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1675153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2-05-03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더 나은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하며
_정기태 에포크미디어코리아 대표이사, 공학박사
머리말 성공한 대통령을 위하여
_이홍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 전 대통령 정책비서관
제1부 차기 대통령과 정부에 바란다
대통령 직속 북한인권특별위원회 설치해야
-손광주 코리아선진화연대 이사장, 전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대한민국은 민주ㆍ자유에 공화주의 가치 더해야
_김주성 차세대미래전략연구원 부원장, 전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북한 인권에 목소리 높이고 중국에 당당한 정부 되길
_김석우 북한인권시민연합 이사장, 전 통일원 차관
부국강병을 위한 보수 리더십 필요하다
_전성철 글로벌스탠다드연구원 회장, 전 산업자원부 무역위원장
한국 진보정당은 주사파의 그늘에서 벗어나야 한다
_주대환 제3의 길 대표, 전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의장
국민 요구에 응답하고 공약 실천하는 정치 지도자가 필요하다
_임혁백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좋은정책포럼 이사장
대한민국이 직면한 중대 위기, 패러다임 전환으로 극복해야 한다
_구해우 미래전략연구원 원장, 전 국가정보원 북한담당기획관
새로운 교육 대통령 탄생을 바란다
_이주호 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차기 대통령에게 제시하는 지도자의 길
_故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설립 이사장, 전 대통령 정책기획수석비서관
제2부 대통령이 성공하려면
새로운 정부 성공 여부는 인사가 결정 한다
_이홍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 전 대통령 정책비서관
대통령과 참모는 수시로 소통해야 한다
_이각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교수, 전 대통령 정책기획수석비서관
국가 지도자는 선공후사한 조선 태종 사례를 본 받아야 한다
_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전 조선일보 문화부장
공직 인사는 규정과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_김명식 대구가톨릭대학교 교학 부총장, 전 대통령실 인사기획관
대통령의 말은 불가역적, 최종적임을 명심해야 한다
_최 광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전 보건복지부 장관
오만과 불통은 정책 실패, 국정 운영 난맥의 근본 원인이다
_박재완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전 기획재정부 장관
대북 정책은 좌우 균형 잡혀야 한다
_홍용표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전 통일부 장관
야당과 대화와 소통이 국정운영을 성공으로 이끈다
_진수희 제17ㆍ18대 국회의원, 전 보건복지부 장관
실패하지 않는 대통령의 패러다임 필요하다
_임동욱 차의과학대학교 행정대외 부총장, 한국대통령학연구소 소장
국민 통합의 리더십이 대통령을 성공으로 이끈다
_조해경 서울시립대학교 초빙교수, 전 한국정책개발연구소 소장
대통령과 정부는 위기 대응 태세를 갖춰야 한다
_김충남 전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전 대통령 사정ㆍ정무ㆍ공보비서관
국정운영의 중심은 청와대가 아니라 국무회의가 되어야 한다
_강원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전 한국정치학회 회장
후기 ‘성공한 대통령이 되는 법’을 찾아 떠난 ‘100일 대장정’을 마치며
_최창근 에포크타임스코리아 국내뉴스 에디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손광주 전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나는 대통령 직속 북한인권특별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 주장하고 있습니다. 북한 인권문제는 ▲국군 포로ㆍ납북자ㆍ이산가족 등 남북관계에서 발생한 인권문제 ▲북한 주민 인권문제 ▲재외 탈북자 인권문제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눠집니다. 대통령 직속 북한인권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정부 부처와 민간기구에 흩어져 있는 북한 인권정책을 통합·조정하고 관련 정책을 총괄하게 해야 합니다.”
김주성 전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공화주의 가치를 환기해야 하는 이유는 최근 우리의 정치의식이 너무 민주주의에 경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세 가지 프로젝트인 국가 건립(건국), 산업화, 민주화는 분리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닙니다. 절차적 민주화를 이룬 오늘날은 민주주의, 자유주의, 공화주의를 조화롭게 구성하는 문제를 고민해야 합니다.”
김석우 전 통일원 차관
“대한민국 도 중국 등 이웃 강대국들에게 당당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과 선린우호(善隣友好) 관계를 유지하는 건 맞으나 사드 배치 문제 등 주권에 관련된 문제나 역사왜곡 등 한국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