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92059211
· 쪽수 : 562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문
1. 눌재 양성지의 자주국가론 14
2. 왜! 자주국가론인가 16
3. 선행연구와 연구 방향 19
4. 역사의 교훈 그리고 내일의 대한민국 21
5. 연구 방법과 범위 24
제2장 해제(解題)
1. 눌재 양성지의 사상 27
2. 여말 선초의 동아시아 정세 32
3. 유용지학(有用之學) 35
4. 사대(事大)에 대하여 38
5. 자주국방은 자주국의 필수조건 40
6. 민생의 안정과 경제발전 44
7. 문화의 융성 46
8. 눌재의 신분 사상 49
9. 눌재 사상의 부활 50
10. 21세기의 눌재 사상 51
제3장 위대한 삶의 궤적(軌跡)
1. 가문(家門)과 가계(家系) 52
2. 탄생 56
3. 출사(出仕) 59
4. 세종 시대가 끝나고 문종 시대가 왔다 62
5. 세조 시대 64
6. 예종이 왕위에 올랐다 88
7. 성종 시대 90
8. 68세를 일기로 서거하다 113
9. 정조 시대에 부활한 눌재의 사상과 정책 116
10. 눌재의 생애에 대한 함의 118
제4장 자주론
1. 서언 122
2. 인간의 자주성에 대한 고찰 125
3. 조선의 건국 133
4. 조선 초의 자주의식 136
5. 양성지의 자주 사상 139
6. 중국의 역사 왜곡 153
7. 자주국 대한민국 157
8. 눌재의 자주 사상에 대한 함의 160
제5장 사대론
1. 서언 165
2. 원·명 교체와 고려 170
3. 정치 상황이 만들어낸 사대 173
4. 혁명 명분론으로 본 사대 175
5. 외교 전략에서 국가 이념으로 변한 사대 178
6. 사대의 성(誠), 경(敬), 예(禮)는 조선에만 있었다 182
7. 화이분별론으로 본 사대주의 183
8. 기자 조선과 사대주의 186
9. 양성지의 중조이원적(中朝二原的) 사대론(事大論) 190
10. 16세기 이후 침체기의 사대 196
11. 양성지 사대론의 함의 202
제6장 경세론
1. 서언 207
2. 왕도정치(王道政治) 212
3. 눌재의 경세론 218
4. 경세론의 함의 242
제7장 민생론
제1절 서언 247
1. 민생은 정치의 근본 247
2. 눌재의 민본 사상 250
2절 조세제도의 개혁 255
1. 방납 혁파와 균세법 시행 255
2. 방납을 사주하는 자와 관리를 최고 사형에 처하자 260
3절 구휼제도(救恤制度)의 개혁 주장 263
1. 사창을 폐지하고 의창을 세울 것 265
2. 대납법을 폐지할 것 267
3. 형벌 남용을 엄금할 것 270
4. 사회 정의를 바로잡을 것 272
5. 노비로 인한 송사를 엄중하게 다스릴 것 274
6. 활 공물 제도를 폐지할 것 277
제4절 예종의 일시적인 방납 폐지 280
제5절 농업 증진 정책 283
1. 토지개혁의 주장 283
2. 농업정책으로 권농 4사를 상언하였다 286
3. 농우 도살을 금지해야 한다 292
4. 잠서를 찬술하고, 의서를 교정하였다 296
제6절 민생론에 대한 함의 297
제8장 관방론
제1절 국가(國家)와 관방(關防) 301
1. 서언 301
2. 조선 수성기 동아시아의 정세 302
제2절 조선의 관방 309
1. 조선 초 주적 개념과 눌재의 주적 개념 309
2. 조선 초기 군정 311
제3절 눌재 양성지의 관방론 313
1. 눌재의 관방론 형성 313
2. 눌재의 군정 사상 317
3. 눌재가 정의한 영토 개념 323
4. 국토 방어론 326
제4절 눌재의 자주 국방 정책 340
1. 보법의 개혁을 주장하다 340
2. 조선을 지키는 비책, 비변십책 341
4. 동서양계 일체비어(東西兩界 一體備禦) 357
5. 위·부 형명(衛·府 刑名) 359
6. 평안도 편의 18사 360
7. 군정십책(軍政十策) 373
8. 북방 방어에 대한 세 번의 상소 392
9. 중국의 동팔참로(東八站路) 장벽에 대비해야 한다 398
10. 변방사책(邊方四策) 401
11. 군정사사(軍政四事) 403
12. 병사육책(兵事六策) 408
13. 군국비계이사(軍國祕計二事), 총통도설(銃筒圖說) 414
제5절 관방론의 함의 415
제9장 문화융성론(文化隆盛論)
제1절 문화 자주론 424
1. 서언 424
2. 문화의 자주성 427
3. 소중화의 개념 431
