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일교 분열과 생명나무 - 상

통일교 분열과 생명나무 - 상

(통일교의 분열 개정판)

김종석 (지은이)
한국메시아운동사연구소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일교 분열과 생명나무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일교 분열과 생명나무 - 상 (통일교의 분열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기타 종교
· ISBN : 9791191852141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한국 메시아운동사 연구 9권. 2016년에 발간된 『통일교의 분열 증보판』으로서 2022년까지 통일교 분열의 전체 과정과 원인 및 미래 전망을 담고 있다. 통일교 신자를 비롯해 신종교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감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책이다.

목차

초판 서문/ 5
개정판 서문 / 7

들어가는 말 / 15

1. 통일운동 / 15
2. 통일운동 분열의 현실 / 16
1) 아베 암살 / 16
2) 참가정의 분열/ 17
3) 통일운동 분열의 두 경고 / 20

제1장 통일운동의 정체성 / 23

제1절 하나님의 아담‧해와 창조 / 25
1. 이성성상(二性性相)의 하나님 / 26
2. 주체와 대상 / 28
3. 하나님의 인간 창조; 아담을 본으로 해와를 창조 /29
4. 하나님의 사랑, 생명, 혈통 / 31
5. 하나님의 창조이상 / 32
6. 아담‧해와의 타락 / 33
7. 혈통복귀를 통한 재창조 섭리 / 35
제2절 예수와 예수 아내를 중심으로 한 복귀 /37
1. 독생자 예수 / 37
1) 예수의 혈통 / 37
2) 예수의 첫 사명 / 38
2. 독생자 예수의 아내 / 39
1) 예수의 아내 후보자, 사가랴의 딸 / 39
2) 예수 아내의 혈통 / 40
3. 예수의 성혼 실패 / 42

제3절 재림메시아를 중심한 복귀 / 44
1. 재림주 출현의 필연성 / 44
2. 재림주의 출생 / 45
3. 재림주 출생의 섭리적 의미 / 47
4. 재림주의 혈통 / 49
1) 원죄 있는 부모에서 출생 / 49
2) 혈통복귀 불필요 / 51
3) 무원죄 출생 / 53
5. 재림주의 첫 사명과 최선길 / 55
제4절 복귀를 위한 교리, 조직, 의례의 체계화 / 58
1. 교리 형성; 『원리원본(原理原本)』 / 58
2.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 창립 / 59
3. 창시자의 어린양 잔치; 혈통복귀 의례의 원형 / 63
1) 한학자의 정체성과 혈통 / 63
2) 창시자와 한학자의 성혼식 / 65
4. 복귀 의례의 확장; 축복결혼식 / 66
5. 정체성의 대중화 / 68
1) 축복식의 대중화 / 69
2) 혈통복귀의 일상화: 중생식, 부활식, 영생식을 통한 혈통복귀 / 70

제2장 종교를 초월한 정체성과 위기 / 73

제1절 환고향 명령과 반발 / 75
제2절 섭리의 대전환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등장 / 78
1. 2세섭리시대 / 78
2. 모자협조시대 / 79
3. 성약시대의 출발 / 79
4.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설과 초종교 시대 / 80
5. 제4차아담권시대 선포 / 85
제3절 통일운동의 위기 / 87

제3장 창시자의 카리스마 전수 시도와 반발 / 91

제1절 후계자 문현진 / 93
1. 문현진의 개혁작업 / 99
2. 축복권 이양 / 101
3. 부자협조시대의 중심인물 문현진 / 103
제2절 부자협조시대의 한학자 사명 / 107
1. 기원절 확정과 인사권 이양 / 110
2. 1세들의 반발 / 113

