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승리한 전쟁 임진왜란 그 시작과 끝

승리한 전쟁 임진왜란 그 시작과 끝

오욱환 (지은이)
조윤커뮤니케이션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승리한 전쟁 임진왜란 그 시작과 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승리한 전쟁 임진왜란 그 시작과 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91779059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임진왜란은 당시까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편입되어 있던 일본이, 당시의 보편적인 국제질서에 정면으로 도전한 사건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일본의 태도는 근대에 다시 나타나게 된다. 비록 두 번째의 시도도 1945년에 실패로 끝났지만, 한국과 중국에서는 여전히 일본에 대해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목차

인사의 글
목차

프롤로그 --- 국제질서 재편의 기도

Ⅰ부. 정명을 기약하며
: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도전

1. 일본 열도의 평정
복속(服屬) 요구의 논리 / 류큐에 대한 정책 / 일본 열도의 평정 완료 /
조선왕조의 자리매김 / 조선 사절 알현

2. 「중국 진출」을 향하여
침공 체제 정비 / 국제 질서 재편의 기도 / 중국 진공의 시동

Ⅱ부. 「중국 진공」

1. 침공의 서전과 한성 함락
침공에 앞서 행한 조선과의 교섭 / 히데요시의 출진 / 조선의 국가와 사회 /
서전의 상황 / 선조의 몽진(蒙塵, 한성 이탈) / 조선 사회의 혼란 / 한성 함락 /
히데요시의 도해를 축으로 한 당초의 점령 정책 / 히데요시의 국가 확장 계획

2. 조선 팔도의 경략
일본 장수들의 팔도 분견 / 조선 관군의 최초의 승리 (양주전투, 해유령전첩) /
경상도 경략 / 전라도의 상황 - 금산(錦山, 웅치·이치)의 전투 /
충청도와 경기도의 상황 / 강원도의 경략 / 함경도 침공 / 오랑카이 침공 /
가토ㆍ나베시마 부대에 의한 함경도 경략 / 일본군의 평양 입성 /
조선 조정의 적극적인 전쟁지휘와 사족의 거병 / 조선의 반격과 명나라의 파병 /
제2차 평양성 전투 / 제3차 평양성 전투

3. 명·조선의 반격과 일본의 수세
조선 수군의 반격 / 히데요시의 도해 연기와 6월3일령 / 조선 의병의 궐기 /
조선 수군의 공세 / 6월3일령의 동결 / 명나라 군의 파병 / 북관대첩 / 진주대첩 /
히데요시의 딜레마 / 히데요시 도해계획의 재검토 / 히데요시의 도해와 친정을 둘러싸고

4. 전국(戰局)의 전환
제4차 평양성 전투 / 함경도의 정세 / 한성을 둘러싼 공방 – 벽제관전투, 행주대첩 /
한성에서의 군의와 가토·나베시마 부대의 합류 / 히데요시 도해 계획의 재연기와 군대의
재편 / 동국(東國)부대의 도해와 명·일의 교섭 재개 / 강화사 분작(扮作)과 일본군의 한성 철수

Ⅲ부. 강화 교섭과 그 파탄

1. 히데요시, 중국 진출을 단념하다.
명나라 사절을 받아들임 / 칙사 접견과 강화 조건의 제시 /
제2차 진주성 전투 / 진주성 함락후, 히데요시의 반응 / 전투의 결말

2. 일본군의 방비조치(조선 주둔) 체제
히데요시의 개선 계획과 선조의 한성 귀환 / 일본형 성채에 대하여 / 서해안 및 부산을 핵으로
하는 성채망 / 동해안의 성채군 / ‘소류큐’ ‘고산국’에 대한 입공 요구와 히데요시ㆍ히데츠구의
관계 / 선교사 세스페데스가 본 웅천성 / 휴전기의 조선 상황 / 일본 장병의 도망과 항왜 /
조선의 군량 문제 / 히데츠구의 출진계획

3. 강화교섭, 그리고 파탄
교섭을 향한 환경 정비 / ‘히데츠구 사건’ / 명ㆍ조선 사절의 來日 /
오사카 성에서의 사절 알현 / 교섭 결렬의 진짜 원인


Ⅳ부. 정유년의 재파병
: 정유재란 발발

1. 전라ㆍ충청도에의 침공
집요한 복속요구 / 재파병의 군편제 / 일본군의 도해와 제해권 / 이순신의 실각과 원균의
기용 / 작전에 실패하고 패전한 원균 : 거제도 칠천량 해전 / 일본군, 충청도와 전라도로
진격하다. / 남원성ㆍ황석산성 전투 / 이순신의 재기용, 명량해전 / 직산 회전 / 정읍의 軍議 /
시마즈 부대에 의한 전라도 해남 제압 / 일본의 ‘군정’과 조선사회 / 나베시마 부대에 의한
전라도 강진 지배 / 조선 사민(士民)의 구인 / 남방(濫妨)의 여러 가지 모습

2. 명나라ㆍ조선군의 반격
연안부의 성채 공사 / 울산 농성 / 울산의 공방 / 일본측 성채망의 재편 /
명나라ㆍ조선군의 재거(再擧)

3. 조선반도에 대한 고집(固執)
히데요시의 죽음과 최후의 화평공작 / 순천 전투 / 사천의 공성전 /
고니시 유키나가의 화평공작 / 노량해전 --- 조선반도에서의 전투의 종결

V부 국교 회복
: 새로운 국제 관계의 모색

1. 삼국간의 강화교섭
명군의 조선 주둔과 명·일 간의 교섭 / 강화와 철군을 향한 여러 가지 생각 /
일본의 국내 정국과 강화 교섭 / 명군의 철수 / 세키가하라 전투

2.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
명ㆍ조선 관계와 쓰시마 ‘기미(羈縻)’론 / 명나라의 대조선·대일 전략과
조선 정부의 판단 / 조선과 쓰시마의 수호 회복 / 도쿠가와 정권의 대외 전략


에필로그 --- 비뚤어진 채로 적응하며 살아가기.
일본의 대명강화의 좌절 / 조선인 포로의 일본사회에의 동화

발문
참고문헌
연표

저자소개

오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변호사협회의 사무총장과 서울변호사회의 회장으로 재직할 때, 일본과 관련한 회무는 사실상 그가 가장 좋아하는 업무였다. 변호사로서 민간 외교관 역할도 자청하였다. 일본 오사카 변호사회가 프랑스와의 협의를 위해, 서울변호사회와의 이미 합의한 행사를 축소하려는 움직임이 있던 때에는, 그 즉시 방일하여 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을 지적함으로써 당초 계획하였던 대로 행사를 진행하도록 한 적도 있었다고. 또한 일본 도쿄대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 방문학자로 연구활동을 한 후, 도쿄대 야마시타 도모노부 교수의 주선으로 도쿄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법제도의 개혁-형사사법제도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특강을 하기도 하고, 일본대동문화대학에서 동아시아 재판 외 분쟁해결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주제로 강연하기도 하였다.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성균관대 법대를 졸업하고 법조계(사시 24회, 연수원 14기)에 입문했다. 대한변호사협회 공보이사, 대한변협 총무이사 겸 사무총장, 서울변호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성균관대ㆍ한국외대ㆍ고려대 등에서 법학전문대학원과 법과대학에서 겸임 교수로 활동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격동, 메이지 유신 이야기>와 <승리한 전쟁 임진왜란 그 시작과 끝> <도쿠가와 이에야스 누구인가> <일본의 테러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