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9169702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1-10-0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05
오언율시(五言律诗)
이융기(李隆基)
经邹鲁祭孔子而叹之(쩌우루에 들러 공자에게 제사하다) · 18
장구령(张九龄)
望月怀远(달을 보며 그리워하다) · 20
왕발(王勃)
送杜少府之任蜀州(수저우에 부임하는 두 소부를 보내며) · 21
낙빈왕(骆宾王)
在狱咏蝉(감옥에서 매미를 노래함) · 23
두심언(杜审言)
和晋陵陆丞早春游望(진링의 육승과 ‘조춘유망’을 부르다) · 27
심전기(沈佺期)
杂诗(잡시) · 29
송지문(宋之问)
题大庾岭北驿(다위령 베이이) · 33
왕만(王湾)
次北固山下(베이구산 아래 배를 대다) · 35
상건(常建)
题破山寺后禅院(포산사 뒤의 선원) · 37
잠삼(岑参)
寄左省杜拾遗(좌성 두 습유에게 부침) · 39
이백(李白)
赠孟浩然(맹호연에게 바침) · 41
渡荆门送别(징먼에서 고향에 작별을 고하다) · 42
送友人(친구를 보내다) · 44
听蜀僧濬弹琴(준 스님의 거문고 소리) · 45
夜泊牛渚怀古(한밤중 뉴주에 배를 대고) · 46
두보(杜甫)
春望(춘망) · 48
月夜(달밤) · 49
春宿左省(봄날 숙직) · 50
至德二载甫自京金光门出问道归凤翔乾元初从左拾遗移华州掾与亲故别因出此门有悲往事(지덕 2년 장안 금광문을 나와 후미진 좁은 길을 따라 펑샹으로 도망했는데 건원 초년 좌습유에서 쫓겨나 화저우 지방관으로 갈 때 친구들과 헤어지고 이 문을 나서면서 가슴 아픈 그때 일을 떠올리다) · 51
月夜忆舍弟(동생들이 그리운 달밤) · 53
天末怀李白(하늘 끝에서 이백을 그리며) · 54
奉济驿重送严公四韵(펑지이의 엄공에게 4운시를 다시 보냄) · 55
别房太尉墓(방 태위 무덤과 작별하며) · 57
旅夜书怀(밤 여행 소회) · 58
登岳阳楼(악양루에 올라) · 59
왕유(王维)
辋川闲居赠裴秀才迪(왕천 오두막에서 수재 배적에게) · 61
山居秋暝(가을 저녁의 산촌) · 62
归嵩山作(쑹산 가는 길) · 63
终南山(중난산) · 64
酬张少府(장 소부에게 회답하다) · 65
过香积寺(향적사에 들러) · 66
送梓州李使君(이 사군을 쯔저우로 보내며) · 68
汉江临眺(한강에 배를 대고) · 69
终南别业(중난산 오두막) · 70
맹호연(孟浩然)
望洞庭湖赠张丞相(둥팅호를 바라보며 장 승상께 바침) · 72
与诸子登岘山(친구들과 셴산에 올라) · 73
清明日宴梅道士房(청명절 매 도사의 산방) · 74
岁暮归南山(그믐날 남산으로 돌아가) · 75
过故人庄(친구의 시골집) · 77
秦中感秋寄远上人(원 스님에게 보낸 장안의 가을 느낌) · 78
宿桐庐江寄广陵旧游(퉁루강에서 광링 친구에게) · 79
留别王侍御维(왕유와의 이별 시) · 80
早寒江上有怀(차가운 강물 위에서) · 81
유장경(刘长卿)
秋日登吴公台上寺远眺(어느 가을의 오공대) · 83
送李中丞之襄州(이 중승을 보내며) · 84
饯别王十一南游(왕십일을 송별하다) · 85
寻南溪常山道人隐居(상산 도인을 찾아) · 86
新年作(신년 소회) · 88
전기(钱起)
送僧归日本 (일본으로 돌아가는 스님) · 90
谷口书斋寄杨补阙(구커우 서재에서 양 보궐을 기다림) · 91
위응물(韦应物)
