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91697155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05
우집(虞集)
双调·折桂令, 席上偶谈蜀汉事因赋短柱体(쌍조·절계령, 연회석 상에서 기분 내키는 대로 이야기한 촉한의 사건을 소재로 단주체를 씀) · 15
유치(刘致)
南吕·四块玉(남려·사괴옥 제1, 3, 4, 9수) · 17
中吕·朝天子, 邸万户席上(중려·조천자, 저만호의 연회석상에서 제1, 2수) · 20
中吕·红绣鞋, 劝收心(중려·홍수혁, 단정한 마음가짐을 권하다) · 24
双调 折桂令(쌍조 절계령)
农(농민) · 25
渔(어부) · 26
樵(나무꾼) · 27
牧(목동) · 28
双调·殿前欢(쌍조·전전환 제1, 2수) · 30
아노위(阿鲁威)
双调·蟾宫曲, 怀古(쌍조·섬궁곡, 옛일을 회상함 제1, 2수) · 32
왕원정(王元鼎)
双调·凭栏人, 闺怨(쌍조·빙란인, 아녀자의 한 제1, 2수) · 36
설앙부(薛昂夫)
正宫·塞鸿秋(정궁·새홍추) · 38
双调·蟾宫曲, 雪(쌍조·섬궁곡, 눈) · 39
中吕·山坡羊(중려·산파양) · 41
双调·湘妃怨, 集句(쌍조·상비원, 집구) · 42
관운석(贯云石)
双调·水仙子, 田家(쌍조·수선자, 시골집 제1, 2수) · 44
正宫·塞鸿秋, 代人作(정궁·새홍추, 대신 쓴 글) · 46
中吕·红绣鞋(중려·홍수혁) · 47
双调·殿前欢(쌍조·전전환 제1, 2수) · 48
双调·清江引(쌍조·청강인 제1, 2, 17, 21수) · 50
주문질(周文质)
正宫·叨叨令, 自叹(정궁·도도령, 스스로 탄식함) · 55
正宫·叨叨令, 悲秋(정궁·도도령, 서글픈 가을) · 56
双调·落梅风(쌍조·낙매풍 제1~3수) · 57
越调·寨儿令(월조·채아령 제1~3수) · 59
교길(乔吉)
正宫·绿幺遍, 自述(정궁·녹요편, 자술) · 63
中吕·满庭芳, 渔父词(중려·만정방, 어부사 제3, 17수) · 64
双调·水仙子(쌍조·수선자)
为友人作(친구를 위해 쓰다) · 66
怨风情(사랑을 원망하다) · 67
双调·折桂令, 七昔赠歌者(쌍조·절계령, 칠석날 노래하는 이에게 바친다 제1, 2수) · 68
双调·清江引, 笑靥儿(쌍조·청강인, 보조개 제1, 2수) · 71
双调·卖花声, 悟世(쌍조·매화성, 인간 세상을 깨닫다) · 72
中吕·山坡羊(중려·산파양)
寄兴(마음 내키는 대로 살다) · 73
冬日写怀(겨울에 심경을 쓰다) · 75
越调·天净沙, 即事(윌조·천정사, 즉흥시) · 76
조선경(赵善庆)
中吕·山坡羊(중려·산파양)
燕子(제비) · 767
长安怀古(장안 회고) · 78
双调·庆东原, 泊罗阳驿(쌍조·경동원, 뤄양 역에서) · 79
越调·凭阑人, 春日怀古(월조·빙란인, 봄날의 회고) · 80
마겸재(马谦斋)
中吕·快活三过朝天子四边静, 冬(중려·쾌활삼 다음 조천자와 사변정, 겨울) · 82
越调·柳营曲, 叹世(월조·유영곡, 세상을 탄식하다) · 84
双调·水仙子, 咏竹(쌍조·수선자, 대나무를 노래함) · 86
双调·沉醉东风, 自悟(쌍조·침취동풍, 스스로 깨닫다) · 87
장가구(张可久)
双调·折桂令, 湖上即事叠韵(쌍조·절계령, 호수 위에서 즉흥적으로 지은 첩운) · 88
中吕·朝天子(중려·조천자)
山中杂书(산중 잡서) · 89
春思(춘사) · 91
双调·庆东原, 次马致远先辈韵(쌍조·경동원, 마치원 선배의 운을 빌리다 제2, 5, 6수) · 92
中吕·卖花声, 怀古(중려·매화성, 회고 제1, 2수) · 95
