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박태원 (지은이)
  |  
장경각
2024-03-10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책 정보

· 제목 :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91868517
· 쪽수 : 600쪽

책 소개

선 수행은, 변하는 파도와 접속한 채 자신도 끊임없이 변하면서 자유와 평안의 유희를 누리는 파도타기와도 같다. 파도타기를 즐기는 사람은, ‘파도가 그쳐 잔잔한 상태’나 ‘파도에서 아예 떠난 평온’을 구하지 않는다.

목차

■ 머리말 �� 오래 품은 보따리
■ 【내용 개요】

1. 궁극실재 - 매혹적 환상
2. 세 가지 길
3. 붓다의 길은 궁극실재를 향하는가?
4. 이해와 마음
1) 이해
가. 언어인간의 등장과 언어능력의 진화
나. ‘이해능력의 발현’과 ‘인과관계의 이해’
2) 마음
가. 생명의 원초적 창발성과 마음
나. 사유의 두 면모: 이해와 마음
5.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1) 이해수행
2) 마음수행
3)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의 관계와 결합의 정점
4) 선禪 수행의 두 축: 위빠사나와 사마타
가. 위빠사나와 사마타는 모두 정학定學 선 수행이다
나. 현대 위빠사나 명상
5) 위빠사나와 사마타 수행은 합리주의와 신비주의의 문제인가?
6) 사마타 마음수행은 집중수행인가?
7) 지관止觀 수행론과의 관계
6. 유식무경唯識無境과 알아차림(正知, sampajānāti)
1) 유식사상을 읽고 있는 관점들과 의문
2) 유식사상 고유의 관심과 취지
3) 유식무경唯識無境과 알아차림(正知, sampajānāti)
가. 유식무경의 의미와 취지
나. 알아차림의 의미와 취지
ⅰ) 사념처에서의 관찰(觀, passati)과 알아차림(正知, sampajānāti)
ⅱ) <‘특징적 차이’(相, nimitta) → ‘개념적 지각/인지’(想, sannā) →
알음알이(識, vinnāņa)>의 인과적 연관과 두 가지 인과계열
ⅲ) 육근수호六根守護 법설과 알아차림
그리고 심일경성心一境性(cittekaggatā)
다. 유식무경과 알아차림의 만남
7. 원효의 일심一心: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융합의 정점 범주에서의
인지적 국면
1) 일심一心을 읽는 시선과 궁극실재의 연루
2) 일심一心 현상을 발생시키는 조건들: 일심에 대한 연기적 독법
가. 공관空觀을 품은 유식관唯識觀
나. 방편관方便觀과 정관正觀
다. 지관쌍운止觀雙運
3)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그리고 일심一心
가. ‘공관空觀을 품은 유식관唯識觀’의 의미
나. ‘방편관方便觀과 정관正觀’의 의미
다. ‘지관쌍운止觀雙運’의 의미
라. ‘일심一心’의 내용과 의미
8. 선종의 돈오견성頓悟見性 : 마음수행의 창발적 전개
1) 돈오견성을 읽는 두 시선 : 이해 독법과 신비주의 독법
2) 돈오견성頓悟見性과 마음수행
가. 혜능慧能과 돈오견성
ⅰ) 돈오頓悟와 무념無念 법문
ⅱ) 무념無念·무상無相·무주無住 법문
ⅲ) 무념無念·무상無相·무주無住 법문의 시사점
ⅳ) 좌선坐禪 법문
ⅴ) 혜능 선 사상의 전승
나. ‘무념無念의 돈오견성頓悟見性’과 붓다의 마음수행
다. 돈오견성의 두 유형 : 미완결형과 완결형
ⅰ) 돈오 범주에 관한 선행 담론
ⅱ) 미완결형 돈오견성과 완결형 돈오견성
3) 마음수행의 창발적 전개
가. 일깨우고 드러내는 대화법에서의 창발적 특징 :
직지인심直指人心·견성성불見性成佛의 대화법
나. 화두話頭 의심과 돈오견성의 결합: 간화선看話禪
ⅰ) 돈오견성 방법론의 창발적 전개 – 화두話頭 의심
ⅱ) 화두 의심疑心은 왜 돈오견성으로 이어지는가?
9. 성철은 왜 돈오점수를 비판했을까?
1) 두 가지 쟁점 담론과 성철
2) 지눌의 문제의식과 돈오점수
3) 성철의 문제의식과 돈오점수 비판
4) 돈오점수 비판의 의미 -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의 차이’와 관련하여
가. 의미 도출을 위한 방법론
나.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의 차이 구분과 성철
다. ‘돈오점수 비판’과 ‘간화선 돈오돈수’ 그리고 현대 한국 선불교의
문제 상황
라. 지눌과 성철이 함께 열어주는 길

