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9196508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권두언
서문
1절 전쟁의 기원 : 역사적인 접근
1. 러시아인들에게는 얼마큼의 땅이 필요한가?
2. 제정 러시아의 외연적 확산
3. 유라시아주의의 태동
4. 레닌에게 ‘해방’과 ‘독립’의 의미
5. 2차 세계대전과 소련, 위성국가들의 등장
6. 위성국가 혹은 완충 국가 속에 안전?
7. 소련 해체의 시작 : 소련의 실상과 러시아의 좌절
8. 유라시아주의의 부활
9. 러시아의 과거 회귀와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집착
10. 푸틴 리더십의 위기 : 정보의 실패
2절 러시아 군사력과 정보기관의 실체와 교훈
1. 러시아 군사력의 수준과 실체
1) 러시아의 압승 예상,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2) 러시아 군대의 실체와 진실
3)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몰락 그리고 기사회생
4) 젤렌스키의 여론전과 푸틴의 오만
5) 국방 및 무기체계 패러다임의 변화
6) 우리 군이 배워야 할 것들
7) 국제사회 차원의 체제수호 전쟁
2. 러시아 정보기관의 수준과 실체
1) 정보기관의 역사와 푸틴 정권의 정보기관
2) 러시아 정보기관의 민낯
3) FSB에 대한 푸틴의 불신과 어두운 그림자
3절 우크라이나 전쟁 원인과 국제정치 질서의 변화
1. 우크라이나 전쟁 원인을 설명하는 몇 가지 이론 틀
2. 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정치 구조적 요인들
3. 푸틴의 국제정치관과 우크라이나 전쟁
4. 러시아 정치체제의 특징과 우크라이나 전쟁
5. 우크라이나 전쟁과 푸틴의 판단 착오
6. 우크라이나 전쟁이 국제정치 질서 변화에 미칠 영향
7.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국에 주는 교훈
8. 우크라이나 전쟁, 어떻게 끝날 것인가
4절 우크라이나 전쟁과 동아시아
1. 들어가는 말
2. 우크라이나 전쟁의 성격
1) 전쟁 목표가 불분명한 전쟁
2)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
3) 민간인 학살
4) 치열한 사이버 심리전
5) 핵무기 사용 가능성
3. 우크라이나 전쟁과 동아시아
1) 우크라이나 전쟁과 각국의 입장
2) 우크라이나 전쟁과 대만 문제
4. 우크라이나 전쟁과 한반도
1)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한의 도발
2)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국에 주는 함의
5. 나가는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러시아인들에게 땅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이런 질문을 왜 유독 러시아인에게 던져야 하는지 나름의 이유를 찾아보자. 제정 러시아는 한때 알래스카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지금의 유라시아 대륙에 걸치는 정도에서 나아가 북미지역에까지 이르렀다. 어떻게 이런 광대한 영토를 갖게 된 것인가? 도대체 땅이란 그들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제정 러시아가 해체된 이후 등장한 소련(소비에트 연방)도 땅 욕심쟁이였다. 그들은 제정 러시아를 혁명으로 무너트렸지만, 그 광대한 정복지는 그대로 계승했다.
2차 세계대전을 고비로 제국의 시대는 저물었다고 우리는 이해한다. 패전국인 독일, 이탈리아, 일본은 강제 병합 지역이었던 식민지를 내놔야만 했다. 비단 패전국만 영토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영국을 위시한 유럽의 제국들도 식민지가 독립하면서 제국의 지위가 내려앉았다. 2차 대전 이후 출현한 신생 독립국들 가운데는 대한민국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제정 러시아를 계승한 소련과 청 제국에 이은 중국은 2차 대전 이후에도 여전히 과거의 영토를 대체로 보존했고, 심지어 확장하기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