 높여 준다 | 다미주 관점 | 치료로서 온정: 통합적인 신경계 다미주 정보 관점 | 공중 보건 전략들이 위협에 대한 느낌을 악화시킨다 | 화상회의를 통해서 위협 반응을 완화시키기 | 이해, 위험의 평가 및 치료를 최적화하도록 이끌어 내는 개입 변인으로서, 자율신경계 상태에 대한 개념화
제5장 | 애착을 넘어서 _ 캐시 스틸
외상을 받은 사람들의 동기체계 이해하기 | 신경지와 동기체계 | 동기체계 간의 정신화의 가변성 | 붕괴된 애착 및 해리장애의 동기체계 | 치료자의 동기체계 | 협조/협동 동기체계 | 분리 울음: 공황 및 상실 동기체계 | 돌봄 동기체계 | 경쟁/서열매기기 동기체계 | 성 동기체계 | 놀이 동기 체계 | 약탈자적 동기체계 | 결론
제6장 | 상담실과 세계에서 치료적 존재가 되어 주기 _ 보니 바데노크
제7장 | 굴욕은 단순히 수치심을 주려 하거나 비하하려는 의도에 대한 것이 아니다 _ 리차드 A. 체페츠
느낌의 이론에 대한 예비적인 생각: 정서 이론 | 감정의 수치심 스펙트럼 | 수치심 경험 | 굴욕 경험 | 정신치료에서 굴욕 경험 | 굴욕경험의 역전이 분석 | 나는 어떻게 그런 괴물이 되었을까? | 역전이 증오 및 굴욕 | 굴욕은 자신의 누이인 수치심과 구분이 된다
제8장 | 조절부전과 의식 상태에 대한 조절부전의 효과 _ 대니얼 힐
외상과 관련된 변화된 의식 상태 | 정서조절부전에 기인한 손상된 의식의 차원 | 결론
제9장 | 치유적 맥락 _ 팻 오그던
유기성 | 비폭력 | 마음, 신체 및 영혼 전체론 | 단일성 | 관계적 연금술 | 존재와 마음챙김 | 기법을 결정하는 원칙들 | 결론
제10장 | 사회적 거리두기 시대에 있어 중독의 회복 _ 올리버 J. 모건
역경의 유행 | 역경의 과학 | 현재 상황: 독성 환경 | 지속 가능한 회복: 도전과 기회 | 첫 번째 단계 | 긍정적 신호들 | 더한 변화들 | 지속 가능한 변화들 | 더 가야할 것
제11장 | 같은 깃털을 가진 새무리(유유상종) _ 테리 마크스-탈로우
자기조직화를 통한 동기화 | 위에서 아래로 vs 아래에서 위로의 처리 과정 | 임상적 직관은 아래에서 위로의 과정을 포함한다 | 조율의 기초 | 일생을 통한 동기화 | 고속주사의 새로운 기술 |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동기화 | 무의식적인 정보의 공유 | 에이브 증례 | 코로나 바이러스 시대의 원격 치료
제12장 | 온라인 가족치료에서 감정의 신경학적 상태를 동기화시키기 _ 대니얼 휴스
치료적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