淮上喜会梁川故友(화이상에서 량촨 친구와의 재회) · 93
赋得暮雨送李胄(저녁 비 맞으며 이주를 보내다) · 94
한홍(韩翃)
酬程近秋夜即事见赠(정근에게 답하다) · 96
유신허(刘眘虚)
阙题(결제) · 98
대숙윤(戴叔伦)
客夜与故人偶集(객잔에서 만난 옛 친구) · 100
노윤(卢纶)
李端公(이단과의 이별) · 102
이익(李益)
喜见外弟又言别(외사촌과의 우연한 만남, 그리고 이별) · 104
사공서(司空曙)
云阳馆与韩绅宿别(윈양관에서 한신과의 이별 전야) · 106
喜外弟卢纶见宿(뜻밖에 외사촌 노윤이 자러 오다) · 107
贼平后送人北归(난리 후 귀향하는 친구) · 108
유우석(刘禹锡)
蜀先主庙(촉 선주의 사당에서) · 110
장적(张籍)
没蕃故人(투루판에 잡혀간 친구) · 112
백거이(白居易)
赋得古原草送别(초원에서 친구와 작별하다) · 114
두목(杜牧)
旅宿(여관방) · 115
허혼(许浑)
秋日赴阙题潼关驿楼(어느 가을 퉁관에서) · 117
早秋(초가을) · 118
이상은(李商隐)
蝉(매미) · 122
风雨(비바람) · 123
落花(낙화) · 124
凉思(애수) · 125
北青萝(베이칭뤄) · 126
온정균(温庭筠)
送人东游(동쪽으로 떠나는 친구) · 128
마대(马戴)
灞上秋居(바상에서의 가을) · 130
楚江怀古(초강에서의 회고) · 131
장교(张乔)
书边事(변방 이야기) · 135
최도(崔涂)
巴山道中除夜书怀(섣달그믐에) · 137
孤雁(무리 잃은 기러기) · 138
두순학(杜荀鹤)
春宫怨(궁중 원망) · 140
위장(韦庄)
章台夜思(장대의 밤) · 142
교연(皎然)
寻陆鸿渐不遇(육홍점을 찾아가다) · 144
오언절구(五言绝句)
왕유(王维)
鹿柴(루차이) · 148
竹里馆(죽리관) · 148
山中送别(산중 송별) · 149
相思(홍두, 그리움) · 150
杂诗(잡시) · 151
배적(裴迪)
崔九欲往南山马上口号与别(최구를 보내며) · 152
조영(祖咏)
终南望馀雪(중난산 잔설을 보며) · 154
맹호연(孟浩然)
宿建德江(젠더강에서 숙박하다) · 156
春晓(봄날 새벽) · 157
이백(李白)
静夜思(가을밤 고향 생각) · 158
怨情(원망, 그리움) · 159
두보(杜甫)
八阵图(팔진도) · 160
왕지환(王之涣)
登鹳雀楼(관작루에 오르며) · 161
유장경(刘长卿)
送灵澈上人(영철 스님을 보내며) · 163
听弹琴(거문고 타는 소리) · 164
送方外上人(스님을 보내며) · 165
위응물(韦应物)
秋夜寄丘二十二员外 (가을밤에 구단에게 부침) · 166
이단(李端)
听筝(쟁 연주) · 167
왕건(王建)
新嫁娘词(새색시) · 169
권덕여(权德舆)
玉台体(화장대) · 172
유종원(柳宗元)
江雪(눈 내리는 강) · 174
원진(元稹)
行宫(행궁) · 175
백거이(白居易)
问刘十九(유십구에게 묻다) · 176
장호(张祜)
宫词(궁중 생활) · 177
이상은(李商隐)
乐游原(낙유원) · 179
가도(贾岛)
寻隐者不遇(은자를 찾았으나 만나지 못하다) · 181
송지문(宋之问)
渡汉江(한강을 건너며) · 183
김창서(金昌绪)
春怨(봄날, 원망스러움) · 184
서비인(西鄙人)
哥舒歌(가서를 노래함) · 186
오절악부(五绝乐府)
최호(崔颢)
长干曲(창간곡) · 190
이백(李白)
玉阶怨(옥섬돌에서의 기다림) · 192
노윤(卢纶)
塞下曲(요새곡) · 193
이익(李益)
江南曲(강남곡)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