제4장 통일운동의 1차 분열 / 125

제1절 심우옥의 증언; “어머니가 달라졌어요” / 127
제2절 문국진과 문형진 등장 / 129
1. 삼 형제 역할 분담 / 129
2. 문국진과 1세 간부들이 곽정환을 공격하다 / 130
3. 파크원 사업을 가로채려 한 사람들 / 133
4. 곽정환 축출을 위한 영계 메시지 조작 지시 / 135
5. 4월 23일 창시자의 결정과 한학자 문국진의 반발 / 136
6. 통일운동 분열의 감추어진 동기와 문형진의 등장 / 138
7. 은밀히 진행된 분열 / 141
8. 실체 천일국을 위한 GPF 활동과 한학자의 반발 / 147
제3절 길을 잃은 창시자와 통일운동 / 151
1. 문효진의 성화 / 153
2. 문현진의 출사표 / 153
3. 가정당 총선에서 참패 / 154
4.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회장에 문형진을 임명 / 155
5. 통일운동 분열을 예견한 문현진 / 157
6. 문현진을 CARP 세계회장직에서 해고한 문형진과 문국진 / 158
7. 주권 복귀의 가능성과 하늘의 경고 / 163
8. 창시자 몰래 문인진을 미국 총회장에 임명한 문형진 / 166
9. 참가정의 질서를 다시 세운 창시자 / 172
제4절 속초 영계 거짓 메시지 사건의 내막 / 174
1. 후계자 책봉식으로 변한 ‘만왕의 왕 하나님 해방권 대관식’ / 174
2. 문현진에게 GPHA 창설대회를 지시한 창시자 / 177
3. 한국 문형진, 일본 문국진, 미국 문현진 / 178
4. 문현진 인사발령을 거부한 문형진 / 180
5. 문현진, 미국 가정연합 이사회 개최 요청 / 182
6. 김효율의 왜곡 보고에 속은 창시자 / 183
7. 누군가 창시자의 혈통을 부정했다 / 185
8. 창시자가 순회 중인 문현진을 불러들임 / 186
9. 문현진의 모든 공직을 박탈하라는 영계 메시지 / 188
제5절 통일운동의 극한 분열과 카리스마 몰락 / 193
1. 문현진 제거 작전과 참가정의 혼돈 / 195
2. UCI 탈취를 위한 끊임없는 시도 / 197
3. 남미에서 진행된 위험한 게임 / 199
4. 문현진의 태세 전환 / 200
5. 김효율, 주동문, 문국진, 소송을 기획하다 / 203
6. 문현진의 독립선언 / 205
7. 문인진과 주동문이 문현진을 비난하며 공격하다 / 207
8. 문현진의 공적 활동을 방해한 반문현진 세력 / 209
제6절 누시엘이 씌운 불효자의 멍애 / 212
1. 문현진, 미국 이사직 박탈당하다 / 214
2. 곳곳에 파놓은 함정 / 219
3. 신동모가 요청한 “최고 강력한 무기”/ 222
4. 비밀 약속 / 232
5. 반문현진 세력의 부도덕성 / 236
6. 파크원 소송 전쟁의 시작; “가서 죽이겠다! / 241
제7절 대신자 상속자와 이단자 폭파자 / 246
1. 친위 쿠데타 실패 / 248
2. UCI 소송 제기 / 250
3. 창시자의 2차 선포문; 참부모님 선포문 / 252
4. 창시자의 지시를 거부한 문국진과 문형진 / 257
5. 여의도 파크원 소송 1심 판결; 원고 패소 / 260
6. 창시자의 초조한 사정과 한학자의 약속 불이행 / 263

제5장 창시자의 성화와 통일운동의 2차 분열 / 269

제1절 혼돈의 2012년 1월 / 271
제2절 십자가를 진 창시자 / 280
제3절 인류의 ‘메시아’가 성화하였다 / 291

제6장 “You shall know them by their fruits” / 295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

