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 비판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 비판

김종석 (지은이)
한국메시아운동사연구소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 비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 비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기타 종교
· ISBN : 9791191852721
· 쪽수 : 229쪽
· 출판일 : 2024-04-16

책 소개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라는 이름으로 유포되고 있는 특정한 담론에 대한 비판적 응답이며, 동시에 그것이 왜 문제인지를 드러내기 위한 일종의 경고장이기도 하다.

목차

서문: 이 책을 쓴 동기 / 5

서론: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란 무엇인가 / 11

중요 개념 소개 / 15
1. 선민(選民) / 15
2. 독생녀(獨生女)와 여성 메시아 / 15
3. 독생녀론 / 16
4. 섭리사(攝理史) / 18
5. 통일교, 통일운동, 하늘부모님성회 / 19
6. 천원궁, 천원궁 입궁 / 20

제1장 독생녀 신격화를 위한 역사 왜곡 비판 / 23

제1절: 하늘부모님이 예비한 한민족 / 25
1. 창조와 타락: 독생녀론을 위한 전제 구조 / 25
2.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의 셈족 계열 선민관 / 29
3. 동이족 및 <한씨왕조> 형성에 대한 관점과 비판 / 34
4. 제천의식 및 신녀제도에 대한 관점 분석 / 38
5. 청주한씨 가계에 대한 관점 재구성 / 42
제2절 하늘부모님을 모시는 신앙의 뿌리 / 47
1. “단군신화와 홍익인간" 요약 및 비판 / 47
2. “마고신화와 바리공주신화” 요약 및 비판 / 52
3. “천제 문화와 정안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56
4. “천문에 밝은 한민족과 첨성대" 비판적 고찰 / 59
제3절 하늘부모님 나라를 대망해온 민족 / 61
1. “불교의 정토사상과 미륵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61
2. “군자의 나라와 성인(聖人)의 이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65
3. <정감록>과 <격암유록> 등의 예언서 활용에 대한 비판 / 68
4. “동학과 천도교의 개벽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70
제4절 독생녀와 한민족의 문화와 전통 / 73
1. “하늘부모님을 모시는 문화와 전통"에 대한 비판적 고찰 / 73
2. “선민의 정체성을 지켜온 한민족" 분석 및 비판 / 75
3. “한민족의 창조성과 우수한 심정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77
제5절 무원죄 초림 독생녀 신격화 / 81
1. 독생녀 탄생을 위한 민족적 기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81
2. “독생녀 탄생을 위한 기독교 기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83
3. “독생녀 탄생을 위한 국가와 세계적 기대”에 대한 비판적 분석 / 88
4. “독생녀 탄생을 위한 계시와 준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92
5. 독생녀 중심 참부모론 서사의 본격적 재편 / 95
6. 독생녀의 위상과 신통일세계 구상의 이데올로기적 구조 / 97

제2장 독생녀론 비판 / 101

제1절 통일원리와 독생녀론 비교 / 103
1. 일원론 : 이원론 / 103
2. 아담의 갈비뼈로 해와를 창조 / 106
3. “이년 어찌하여 너는 하나님의 법을 어겼느냐” / 107
4. “아버지의 혈통을 내가 복귀해 주었어!” / 109
5. 한학자의 혈통; 구정물 같은 여자? / 116
6. 독생녀 탄생이 없으면 메시아가 올 수 없다? / 124
7. “누구에게도 배운 적이 없다!” / 127
8. 아버지가 기원절 6개월 전에 성화한 이유? / 128
9. 창시자와 한학자의 핵심 교시 / 131
제2절 독생녀의 타락 / 151
1. 주관성을 전도한 한학자 / 151
2. 참가정을 파탄 낸 한학자 / 162
3. 한학자와 이혼을 고민한 창시자 / 164
4. 창시자의 혈통적 정체성을 부정한 한학자 / 167
5. “한학자 숭배는 타락행위이다” / 178
제3절 통일교 분열과 독생녀론 / 183
1. 통일교의 정체성과 창시자의 이상 / 183
2. 한학자의 모자협조시대와 청평 김효남 / 184
3. 부자협조시대, 2세섭리시대, 4차 아담권시대의 중심인물 / 185
4. 1세들과 한학자의 반발 / 185
5. 문국진, 문형진의 등장과 분열 / 186
6. 문현진을 해고한 문국진 문형진 형제 / 187
7. 거짓 영계 메시지로 창시자를 속인 반문현진 세력 / 189
8. 누군가 창시자의 혈통을 부정하였다! / 190
9. UCI 빼앗기 시도 / 190
10. 신동모에게 놀아난 이단자 폭파자 선포문 / 191
11. 문현진을 통일가에서 완전히 몰아내다! / 191
12. 반란 / 192
13. 창시자와 한학자를 신격화한 문형진 / 193
14. 꼭꼭 숨겨진 천정궁 훈독회 / 194
15. “아버지의 근본을 다 버렸다!” / 194
16. 창시자의 성화와 패륜 / 195
17. 문형진과 문국진을 내쫓은 한학자 / 195
18. “내가 아버지의 혈통을 복귀해 주었어!” / 196
19. 폭로와 부끄러움 / 197
20. 새 종교, 하늘부모님교단, 하늘부모님성회 창립 / 197
21. 한학자 측근들의 부정부패 의혹 / 198
22. 독생녀의 타락 / 211
23. 천원궁 입궁 / 212
24. 아베 암살 사건과 일본 통일교 해산 판결 / 215
제4절 독생녀론은 페미니즘 신학이다 / 219
1. 페미니즘과 페미니즘 신학의 숨은 의제 / 219
2. 독생녀론의 배경에 자리한 통일교 페미니즘 신학자들 / 220
3. 독생녀 신학의 형성과 제도화 / 221
4. 독생녀론의 본질과 통일원리의 왜곡 / 222