【부록1】 고타마 싯다르타(Gotama Siddhartha)는 어떻게 붓다가 되었나?
【부록2】 무아는 1인칭의 삭제인가, 새로운 1인칭의 등장인가?
【후기】 출간에 즈음하여

■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울산대 철학과에서 불교철학, 노자, 장자철학을 강의. 주요 저서로는 『원효전서 번역』, 『대승기신론사상연구』, 『원효, 하나로 만나는 길을 열다』, 『돈점 진리담론 –지눌과 성철을 중심으로』, 『원효의 화쟁철학 –문門 구분에 의한 통섭』, 『원효의 통섭通攝철학 –치유철학으로서의 독법』,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 -이해수행과 마음수행』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러한 선정 수행론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하나는, 삼매 수행을 ‘대상에 대한 집중’으로 보는 관점이 지닌 문제이다. 이 점은 뒤에 다시 거론한다. 다른 하나는, ‘현상의 속성을 발생시키는 궁극실재’를 설정하는 관점이 지닌 비非불교적 전제이다. 자기 동일성을 영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가변적 현상의 속성을 발생시키는 궁극실재는 없다. 따라서 <궁극실재를 직접 볼 수 있다>라는 주장은 거짓 명제이고, <삼매에 들어 궁극실재를 직접 보았다>라는 체험담은 허세나 착각이다. 또 무상·고·무아에 대한 통찰은 무상·고·무아 현상의 기체基體인 궁극실재의 체득에 수반되는 것이 아니다. <궁극실재를 보면 무상·고·무아를 ‘완전히 그리고 저절로’ 알게 될 것이다>라는 기대는, 궁극실재를 향한 갈증의 자기 최면일 뿐이다. 전능의 궁극실재를 향한 짝사랑이다. 이 짝사랑은 비단 남방불교 교학뿐 아니라 북방 대승불교 교학과 현대 불교학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목격된다. 불변·독자·전능의 궁극실재는 없다. 붓다의 길, 그 중도에 오를 때, 무엇보다 먼저 분명히 간택해야 할 문제이다.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의 ‘분리될 수 없는 상호 의존’은 양자의 융합이고도화되는 단계에서 ‘상호관계의 정점’에 이른다. 이 정점의 융합 단계로서는, <그 어떤 이해도 붙들거나 그에 머물러 제한받지 않으면서 이해를 굴리는 인지능력 지평>, <‘사실 그대로에 부합하는 이해’에도 갇히거나 붙들어 집착하지 않는 좌표에 역동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사실 그대로에 부합하는 이해’를 운용하는 인지능력 지평>, <모든 유형의 관념·느낌·욕망·행위·의지·심리·이해 양상에서 끝없이 풀려나면서 ‘사실 그대로에 부합하는 이로운 관념·느낌·욕망·행위·의지·심리·이해 양상’을역동적으로 조정하면서 펼치는 인지능력 지평>이 밝아진다. 이해수행과 마음수행의 상호 결합으로 구현되는 향상의 정점 범주에 해당한다.


<모든 현상을 ‘조건에 따른 성립/발생’으로 보아 ‘성립/발생의 조건들’과 ‘조건들의 인과적 연관’을 포착하려는 사고방식>이 연기의 원형 사유로 보인다. 그리고 <현상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 현상을 발생시킨 조건들과 그들의 인과관계를 성찰하라>는 것이 이러한 연기적 사유의 철학적 의미라고 생각한다. 현재까지 등장한 연기 교학들은 이러한 철학적 의미의 구현 사례들이다. 이 철학적 의미의 적용 범위는 전방위적이기 때문에 새로운 적용과 구현 사례들은 무궁하게 열려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