제1절 한학자의 변심 / 297
1. 한학자의 통일교 지배선언 / 297
2. 독생녀 신격화 교리 작업 / 304
1) 창시자의 『천성경』 폐기 후 개정 『천성경』 제작 / 306
2) 창시자의 『평화신경』 해체 후 『평화경』 제작 / 309
3) <가정맹세> 변경 / 311
4) 『문선명선생 말씀선집』 내용 삭제 후 재배포 / 314
5) 독생녀론 교리화를 위한 『참부모경』 제작 / 318
발간 과정 / 318
『참부모경』 발간 의도 / 319
『참부모경』의 위서(僞書) 논란 / 320
6) 창시자의 흔적을 지우기 위한 마지막 경전 작업 / 325
제2절 한학자의 독생녀 현상 / 328
1. 독생녀 정체성의 배경: 한학자 하나님 부인론 / 329
2. 독생녀론 / 335
1) 이원론적 하늘부모님론 / 337
2) 남자와 여자를 창조한 하늘부모님 / 340
3) 예수는 가정을 이룰 수 없었다 / 341
4) 유원죄로 출생한 창시자 / 344
5) 무원죄 순혈 출생의 한학자 독생녀 / 347
6) “독생녀 탄생이 없으면 메시아가 올 수 없다” / 350
7) “누구에게도 배운 적이 없다!” / 352
8) “아버지는 기원절 6개월 전에 성화하셔야 했다” / 354
9) “불교의 미륵불도, 기독교의 재림주도 여성이다” / 355
10) 아버님은 사탄 참소 조건의 꼬리를 갖고 있다! / 355
11) 창조주의 본질은 하늘어머니이다 / 357
3. 독생녀의 타락 / 358
1) 주관성 전도 / 361
2) 아들을 시기 질투한 어머니 한학자 / 367
3) 참가정을 파탄 낸 한학자 / 368
4) 한학자와 이혼을 고민한 창시자 / 370
4. 한학자의 중요 독생녀 발언 / 373
5. 한학자와 해와의 타락 비교 / 384
제3절 문형진의 2대왕 정체성과 철장 섭리 / 385
1. 문형진의 설교 분석 / 392
2. 문형진의 자의식(自意識) / 395
3. 창시자 숭배 / 399
4. 한학자를 어머니 자리에서 끌어 내림 / 400
5. 철장섭리 / 406
제4절 문현진의 “One family Under God” / 410
1. 하나님의 뜻과 섭리에 대한 4대 근본 질문 / 411
1) 섭리의 중심은 누구인가 / 411
2) 메시아의 사명은 무엇인가 / 412
3) 참부모와 참가정 현현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 416
4) 축복중심가정의 책임이 무엇인가 / 417
2. 문현진의 초종교적 정체성 / 418
1) 세계평화재단(Global Peace Foundation, GPF) / 419
2) 가정평화협회(Family Peace Association, FPA) / 421
3. 제4차아담 문현진 / 423

나가는 말 / 425

참고문헌 / 437

저자소개

김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태어나 학업을 시작한 이래로 2009년 2월에 선문대학교에서 Ph. D.를 받았다. 현재 천년왕국운동, 예언자운동, 메시아운동, 유토피아운동에 대한 공부를 계속하고 있고, 한국메시아운동사 연구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분열된 통일운동의 이러한 상황은 다른 신종교 현상과 비교할 때 매우 특이하다. 강력한 카리스마를 유지해 온 신종교 창시자가 갑자기 타계(他界)한 경우, 일반적으로 신종교는 창시자의 카리스마를 합리화하여 상당 기간 강력하게 그 정체성을 유지한다. 신종교의 정체성과 역사는 창시자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창시자의 카리스마가 타계와 함께 붕괴할 경우, 그 신종교의 기반 전체가 해체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창시자의 타계를 포함한 여러 예언의 실패를 쉽게 합리화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심지어 창시자의 예언 실패가 명확히 드러난 경우에도 창시자의 카리스마가 타계와 동시에 약화 혹은 소멸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 책은 통일운동의 창시자 타계 직후, 창시자의 정체성과 카리스마가 창시자의 최측근인 한학자에 의해 급격히 파괴되는 현상, 창시자의 7남 문형진이 어머니 한학자를 비난하는 참가정 분열의 현상, 그리고 일본 하늘부모님성회 교인의 자녀가 전 일본 수상 아베를 암살한 사건에서부터 시작하여 통일운동 분열 과정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의 행적과 통일운동 분열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미래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연구의 목적 수행을 위해 먼저 통일운동의 핵심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 창시자의 카리스마 전수 과정에서 발생한 비극적 사건의 내막을 집중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그리고 창시자 타계 전후 한학자가 주도한 통일운동 정체성 변경의 과정과 내용, 통일운동 재활성화를 주도한 주체들의 활동, 통일운동 분열의 현실과 미래를 역사적 관점에서 서술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