4. 우리 문화의 형성과 융합 433
5. 우리 문화의 자주성 436
6. 예(禮)와 악(樂)의 조화 438
7. 번부악의 설치는 국가 존엄을 위한 것 441
8. 의관과 복색 443
제2절 서적의 편찬과 장서 제도 정비 446
1. 정부 주도 서적 편찬 사업에 참여 446
2. 문적의 관리 450
3. 성종 시대의 문화사업 457
4. 풍속학교 12사를 올리다 459
5. 편찬 사업의 중흥과 도서 관리 462
제3절 문화적 업적 469
제4절 눌재의 문(文)과 시(詩) 474
1. 평삭방송(平朔方頌) 475
2. 친사문묘송(親祀文廟頌) 481
3. 고금시(古今詩) 486
제5절 문화 융성론 함의 492
제10장 정조 시대에 부활한 눌재 사상
제1절 조선 그 후 300년 496
1. 쇠퇴기로 접어든 조선 496
2. 왜란의 시작과 분열된 조선 조정 497
3. 무너진 군정으로는 왜를 막을 수 없었다 499
4. 류성룡의 탄식 502
5. 나라가 망해도 사대는 놓을 수 없는 것 504
제2절 개혁 군주 정조의 등장 507
1.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507
2. 정조의 개혁 산실 512
제3절 눌재의 실학사상 517
1. 부활된 눌재의 유용지학 517
2. 정조는 왜 눌재를 소환했는가 520
3. 규장각을 설치한 뜻 521
4. 눌재집을 편찬한 정조 525
제11장 결어(結語) 530
제12장 발문(跋文)과 감수글 537
제13장 눌재 선생 연보(年譜) 547
제14장 참고문헌 559
책속에서
국가의 운명은 공동체가 갖는 정체성의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시민 하나하나가 개인의 가치보다 공동체의 가치를 우선으로 하는 일반의지를 가질 때 국가는 막강한 힘을 발휘할 수가 있다. 이러한 힘을 우리는 국가 경쟁력이라 한다. 즉 자주 사상이 곧 국가 경쟁력이고, 시민의 자주 의식이 곧 국력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건국 70여 년을 맞은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수성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22세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선 수성기에 자주국가론을 주장한 눌재 양성지의 자주 사상을 오늘의 정치 상황을 염두에 두고 고찰했다. 조선은 수성기 이후 정치 분열에 의한 사화, 외침에 의한 국난, 부패정치에 의한 항쟁으로 얼룩졌다. 따라서 인민의 삶을 파괴하는 위정자들의 부패 등 민심의 이반으로 망국의 길을 가고 말았다. 오늘날 우리 대한민국은 절대로 조선이 갔던 길을 걷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머리말」 중에서
이제 21세기가 되었다. 오늘날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 관계와 정치 상황이 눌재의 자주국가론을 부르고 있다. 작금에 동아시아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과 일본과 러시아의 자국 중심 국제질서 창출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비단 그들의 패권 싸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제와 평화에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의 운명은 우리가 걸머지고 가야 한다. 요컨대 우리가 힘이 있으면 주도권을 잡는 것이고, 우리가 힘이 없으면 저들의 손아귀에 있어야 한다. 저들 중 우리나라의 운명을 맡길 우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우리의 힘이 우리를 지킬 뿐이다. 우리가 우리를 지켜내는 힘, 이 힘이 눌재의 자주국가론이다. 요컨대 남북이 하나가 되어 항구적 한반도 평화를 위하여 하나의 자주적 공동체를 만든다면, 우리는 패권국의 영향력을 이길 힘을 가질 것이고, 우리의 운명을 우리가 결정지을 수 있다.
- 「21세기의 눌재사상」 중에서