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9172420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12-23
책 소개
목차
Ⅰ. 수업은 언제나 실패한다, 그래서 늘 수업을 고민해야 한다
1. 수업을 실패하다
2. 관계와 소통을 배우다
3. 다시 수업을 고민하다
Ⅱ. 왜 교육과정을 읽어야 하는가?
1. 교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가. 고민 1. 교사는 무엇으로 정체성을 말할 수 있는가?
나. 고민 2. ‘학생을 교육한다’는 학생을 ‘가르치다’와 동일한 의미일까?
2. 나와 마주하고 있는 아이들의 배움의 목적은 무엇일까?
가. 고민 3. ‘잘 배움’의 의미가 성적 향상과 성공에만 있을까?
나. 고민 4. 잘 배움의 의미를 성장으로 확장할 수 있을까? 55
3. 교육적 성장과 교육과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가. 고민 5. 학생들은 어떻게 교육적으로 성장하는 것일까?
나. 고민 6. 교육과정을 왜 읽어야 할까?
Ⅲ. 내 교실로 가져가기 위한 교육과정을 어떻게 디자인할까?
1. 교사가 교육과정을 왜 써야 하는가?
2. 어떤 단계로 교육과정을 쓸 수 있을까?
3. 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쓸까?
가. 교과서를 활용하여 성취기준 가르치기
나. 방법 1. 성취기준 분석하기
다. 방법 2. 성취기준을 교실 실천용으로 구체화하기
라. 방법 3.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으로 일체화하기
마. 방법 4. 한 학기 교과 교육과정 디자인하고 실행하고 피드백 받기
4. 성취기준을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가. 순서 바꾸어 스토리화하기
나. 구체화하기
다. 압축하기
라. 통합하기
Ⅳ. 내가 만든 교육과정을 어떻게 교실로 가지고 갈까?
1. 수업 방법을 바꾸어야 할까?
가. 수업방법에 골몰하다 수업을 다시 실패하다
나. 누가 무엇을 배우느냐에 따라 어떻게 배우느냐를 결정하다
다. 3단계로 수업을 고민하다
라. 어께에 힘 빼고 수업 나누고 성찰하다
마. 행사를 수업과 연계하다
2.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나?
가. ‘다시 되묻기’를 평가의 원칙으로 세우다
나. 변별과 피드백 사이에서 고민하다
다. 다시 피드백 평가를 설계하고 실천하다
라. 다시 평가를 생각하다
3. 기록은 어떻게 해야 하나?
가. 학교생활기록부를 쓴다는 것의 의미는?
나. 학교생활기록부(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를 어떻게 쓸까?
다. 실제로는 어떻게 썼을까?
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수업에 물들다
1. 교수평기 일체화 수업 활동을 뒤돌아 보다
가.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을 혼자 시도해 보다
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수업을 함께 해 보다
2.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의미를 다시 새기다
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동아리 활동을 하다
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진정한 의미를 성찰하다
다. 진정한 학생중심의 교사교육과정을 꿈꾸다
라. 마치며
부록 | 내 교실에서 바로 써 먹을 수 있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디자인하기(양식)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가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은 목표 중심이다. 그런데 교실의 아이들을 이 목표에 다가가도록 하는 데, 개인마다 방향과 속도와 방법이 다 같을 수 없다. 그래서 그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내가 ‘아이들의 성장에 맞게 변형하거나 개발하는’ 교사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울러 그것을 수업과 평가와 기록에까지 일관되게 적용하는 실천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고민하게 된 것이다.
현장에 가장 적합한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배움으로 계속 이어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그러한 교사교육과정들이 보다 넓게 공유되는 과정에서 국가교육과정을 다시금 수정하는 기본 자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일방적으로 주어진 것을 따라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학생의 배움과 경험으로 재구성된 교육과정으로 구현되고 다시 피드백으로 돌아와, 다시 교사에 의해 수정되고 공유되고 공동화되어 가는 선순환적 교육과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