마무리하는 말 / 223
참고문헌 / 227

저자소개

김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태어나 학업을 시작한 이래로 2009년 2월에 선문대학교에서 Ph. D.를 받았다. 현재 천년왕국운동, 예언자운동, 메시아운동, 유토피아운동에 대한 공부를 계속하고 있고, 한국메시아운동사 연구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는 하늘부모님성회의 독생녀 신격화를 정당화하고 제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종교 신화화 프로젝트이다. 이 책은 독생녀 한학자를 중심으로 한민족 전체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그녀를 선민역사의 종착점이자 신적 중보자로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통일원리와 전혀 다른 제2의 교리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통일교 내부의 기존 교리체계를 해체하거나 대체하려는 시도로 읽히며 중대한 문제점을 내포한다.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는 한민족의 기원을 고대 신화와 천손사상에 두며, 그 역사를 '하늘부모님'의 예정된 섭리로 재해석한다. 특히 한학자 개인의 생애와 사명을 '한민족의 선택된 역사적 귀결'로 신화화하고, 고조선·삼국·조선·대한제국·해방 등의 역사를 한학자 중심으로 재편한다. 이 책은 언어, 민속, 영적 전통 등 다양한 요소를 끌어들여 '신통일한국'을 중심으로 한 종교 민족주의 서사를 구성한다.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는 통일교 내부에서 전개되어 온 '독생녀론'을 대중적, 서사적 방식으로 확장한 것이다. 이 책은 기존의 독생녀론이 갖는 신학적 취약성을 한민족의 신성성과 연결함으로써 보완하려는 시도이며, 결국에는 한학자의 절대 권위를 재확인하려는 정치신학적 기획이다. 독생녀론 자체는 통일원리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이성성상의 주체-대상 구조, 메시아 개념, 3대 축복 및 복귀섭리와 정면 충돌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는 통일교 내부 정체성의 해체와 신학적 혼란을 초래한다.
독생녀 신격화 작업은 역사비평학적으로도 근거가 부족하며, 통일원리가 강조해온 남성과 여성의 주체-대상의 질서에 기반한 섭리 완성'이라는 원리를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독생녀론은 종교적 선민주의, 민족주의, 여성 신격화가 결합된 교리로, 기독교와 통일원리 모두와 정면으로 충돌하며, 사실상 또 다른 종교체계의 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신도들에게 기존 교리에 대한 의구심을 심화시키고, 지도부의 종교적 정당성을 스스로 붕괴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한학자의 독생녀 신격화 작업은 통일교를 컬트 집단화시키고 있다. 그녀의 권위에 대한 절대복종이 강요되며, 그 권위에 반하는 교리, 신학자, 신도는 주변화되거나 침묵당한다. 이는 신학의 발전이 아니라 퇴행을 의미하며, 주변 간부들의 부정부패를 묵인·방조하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내부 결속은 오히려 약화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 교회에서는 정체성 혼란으로 인한 신도 이탈이 보고되고 있다. 주변 인물들의 부정부패가 한학자 총재와 무관하지 않다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고, 이로 인한 법적 처벌의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으며, 헌금 강요·재산 강탈·지도자 신격화와 관련된 법적 고발과 사회적 불신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한학자의 고령화는 독생녀 신학과 조직 운영의 최대 취약점이다. 신적 상징성을 가진 지도자의 사후를 대비하지 못한 종교체계는 필연적으로 붕괴한다. 이미 문선명 총재 타계 전후 벌어진 통일교의 혼란을 경험한 바 있고, 그 혼란의 주인공이었던 한 총재는 통일교의 후계 전통을 무너뜨리고 스스로 독생녀가 되었다. 한학자 총재도 같은 분열의 혼란 속에서 생의 마지막 순간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독생녀론이나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와 같은 독생녀 신격화 작업은 한학자 이후의 세대가 이를 계승할 신학적, 제도적 토대를 갖추지 못할 경우, 총체적 파국을 초래할 가능성이 너무나 크다. 이에 대한 내부 학자들의 침묵, 그리고 주변 권력자들의 기회주의적 행태는 종교의 자정능력을 약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하늘부모님성회가 종교로서의 정통성과 역사성을 상실할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는 신학적 명료성과 조직적 건강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에서 모두 심각한 위험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작업이 지속될 경우 하늘부모님성회의 해체 가능성은 더욱 현실화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