双调·水仙子, 红指甲(쌍조·수선자, 붉은 손톱) · 97
黄钟·人月圆, 春日次韵(황종·인월원, 봄날의 운을 빌려) · 98
中吕·朝天子(중려·조천자)
和贯酸斋(관산재에 화답하여) · 99
席上有赠(연회 자리에서 바친 시) · 100
中吕·满庭芳, 山中杂兴(중려·만정방, 산속 즉흥시 제1, 2수) · 101
中吕·齐天乐带红衫儿, 道情(중려·제천악 다음 홍삼아, 도정) · 105
越调·寨儿令, 次韵(월조·채아령, 운을 빌려오다) · 107
임욱(任昱)
正宫·小梁州, 春怀(정궁·소량주, 봄날 소회) · 110
中吕·上小楼, 隐居(중려·상소루, 은거) · 111
南吕·金字经, 重到湖上(남려·금자경, 호수에 다시 오다) · 112
双调·沉醉东风, 信笔(쌍조·침취동풍, 붓 가는 대로 쓰다) · 113
서재사(徐再思)
双调·沉醉东风, 春情(쌍조·침취동풍, 춘정) · 115
双调·蟾宫曲, 春情(쌍조·섬궁곡, 춘정) · 116
仙吕·一半儿(선려·일반아)
病酒(만취) · 117
落花(낙화) · 118
春情(춘정) · 119
双调·水仙子, 夜雨(쌍조·수선자, 밤비) · 120
双调·卖花声(쌍조·매화성 제1, 2수) · 121
黄钟·人月圆, 甘露怀古(황종·인월원, 간루 회고) · 122
双调·清江引, 相思(쌍조·청강인, 그리움) · 124
송방호(宋方壶)
中吕·山坡羊, 道情(중려·산파양, 초탈의 뜻) · 125
双调·水仙子, 居庸关中秋对月(중려·수선자, 추석날 쥐용관에서 달을 보며) · 126
中吕·红绣鞋, 阅世(중려·홍수혁, 세상 경험) · 128
双调·清江引, 托咏(쌍조·청강인, 달을 보며 읊조리다) · 129
손주경(孙周卿)
双调·水仙子(쌍조·수선자)
舟中(배 안에서) · 130
山居自乐(산에서 자족하다) · 131
双调·蟾宫曲, 自乐(쌍조·섬궁곡, 자족 제1, 2수) · 133
고덕윤(顾德润)
越调·黄蔷薇带庆元贞, 御水流红叶(월조·황장미대경원정, 황궁 수로의 붉은 잎) · 136
中吕·醉高歌带摊破喜春来, 旅中(중려·취고가대탄파희춘래, 여행 중에) · 138
조덕(曹德)
双调·沉醉东风, 隐居(쌍조·침취동풍, 은거) · 140
中吕·喜春来, 和则明韵(중려·희춘래, 칙명의 운에 맞추어 제1, 2수) · 141
双调·折桂令, 自述(쌍조·절계령, 스스로 말하다) · 143
고극례(高克礼)
越调·黄蔷薇过庆元贞(월조·황장미 다음 경원정 제1, 2수) · 145
왕엽(王晔)
双调·折桂令(쌍조·절계령)
问苏卿(소경에게 묻다) · 148
答(답) · 149
双调·殿前欢(쌍조·전전환)
再问(다시 묻다) · 150
答(답) · 151
왕중원(王仲元)
中吕·普天乐, 春日多雨(중려·보천악, 봄날 많은 비) · 152
여지암(吕止庵)
仙吕·后庭花(선려·후정화) · 154
仙吕·醉扶归(선려·취부귀 제1~3수) · 155
진진(真真)
仙吕·解三酲(선려·해삼정) · 158
사덕경(查德卿)
仙吕·寄生草, 感叹(선려·기생초, 감탄) · 160
越调·柳营曲, 金陵故址(월조·유영곡, 진링 옛터) · 162
仙吕·一半儿(선려·일반아)
拟美人八咏 春妆(미인 노래 여덟 수 中 봄 화장) · 163
拟美人八咏 春醉(미인 노래 여덟 수 中 봄날 술기운) · 164
中吕·普天乐, 别情(중려·보천악, 이별의 아픔) · 164
越调·柳营曲, 江上(월조·유영곡, 강 위에서) · 165
조현굉(赵显宏)
黄钟·刮地风, 别思(황종·괄지풍, 이별 그리고 그리움) · 168
中吕·满庭芳, 樵(중려·만정방, 나무꾼) ·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